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er quality and bacterial counts in hatchery of Rockbream, Oplegnathus fasciatus

돌돔(Oplegnathus fasciatus)부화장의 사육수 수질과 세균수

  • 최혜승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소) ;
  • 문태석 (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 ;
  • 박영철 (국립수산과학원 내수면양식연구소)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mass mortality during rockbream, Oplegnathus fasciatus seed production, the water quality and bacterial counts of sea water in breeding tanks was measured 20days post the hatch. During breeding of rockbream fry,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water quality were detected as pH, ammonia COD, phosphate at the supply of the food organisms and the seawater. pH was decreased from the 8.21 of the 1 day per hatch (dph) to 7.56 of the on the 7 dph. Ammonia was conversely increased 0.49 ppm of the 1 dph to 0.85 ppm of 10 dph. As the adding of the chlorella and the rotifer tanks, COD was increased the 3.3 times and 1.2 times than those of pre-adding respectively. The phosphate and the ammonia were also increased 1.7 and 2.3 times, with adding the chlorella respectively, which exceeded the second grade for sea water evaluation level, 0.015 ppm and 0.1 ppm respectively. Water quality was not improved by PSB (Photosynthetic Bacteria) treatment, which increased the value of COD in 1.7 times, phosphate in 2.7 times and ammonia in 1.4 times. The number of the bacteria was also increased along the dph.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chlorella, the number of total bacteria increased in 1.4 times and those of Vibrio sp. 1.6 times. The lethal concentration of ammonia was investigated that over than 10 ppm could killed the fry of rockbream within 28 hrs, but 40% in 2 ppm.

돌돔 치어 종묘 생산장에서 부화 후 약 20일 전후 대량 폐사 현상의 원인 조사를 위해 사육 수질의 영양염 및 일반 세균수와 사육 해수의 영양염 농도별 자어의 폐사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돌돔 부화 경과 일수별 사육수의 pH는 1일령 8.21, 7일령 7.56으로 일령이 증가할수록 pH는 감소하였으며 암모니아는 1일령 0.49 ppm, 10일령 0.85 ppm으로 증가하였다.먹이생물이 사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클로렐라 첨가하기 전보다 첨가 후 사육수의 COD는 3.3배 증가, 사육 해수에 로티퍼 첨가 후 COD는 약 1.2배 증가하였으며 인산염과 암모니아는 클로렐라 첨가 후 각각 1.7배, 2.3배 증가하여 해역Ⅱ등급 기준인 0.015 ppm, 0.1 ppm을 훨씬 초과하는 값이었다.돌돔 사육수 수질은 지수 사육시 COD는 3.85 ㎎/ℓ였으며 유수량 증가시 다소 양호해지는 경향이었고 지수 사육에 비해 유수 사육시 인산염, 암모니아 모두 양호한 경향이었으나 수질 해역Ⅱ등급을 훨씬 초과하는 값이었다.사육 수질의 정화를 위해 사용하는 PSB (광합성세균)의 1시간 처리 전후의 사육수 수질 변화는 사용 전에 비해 사용 후 COD 1.7배 증가, 인산염 2.7배 증가, 암모니아 1.4배의 증가를 보여 수질 개선효과는 없었다.사육수의 세균 조사 결과, 클로렐라 첨가 전 사육수의 총균 수는 8.7×102 cfu/㎖, 비브리오균수 2.7×102cfu/㎖, 클로렐라 첨가후 총균 수 1.4배, 비브리오균 수 1.6배 증가하였으며 부화경과 일수에 따라 사육수의 세균 수는 증가하였다.사육 해수의 암모니아 농도별 돌돔자어 (5일령)의 폐사율은 100 ppm에서 18시간, 50 ppm에서 20시간, 10 ppm 에서 28시간에 100%의 폐사를 나타내었으며 2 ppm에서 28시간에 40%, 1 ppm에서 28시간에 10%의 폐사를 가져왔다.

Keywords

References

  1. Muroga, K., Higashi, M. and Keitoku, H.: The isolation of intestinal microt1ora of farmed red seabream (Pagrus major) and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larval and juvenile stages. Aquaculture, 65: 79-88, 1987 https://doi.org/10.1016/0044-8486(87)90272-9
  2. 국립수산진흥원: 한국연근해 유용어류도감, p106, 1994
  3. 황형규, 이종하, 이종문: 돌돔종묘생산시험. 남수연사업보고 P381-383, 1994
  4. 황형규, 강용진, 이종하, 양상근:(III)돌동종묘생산시험. 남수연사업보고 p406-409,1995
  5. 국립수산진흥원: 해양오염 및 적조조사지침, pp 67-88,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