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an 8-week combined training of walking and rope skipping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blood lipid profiles, and growth hormone in elementary students

8주간의 걷기와 줄넘기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초등학생의 신체구성, 체력, 혈중 지질 및 성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Baek, Eun-Jin;Lee, Man-Gyoon
백은진;이만균

  • Published : 2007.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8-week combined training of walking and rope skipping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blood lipid profiles, and growth hormone in Elementary students. Subjects in training group (TR: n=11) participated in the combined training program of walking and rope skipping for three/four times per week for eight weeks, whereas subjects in control group (CON: n=10) were asked to maintain their normal life pattern. The results analyzed by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ere as follows: 1) Percent body fat decreased significantly in TR group, whereas the body weight and BMI increased significantly in CON group. 2) Push-up, sit and reach, standing long-jump, and side-step increased significantly in TR group, whereas no change was found in CON group. 3) The variables related to blood lipid profile such as TC, LDL-C, HDL-C, and TG changed significantly in TR group. 4) The hGH increased significantly in TR group. It was concluded that the combined training of walking and rope skipping w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blood lipid profiles, and growth in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

Keywords

References

  1. 강수용, 조병만, 이수일, 황인경, 김영옥, 김영실, 차애리, 하이호, 이철호, 김돈규(1997). 부산지역 일부 소아의 혈청 지질 분포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30(4), 686-696
  2. 강찬금, 하민수, 오유성(2004). 저항 운동과 유산소 운동이 카테콜라민(NE), 젖산, FFA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1, 117-126
  3. 강창균(2005). 10주간의 줄넘기 트레이닝이 일반대학생의 신체구성, 체력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4. 고흥환(1992). 체육의 측정과 평가. 연세대학교 출판부
  5. 교육부(2004). 2004년 비만학생 실태조사결과 분석보고
  6. 김만호, 최민동(2001). 초등학교 아동의 체력요인과 신체형태의 관련성 추정. 한국발육발달학회지, 9(1), 69-76
  7. 김봉석(2000). 12주 줄넘기 운동이 비만 청소년들의 체지방, 전신지구력,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8. 김영범(1997). 트레이닝 밑 디트레이닝이 비만아동의 신체구성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9. 김유섭(1996). 규칙적인 운동이 베타엔돌핀, 프로락틴, 코티졸 및 지단백 대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10. 김홍인(2001). 운동의 체중감량 효과 : 유산소 운동과 체중감량. 대한비만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0(1), 96-108
  11. 나승희, 김승영(2001). 걷기 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신체구성 및 혈중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4(4), 1037-1046
  12. 노경섭, 오수일(1999). 유산소 운동이 비만 남자 중학생의 신체구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 강원대학교부설 체육과학연구소논문집, 23, 211-230
  13. 마명락, 박승한, 류호상, 김정기, 이채형, 김규호, 허용, 김진형(2005). 걷기 운동이 혈중 지질과 스트레스 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6(5), 11-19
  14. 문화관광부(2004). 국민체력 실태조사
  15. 박익렬(2004). 복합 운동프로그램이 비만 여중생의 신체조성과 성장호르몬 및 IGF-1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3(6),419-427
  16. 박준희(1992). 12주간의 에어로빅 운동이 신체구성 및 혈중 지질 상태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논문집, 1, 169-181
  17. 백용현, 노성규(1994). 단체 줄넘기 운동이 중학생들의 행동체력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논문집, 393-403
  18. 서용호(1984). 생활인의 보디빌딩. 스포츠 동아, 279
  19. 서정호(2004). 제주 지역 소아 청소년의 비만의 유병률 및 비만도에 따른 임상적 특성. 대한소아과 학회지, 47(4), 362-367
  20. 신재훈, 김기중(1997). 성장호르몬결핍성 환아에서 성장 호르몬 치료 후의 혈중 I형 인슐린양 성장인자와 성장속도, 지방량 및 근육량과의 연관성. 대한소아과학회지, 40(1), 97-103
  21. 유명근, 이만균, 문황운(2004). 장기간의 걷기 트레이닝이 중년 여성의 체력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학논문집, 32, 173-181
  22. 이원재, 김명수, 주성범(2001). 복합 유산소 운동이 40대 여성의 신체조성, 체력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5(1), 697-705
  23. 이종수(1989). 줄넘기 운동의 운동강도 및 에너지 소모량에 관한 연구. 학교체육연구논문집, 1, 59-112
  24. 임병규(2004). 초등학생의 체격, 체력지수와 건강생활습관에 의한 건강도 평가.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2(3), 17-28
  25. 오유성(2000). 저항 운동과 유산소 운동이 에너지 대사물질 호르몬과 초과산소소비량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체육대학원
  26. 전미숙(2003). 초등학교 비만아동을 위한 비만관리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7. 전종귀(1997). 중량줄넘기 운동의 생리적 효과. 운동과학, 6(1), 1-11
  28. 정도상, 박봉현, 정재섭(2005). 복합 운동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학교체육학회지, 15, 93-115
  29. 정진원, 김명곤(2000). 서로 다른 강도의 줄넘기 운동이 초등학교 남자아동의 기초체력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8(1), 25-34
  30. 최대혁(2004). 줄넘기 운동형태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및 대사적 변화. 운동과학, 13(1), 25-34
