Developing Competency Model for Rural Extension Workers Using Generic Model Overlay Method

일반 모델 덧씌우기 방식을 적용한 농촌지도공무원 역량모델 개발

Kim, Jin-Mo;Ju, Dea-Jin;Lee, Jin-Hwa;Kil, Dea-Hwan;Ju, Hyun-Mi;Lee, Jung-Eun
김진모;주대진;이진화;길대환;주현미;이정은

  • Published : 2007060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to evaluate the competency levels of rural extension workers in Korea, using the generic model overlay method of Dubois(1993).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following steps; First,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we drafted a competency framework for modeling competencies and defined each competency cluster or family. Second, we identified competencies required for rural extension workers from 4 studies which were selected as the generic model. We grouped similar competencies by the result of an extended task analysis, and named and defined each competency. Furthermore, We identified key actions for each competency. Third, we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22 extension specialists and stakeholders to validate the competency model. In addition, we solicited reevaluation on the model from the members of the focus group through e-mails. There are three competency clusters in the final model: leadership, basic, and technical. In total, we identified 28 competencies and 80 key actions for the three clusters. The leadership competency cluster consists of 10 competencies with 30 key actions, the basic competency cluster, 6 competencies with 16 key actions, and the technical competency cluster, 12 competencies with 34 key ac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도공무원들의 역량 평가를 위해 농촌지도공무원의 역량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Dubois(1993)가 제시한 5가지 직무역량모델개발 방법 중 일반모델 덧씌우기 방법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농촌지도공무원 역량모델 개발을 위해 먼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역량구조를 설정하고, 각 역량군을 정의하였다. 이어서 일반모델로 이용할 국ㆍ내외 선행연구 4건을 심층 분석하여 농촌지도공무원의 역량을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역량들을 지도사업 과제별 활동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조정ㆍ통합한 후 역량명칭을 결정하고 역량정의문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초안은 내부적으로 검토하여 수정ㆍ보완한 후,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각 역량의 주요행동들을 도출하여 역량모델(초안)을 작성하였다. 역량모델(초안)을 검증하기 위해 농촌진흥청 관계자들과 내부 협의회를 갖고 농촌지도공무원 중 전문가라고 판단되는 그룹과 워크숍을 거친 후 역량모델(초안)을 수정, 보완하였다. 수정, 보완된 역량모델은 이메일을 통해 전문가 그룹에게 재검토 받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농촌지도공무원의 역량모델은 최종적으로 10개 역량과 30개의 주요행동으로 구성된 리더십 역량군, 6개 역량과 16개의 주요행동으로 구성된 기초직무 역량군, 12개 역량과 34개의 주요행동으로 구성된 전문직무 역량군과 같이 총 3개 역량군, 28개 역량, 80개의 주요행동으로 확정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인. (2005). 역량에 대한 새로운 정의와 인적자원개발에의 적용 가능성 탐색. 임금연구, 13(3), 33-48
  2. 김진모. (2001). 기업의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직업교육연구, 20(2). 109-128
  3. 김진모. (2003). 전환기 농촌지도사의 역할과 능력개발 방향.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5(4), 69-86
  4. 김진모, 주대진, 곽지훈. (2005). 전문지도연구회 활동성과 분석과 지도공무원 전문능력개발 방향. 농촌진흥청
  5. 김진모, 주대진, 곽지훈. (2006).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전문능력 개발 체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1), 67-92
  6. 박우성. (2002). 역량중심의 인적자원관리.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7. 이원행. (2002). 특집 / 인재 육성제도 : 시사논단 ; 역량중심의 인적자원관리, 임금연구, 10(4), 106-122
  8. 이주인. (2000). 컴피턴시 인사모델. LG 주간경제 11월호
  9. 전영욱, 김진모. (2005). 기업체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핵심직무역량모델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7(2), 111-138
  10. 전영욱. (2005). 기업체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핵심직무역량모델 개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11. 정재삼, 장정훈. (1999). 수행컨설턴트의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 조직문화 변화 해 결책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15(3). 99-127
  12. 정재창, 민병모, 김종명(역). (2001). 알기 쉬운 역량모델링. PSI 컨설팅
  13. Lucia Annoinette D. & Lepsinger Richard. (1999). 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s. Jossey-Bass/Pfeiffer
  14. 조영철. (1992). 농촌지도요원의 직업적 전문능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5. Boyatzis, A. S. (1982). The Competent Manager :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J. Wiley
  16. Dubois, D. D. (1993).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rategy for organizational change. HRD press, Inc.
  17. Haynes, B. R. (2000). Management Skills of County Extension Administrators: Are they Sufficient to Do the job?, Journal of Extension, 42(6)
  18. Lucia, A. D., Lepsinger, R. (199). 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s. Jossey-Bass?Pfeiffer, San Francisco
  19. McClellna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y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https://doi.org/10.1037/h0034092
  20. Mirabile, R. J. (1997).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competency modeling. Training & Development, 51(8), 73-77
  21. North Carolina Cooperative Extension. (1999). Blue ribbon commission on staff development and training : Strategic analysis and recommendations North Carolina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Raleigh, North Carolina: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Personal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Retrieved from http://www.ces.ncsu.edu/pods/brc_report/index.html
  22. Parry, S. R. (1996). The quest for competencies. Training, 33(7). 48-56
  23. Sim Mi Ok. (2006). The development of a competency model for Korean extension professionals. Seoul National University Ph.D Dissertation
  24. Shippmann, J. S., Asch, R. A., Carr. L., Hesketh, B., Pearlman, K., Battista, M., Eyde, L., Kehoe, J., & Prien, E. P. (2000). The practice of competency modeling. Personnel Psychology, 53(3). 703-740 https://doi.org/10.1111/j.1744-6570.2000.tb00220.x
  25. Texas A&M University. (2001). The Texas Extension`s Competency Model. Retrieved from http://monarch.tamu.edu/%7Ereports/signin.p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