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actors of elementary classroom teachers' deficit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체육수업 결손 요인

Park, Jae-Jeong
박재정

  • Published : 2007010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swer the question "What makes deficiency of the physical education(PE) classes for elementary classroom teacher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4 students and 12 classroom teacher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students' diaries, the observation of classes, and documents. Data were analyzed by the methods of case record an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The 'elementary school specific factor' in the「deficit of PE classes」was comprised of many aspect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uch as many school events, provisional time table in the beginning of semester and deficit of PE classes because of school year/grade activity. The 'physical-circumstantial specific factor'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bad weather and the playground condition. The 'human specific factor'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characters of busy elementary school teacher, the values and the beliefs of teachers and parents for PE, and the result from the charact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ment.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홍(1999). 초등학교 교사들의 체육교육과정 운영 및 체육수업 실태 분석.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인상(2003).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심층적 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종욱. 신범철. 최관용. 양갑렬. 최정환. 김현식. 권민영(2000). 초 . 중등 체육교사의 교수관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39(2), 597-607
  4. 류태호(2001). 체육교사의 수업 방식 및 변화과정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8(1), 161-170
  5. 박병기(1999). 체육교육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과제. 스포츠과학; 68, 8-16
  6. 박재정(2002). 초등학교에서 교사의 성이 편중된 체육수업을 경험한 학생의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재정(2006). 초등학교 체육수업 실제에 관한 문화 기술적 사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성기훈(1999).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6(1), 34-40
  9. 신기철(2006).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일상적 구조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양갑렬(2000). 초등 체육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양갑렬, 김종원(1999). 초등교사의 체육수업 내용선택과 수업대체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6(1), 57-67
  12. 유방란(2001). 교직사회의 방어적 특성과 그 극복을 위한 과제. KEDI 교육정책 포럼-공교육 내실화와 교원, 99-112
  13. 유방란 . 이혜영(2002). 초등학교 교사의 생활과 문화 연구보고 RR 2002-5.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4. 유승희 외 (2001). 학교체육 실태 및 개선 방안.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15. 유정애(2001). 초등학교 사례 연구보고서. 연구보고 RRC 2001-15.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유정애(2003). 체육수업비평. 서울: 무지개사
  17. 유정애(2004).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 및 수업운영 실태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3(3), 245-263
  18. 윤만형(2002).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실제와 개선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병관(2004). 초등학교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3(2), 139-150
  20. 이승배(1999).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정선(2002). 초등학교 문화의 탐구. 서울: 교학연구사
  22. 정혜영 . 조연순 . 정광순 . 박주연(2004). 초등학교 아동이 수업에 몰입하는 맥락에 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7(2), 181-206
  23. 조순묵(2004). 초등체육교육 반세기 그 반성과 전망. 한국교원대학교 개교 20주년 기념학술대회지, 503-535
  24. 허병기(2000). 학교와 교사: 이상과 실상의 대조. 교육행정학 연구, 18(4), 203-247
  25. McMillan, J. H. & Schumacher, S. (1997). Research in education: A conceptional introduction(4rd Ed.). NY: Longman
  26. Templin, T. J. (1988). Setting down: An examination of two woma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J. Evans(Ed.), Teachers, teaching and control in physical education(pp. 57-81). Lewes, England: Falmer Press
  27. Graham, G. (2001). Teaching children physical education: becoming a master teacher. Champaign. IL: Human Kinetics. 이재용 외 공역 (2005). 초등체육 가르치기. 서울: 대한미디어
  28. Schempp, P. G. (2003). Teaching sport and physical activity: insights on the road to excellence. Champaign, IL: Human Kine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