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trends and subjects of marine sports from point of view of scientific journals

학술지를 통해 본 해양스포츠 연구동향과 과제

Cha, Seong-Ki
차성기

  • Published : 2007010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precedent research material of latest five years from 2000 to 2005 regarding marine sports published in scientific journals in Korea to examine flow and subjects of the research on the sports. Main features of the sports were obtained as follows: Marine sports played important role together with changes of the times to launch systematic researches: However, the sports was still unsatisfactory at quality and quantity. The subject was in order of policy and improvement of marine sports promotion (31.0%), attitudes and cognition of participants (27.6%) and tourism as well as events (20.7%). Research methods consisted of literature research (41.4%) and survey research (37.9%). The material investigation method of each thesis should apply statistical methods subject to either reasonable collection methods or research models to contribute to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scientific areas. In the future, research areas of marine sports were likely to be divided and deepened so that research directions and problems, etc should be criticized to develop theses published in scientific journals as an dispute area.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4). 서해안고속도로 주변지역 개발계획. 경기: 건설교통부
  2. 고문수(2004). 해양소년단 활동과 사회적 태도와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3(1), 243-252
  3. 김경렬, 박동규, 박재성 (2005). 장애인을 위한 해양레저스포츠 활용 방안.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9, 283-292
  4. 김남용 (2005). 수상스포츠 참가와 신체적 자아효능감 및 대인관계 성향에 관한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6(3), 353-362
  5. 김병식 (2000). 스포츠연구법. 서울: 대한미디어
  6. 김하영 (2000). 바다로 세계로 해양스포츠 이벤트가 통영지역의 사회 . 문화적 변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39(4), 983-997
  7. 김학신, 박용범, 이재형 (2005). 해양리조트 서비스품질과 여행객 이미지, 충성도 재방문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16(5), 1793-1800
  8. 남행웅, 이동욱 (2001). OPEN-WATER 다이버 성향에 따른 해양스포츠다이빙 리조트 마케팅전략. 한국스포츠산업 . 경영학회지, 6(2), 333-346
  9. 노형규(2004). 특수체육에서의 질적 연구 적용과 전망.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2(3), 10-14
  10. 문화관광부(2003). 참여정부 국민체육 5개년계획. 서울: 문화관광부
  11. 박명국, 김성규(2002). 해양레저스포츠 활성화 방안. 한국스포츠산업 . 경영학회지, 7(1). 207-225
  12. 박봉률, 강진홍(2001). 해양스포츠 활성화 방안연구. 한국스포츠산업 . 경영학회지, 6(2), 315-332
  13. 박세혁 (2005).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의 연구동향. 한국체육학회보 34-35
  14. 박진권 (2005). 해양스포츠관광 개발에 관한 주민찬성도 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16(2), 937-945
  15. 박철수, 차성기 (2004 ). 래프팅 가이드 자격연수의 질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3(5), 603-614
  16. 백광, 남동현 (2002). 해양스포츠 및 해안성 이벤트 관광산업 활성을 위한 스포츠 정보제공의 필요성에 대한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3(4), 587-596
  17. 산업자원부(2004). 황남권 해양레저장비 개발센터 구축. 수송기계산업과, 공개자료
  18. 성태제 (2003). 교육연구 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19. 소훈(2005). 해양스포츠 참여 유인 요인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6(6), 1097-1106
  20. 안동수(2005). 치료레크리에이션 연구경향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9, 307-320
  21. 안혜진, 박중길 (2005). 국내 댄스스포츠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체육학회지, 44(6), 1093-1105
  22. 위성식, 김차용, 김진욱(2002). 현대 체육학연구법. 서울: 대경북스
  23. 윤영선 (2005). 해양레저스포츠 참여자의 인식도 관심도 및 재구매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9, 353-364
  24. 윤이중, 박철수 (2001). 해양스포츠교육의 필요성과 과제.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14(2), 317-335
  25. 이재빈, 지삼업 (2004). 어항을 활용한 해양스포츠 활성화 방안. 한국스포츠리서치, 15(5), 1141-1162
  26. 이재형 (2004). 해양스포츠 지도자들의 직무만족도와 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5(5), 1557-1570
  27. 이재형, 권혁동(2003). 해양스포츠관광의 정책적 중요성과 활성화 요인. 한국스포츠리서치, 14(6), 1169-1182
  28. 이정식(2004). 해양 레저스포츠 발전의 전제와 산업화 방안. 한국스포츠리서치, 15(6), 1827-1838
  29. 이정식 , 조춘환(2005). 현대 해양스포츠에 함축된 체육교육적 가치의 재음미와 교육목표. 한국스포츠리서치, 16(6), 1145-1156
  30. 이준희, 최정도(2003). 해양레저스포츠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한국스포츠리서치, 14(2), 425-436
  31. 이현수(2005). 통합체육교육에 관한 국내 학술 연구동향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4(1), 161-171
  32. 이호, 지삼업 (2004) 해양 엘리트스포츠 선수의 작업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5(6), 1839-1850
  33. 장윤정 (2005). 국내 무용심리학 연구의 내용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6(2), 149-167
  34. 장윤정, 박중길 (2005). 국내 무용교육학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체육학회지, 44(5), 801-811
  35. 전종귀, 정문현 (2003).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해양레저스포츠 관광의 활성화 방안. 충남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1, 62-69
  36. 정종석 (2004 ).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 시행에 따른 효율적인 개선 방안. 한국스포츠리서치,15(5), 353-364
  37. 조재기, 신영균, 손명준(2003). 해양 레저스포츠 관광 상품화 개발을 위한 대학과 지방자치단체간의 커뮤니케이션 모형개발(I). 한국스포츠리서치, 14(6), 1149-1168
  38. 조재기, 신영균, 손명준(2004). 해양 . 레저스포츠 관광상품 개발을 위한 대학과 지방자치단체간의 협력 모형(II). 한국체육학회지, 43(2), 351-372
  39. 지삼업 (2002). 대규모 국제행사 경제효과 극대화를 위한 해양스포츠 육성방안. 한국체육학회지, 41(4), 83-97
  40. 지삼업 (2003). 해양스포츠 대중화를 위한 사회적 환경요인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2(6), 241-257
  41. 지삼업 (2004). 해양스포츠 대중화를 위한 자연적 환경 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15(6), 940-970
  42. 지삼업 (2005) 해양스포츠 대중화를 위한 수정된 환경요인 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16(6),1107-1124
  43. 차성기 (2004 ). 지방분권 시대의 해양성 레저스포츠 활용에 관한 고찰. 목포대학교 스포츠산업연구소, 3, 67-86
  44. 최정도, 조현민 (2005). 해양스포츠시설 구성원의 임파워먼트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6(3), 1027-1038
  45. 한국사회체육학회 (2006). 사회체육학의 연구동향, 한국체육학회보 32-33
  46. 함도웅 (2005). 해양레저 스포츠의 정책운영의 효율성에 관한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6(5), 1781-1792
  47. 해양수산부(2004). 주 5일 근무 등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해양관광 진흥 기본계획. 서울: 해양수산부
  48. Bredle-Brendenenbeck, H. P., & Brettschneider, W. D. (1997). Sport Involvement and Self- Concept in German and American Adolescents, Sociology of Sport. Sage Publication
  49. Krippendorff, K. (1980).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logy. London: SAGE Publication
  50. Marshall, C., & Rossmann, G. (1989). Designing Qualitative Research (2nd Ed.). Sage Publication, 78-107
  51. Metoyer-Duran, C., & Hernon, P. (1994). Problem statements in research and published research.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16, 105-108 https://doi.org/10.1016/0740-8188(94)900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