  31. 최형규(2005). 복합운동이 생장기 여학생의 비만지표, 근력, 유연성 및 키 성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32. 한상철, 강계윤, 김평석, 이상호, 하민수(2003). 줄넘기 운동과 달리기 운동이 비만 초등학생의 신체 성분 변화 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4(1), 593-603
  33. 허윤종(2003). 지속적인 줄넘기 운동이 비만 초등학생들의 체지방율과 혈청지질 및 체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주교육 대학교교육대학원
  34. 허은재, 박영수(1998). 운동이 비만아의 신체구성에 미치는 효과. 학교보건.체육연구소 논문집, 5(1), 99-114
  35. Brownell, K D., Bachorik, P. S., & Ayerle, R. S.(1982). Changes in plasma lipid and lipoprotein levels in men and women after a program of moderate exerdse. Circulation, 65(3), 477484 https://doi.org/10.1161/01.CIR.65.3.477
  36. Dao, H. H., Frelut, M L, Oberlin, F., Peres, G, Bourgeois, P., & Navarro, J.(2004). Effects of a multidisdplinary weight loss intervention on body composition in obese adolesc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8(2), 290-299 https://doi.org/10.1038/sj.ijo.0802542
  37. Dietz, J. & Schwartz, J.(1991). Growth hormone alters lipolysis and hormone-sensitive lipase activity in TB-F442A adipocytes. Metabolism, 40, 800-806 https://doi.org/10.1016/0026-0495(91)90006-I
  38. Eliakim A, Scheett T. P., Newcomb R, Mohan S, & Cooper D. M(2001). Fitness, training, and the growth hormone: insulin-like growth factor I axis in prepubertal girls.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86(6), 797-802 https://doi.org/10.1210/jc.86.2.797
  39. Essig, D. A, Alderson, N. L Ferguson, M A, Bartoli, W. P., & Durstine, J. L.(2000). Delayed effects of exercise on the plasma leptin concentration Metabolism, 49(3), 395-399 https://doi.org/10.1016/S0026-0495(00)90396-2
  40. Forbes, G. B.(1991). The companionship of lean and fat - Some lessons from body composition studies, New York, Academic Press, 317-329
  41. Friedewald, W. T., Levy, R I,., Fredrickson, D. S.(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ical Chemistry, 18, 499-502
  42. Gutin, B., Ramsey L., Barbeau P., Cannady W., Ferguson, M, Litaker M, & Owens, S.(1999). Plasma leptin concentration in obese children: change during 4-mo periods with and without physical training.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69(3), 388-394 https://doi.org/10.1093/ajcn/69.3.388
  43. Hartoh, M, Havel, R J? Copinschi, G, Earll, J. M, & Ritchie, B. C(1967).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serum levels of growth hormone and mobilization of fat during exercise in man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Cognition and Medical Science., 52, 86-96
  44. Klerman, E. B., Adler, G K., Jin, M, Maliszewski, A M, & Brown, E. N(2003). A statistical model of diurnal variation in human growth hormone.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285(5), E1118-1126
  45. Lopez, M A V., Morales, A C, Vico, J. M, Llorens, R M, Bonachera, M D. C, Munoz, J. L., & Hoyos, A M(2001). Serum transferrin receptor in healthy children Andes Espafioles de Pediatria, 55(2), 113-120 https://doi.org/10.1016/S1695-4033(01)77646-1
  46. Pavlou, K N., Steffee, W. P., Lerman, R H., & Burrows, B. A (1985). Effects of dieting and exercise on lean body mass, oxygen uptake, and strength.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17, 466-471 https://doi.org/10.1249/00005768-198508000-00011
  47. Pollock, M L., Miller, H., Janeway, R, Linnerrud, A C, Robertson, B., & Valentino, R (1971). Effect of walking on body composition and cardiovascular function of middle aged me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30, 126-130 https://doi.org/10.1152/jappl.1971.30.1.126
  48. Sutton, J. R & Lazarus, J. B. (1976). Growth hormone in exercise ;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nd pharm-arcological stimuli.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41, 523-527 https://doi.org/10.1152/jappl.1976.41.4.523
  49. Tsolakis, C, Xekouki, P., Kaloupsis, S., Karas, D., Messinis, D., Vagenas, G, & Dessypris, A(2003). The influence of exercise on growth hormone and testosterone in prepubertal and early-pubertal boys. Hormones, 2(2), 103-112 https://doi.org/10.14310/horm.2002.1189
  50. Vanhelder, W. P., Radomski, M W., & Goode, R G (1984). Growth hormone response during intermittent weight lifting exercise.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53(1), 31-34 https://doi.org/10.1007/BF00964686
  51. Viru, A M, Hackney, A G, Valja, E., Karelson, K., Janson, T., Viru, M (2001). Influence of prolonged continuous exercise on hormone responses to subsequent exercise in humans.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85(6), 578-585 https://doi.org/10.1007/s004210100498
  52. Voloshin, A S. (1988). Shock adsorption during running and walking. Journal of the American Paediatric Medical Association, 78(6), 295-299 https://doi.org/10.7547/87507315-78-6-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