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Urban Crime in Relation to Land Use Patterns

토지이용에 따른 도시범죄에 대한 연구 - 개발밀도 및 용도와 도시범죄밀도 간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Kim, Dong-Kun;Yoon, Young-Jin;Ahn, Kun-Hyuck
김동근;윤영진;안건혁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rban crime density in accordance with land-use paterns by building the GIS database of the crime report in Seoul Seongdong-gu, Keumcheon-gu, Dongjak-gu, Gwanak-gu.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urban crime density increases steeplygradualy becomes blunt after FAR reaches 20%. The analysis of u r b a n c r i m e d e n s i t y a n d l a n d - u s e occupancy rate results in inverse U-shape graphs with highest points at 20% residential area or 60% comercial area. The graphs imply that mixed land-use areas havthan other areas. Residential areas generally have lower posibility of crime than comercial areas, but it is a little complicate. Residential areas composed of high-rising apartments have average level of crime density. Row housing areas has relatively higher possibilmaximum crime density ocurs when FAR value is 150% while in apartment areas, except for few low-rising apartments with FAR values lower than 100%, crime density is constant, independent of FAR values.

토지이용계획은 토지이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한편, 사전적으로 개별적 토지이용의 기준을 세워 토지이용의 경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외부불경제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그 기능상의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토지이용계획의 목적에는 경제적 이익과 비용부담의 문제뿐만 아니라, 쾌적한 도시환경의 조성과 도시민의 안전이라는 기본권 보장도 포함되어 있다. 도시에서 발생하는 각종 범죄 또한 도시민의 생활을 위협하고, 나아가 도시의 작동을 방해하는 불경제요소이다. 따라서 도시에서 발생하는 각종 범죄를 범죄예방시스템이나 경찰조직과 더불어 도시계획 및 설계, 도시개발 측면에서 범죄를 분석하고, 보다 안전한 도시를 만들어 나가는 것은 살기 좋은 도시를 이루어 내기 위한 기본적인 작업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Brantingham, P(1993) Nodes, Paths and Edges : Considerations on the complexity of crime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vol 13, pp3-28 https://doi.org/10.1016/S0272-4944(05)80212-9
  2. Bowers, K & Hirschfield, A (1999), Exploring Links between Crime and Disadvantage in North-west Eng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armation Science 13(2), pp159-184 https://doi.org/10.1080/136588199241409
  3. Hirschfield, A. & Brown, P. & Todd, P.(1995), GIS and the Analysis of Partially Referenced Crime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armation Science 9(2), pp191-21O https://doi.org/10.1080/02693799508902033
  4. Jeffery, C. Ray(1977)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Sage Publications, Beverly Hills
  5. Newman, O.(1973) Dfersible sJUce : crirre preventirn through urban design, Dollier, Nw York
  6. Stollard,P.(1991), Crime prevention through housing design, Chapman and Hall, New York
  7. 정무웅.김선필(1997) '단독주택지역 범죄발생과 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3(3):63-77.
  8. 정무웅.김선필(1998) '주거환경의 상황적 특성 및 범죄발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2(8):95-108.
  9. 이영웅.권오은(2001) '지역의 물리적 특성과 범죄발생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학술대회 1531-1535
  10. 강준모.권태정(2002) '고밀주거단지 내 범죄발생장소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한국도시설계학회 학술대회 139-149
  11. 노재형(2002)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학술대회 81-94
  12. 최재필.이기완(2002)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범죄취약공간 해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8(3):53-61
  13. 최재필.이기완(2002) '시각적 접근과 노출 모델을 이용한 범죄취약공간 해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8(4):63-70
  14.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2003) 토지이용계획론. 서울. 보성각
  15. 황선영.황철수(2003) 'GIS를 활용한 도시 범죄의 공간패턴분석' 국토계획 38(1):53-66
  16. 최현아(2003) '범죄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의 영등포구를 사례로'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7. 박명규(2003) 'GIS의 공간분석을 활용한 범죄 예측지도의 구현 . 서울시 성북구를 사례로' 홍익대 석사학위논문
  18.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4) 서울시 범죄발생의 도시계획적 함의
  19. 장동국(2004) '공간구문론에 의한 주거지역의 공간침입범죄 해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0(3):61-69
  20. 김현정(2004) '도시내 공원녹지공간이 범죄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 석사학위논문
  21. 박성민.신재억(2005) '주거지 가로변의 창호면적과 노상범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대회 25(1):79-82
  22. 최영인.염건령(2005)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 방이론의 역사와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