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valuation of Foreign Graphic Health Warning Labels on Smoking Cessation Effectiveness

외국 담뱃갑 경고 그림의 금연유도 효과에 대한 평가

Kim, Dae-Hyun;Kim, Hyun-Seok;Suh, Young-Sung;Lee, Geon-Ho
김대현;김현석;서영성;이건호

  • Published : 20071200

Abstract

The Evaluation of Foreign Graphic Health Warning Labels on Smoking Cessation EffectivenessDae Hyun Kim, M.D.†, Ph.D., Hyun Seok Kim, M.D., Young Sung Suh, M.D., Ph.D., Geon Ho Lee, M.D.* Background: Many countries have been legally prescribing graphic health warning labels on cigarette package as a part of their national policy of smoking cess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appropriateness of graphic health warning labels of Canada, Singapore and European union, in Korean for smoking cessation. Methods: From February to July in 2005, we surveyed 110 people who were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After showing them the 64 graphic health warning labels (16 from Canada, 6 from Singapore and 42 from European union), the self record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Results: The effectiveness for smoking cessation was related to the arousal levels of visual effects and it had the same result for each country in which we researched. The high arousal loss-framed graphic health warning label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gain-framed low arousal ones. Conclusion: To quit smoking, it can be reasonably concluded that high and negative images of health that were shown on warning labels of cigarette packages were effective. Hereafter, it is recommended more useful and proper designs of graphic warning labels be developed and applied. (J Korean Acad Fam Med 2007;28:923-930)

연구배경: 일부 국가에서 담뱃갑에 경고 그림을 사용함으로써 흡연율 감소효과를 보고하고 있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담뱃갑 그림 경고문 사용에 대비하여 효과적인 시각적 이미지의 경고 그림에 대한 방향 설정을 위해 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경고그림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05년 2월부터 6월까지 금연교육을 실시한 고등학생(60명), 교양과정 대학생(50명) 2개 그룹 110명을 대상으로 경고 그림이 부착된 담뱃갑 64개(캐나다 16개, 싱가포르 6개, 유럽 42개)를 보여주면서 설문지에 자기기입하도록 하였다. 담뱃갑 경고 그림은 이미지 강도와 이미지 적절성, 금연 유도 효과 3가지 항목을 Likert scale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이미지 강도와 금연 유도 효과는 평균점수로 평가하였다. 분석에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 분석하였다. 결과: 경고 그림의 이미지 강도에 따른 금연 유도효과는 전체 경고 그림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0). 이미지 강도 평균점수가 높은 피해-중심 담뱃갑 경고 그림의 금연 유도 효과 평균 점수가 높았고, 이미지 강도 평균점수가 낮은 이득-중심 담뱃갑 경고 그림의 금연 유도 효과 평균 점수는 낮았다. 결론: 금연 유도를 위해 담뱃갑에 경고 그림을 사용할 때에는 이미지 강도가 강하고 흡연의 부정적인 의미를 직접적으로 표현한 피해-중심 경고그림이 금연 유도에 효과적이었다. 향후 우리나라에서 적절하고 효과적인 이미지의 담뱃갑 경고 그림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현. 흡연. 가정의학회 편. 가정의학 총론편. 제2판. 서울:계축문화사,2003. p. 475
  2. Who Expert committee. Smoking control strategies in developing countrie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3
  3. 손영석, 전호성. 담배의 위해성을 소구하는 경고 문구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광고연구 1998;39:53-71
  4. 김지은, 이상빈. 담뱃갑 흡연경고문에 대한 청소년의 신뢰성에 관한 연구. 광고문화론집 1996;1:33-65
  5. 노동현, 서홍관, 김철환, 류 미, 김신홍, 이언숙. 가정의의 담배 경고문구에 대한 인식. 가정의학회지 2001; 22(10):1503-10
  6. 김현숙, 배홍경, 서영성, 김대현, 손경식, 배인호. 흡연 대학생의 담뱃갑 금연 경고문구와 그림경고문에 대한평가. 가정의학회지 2004;25(6):469-74
  7. Hammond D, Fong GT, McDonald PW, Cameron R, Brown KS. Impact of the graphic Canadian warning labels on adult smoking behaviour. Tob Control 2003;12(4):391-5 https://doi.org/10.1136/tc.12.4.391
  8. Willemsen MC. The new EU cigarette health warnings benefit smokers who want to quit the habit: results from the dutch continuous survey of smoking habits. Eur J Public Health 2005;15(4):389-92 https://doi.org/10.1093/eurpub/cki061
  9. 보건복지부. 보건복지통계연보. 2005;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