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ype 2 Diabetic Patients According to Insulin Secretion and Insulin Resistance

한국인 제2형 당뇨병환자의 인슐린분비능과 인슐린저항성에 따른 임상적 특성

Song, Kyoung-Eun;Park, Ji-Won;Cho, Hong-Keun;Lee, Kwan-Woo;Huh, Kap-Bum;Kim, Dae-Jung
송경은;박지원;조홍근;이관우;허갑범;김대중

  • Published : 20070300

Abstract

Background: Korean type 2 diabetic patients are known to differ from western diabetes because of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such as non-obese but centrally obese anthropometry and relatively more insulin secretory defects than insulin resistance compared to western diabetic patients. Methods: We recruited 1,646 diabetic patients in the present study and excluded the 45 patients with fasting C-peptide < 0.20 nmol/L. We had assessed insulin secretion by fasting serum C-peptide level and insulin resistance by short insulin tolerance test (Kitt ; rate constant for plasma glucose disappearance, %/min) in the private diabetes clinic. The insulin secretory defect was divided by severe (C-peptide < 0.37 nmol/L), moderate (C-peptide 0.37~0.56 nmol/L), and normal (C-peptide ≥ 0.57 nmol/L) group. The insulin resistance was divided by insulin resistant (IR) (Kitt < 2.5 %/min) and insulin sensitive (IS) (Kitt ≥ 2.5 %/min) group.Results: We analysed the data of 1,601 type 2 diabetic patients (831 men and 770 women, age 56.5 ± 10.8 years, duration of diabetes 9.6 ± 7.3 years). The prevalence of BMI ≥ 25.0 kg/m2 is 42.5% and BMI ≥ 23.0 kg/m2 is 70.2%. The prevalence of abdominal obesity (waist ≥ 90 cm in men and 80 cm in women) is 45.2% (36.0% and 55.2%, respectively in men and women). Fasting C-peptide level is 0.64 ± 0.29 nmol/L and Kitt value is 2.03 ± 0.96%/min. According to fasting C-peptide level, the degree of insulin secretory defect were severe (13.1%), moderate (33.0%) and normal (53.9%). According to Kitt value, the IR group is 70.6% and the IS group is 29.4%.Conclusion: Obese type 2 diabetes is markedly increasing in Korea. Therefore, the major problem in Korean type 2 diabetic patients is being changed into insulin resistance instead of insulin secretory defect. (J Kor Diabetes Assoc 31:123~129, 2007)

연구배경: 한국인 제2형 당뇨병환자는 서양인과는 임상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한국인 당뇨병의 병태생리적 특성에 따른 치료지침의 개발이 절실하다. 본 연구는 한국인 제2형 당뇨병환자의 병태생리적 특성에 따른 분류와 임상적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5년 4월에 걸쳐 일개 당뇨병 클리닉에 내원한 제2형 당뇨병환자 1,646명 중 공복 시 혈청 C-peptide 0.2 nmol/L 미만인 45명을 제외한 1,601명 (남자 831명, 여자 7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슐린분비능은 공복 C-peptide 농도로 평가하였고, 인슐린저항성은 단시간 인슐린 내성검사를 통한 kitt (rate constant for plasma glucose disappearance)로 평가하였으며 기타 혈액학적 검사 및 신체계측을 실시하였다. 결과: 당뇨병환자의 평균연령은 56.5 ± 10.8세 (16~89세)였으며 당뇨병의 유병기간은 9.6 ± 7.3년 (1~43년)이었다. 체질량지수는 24.7 ± 3.2 kg/m2, 허리둘레는 남자군에서 87.0 ± 7.4 cm, 여자군에서 80.3 ± 8.8 cm 이었고, 공복 시 혈청 C-peptide 농도는 0.64 ± 0.29 nmol/L, kitt는 2.03 ± 0.96 %/min였다. BMI 25.0 kg/m2 이상의 비만이 42.5%였으며 23.0 kg/m2 이상 과체중 및 비만의 비율은 70.2%로 나타났다. 허리둘레를 기준 (남자 90 cm 이상, 여자 80 cm 이상)으로 복부비만의 비율은 남자는 36.0%, 여자는 55.2%로 여자에서 더 복부비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복 시 혈청 C-peptide 농도에 따라 인슐린분비능의 분류 시 심한 분비장애 (< 0.37 nmol/L) 13.1%, 중등도 분비장애 (0.37 ~0.56 nmol/L) 33.0%, 분비장애가 없는 경우 (≥ 0.57 nmol/L) 53.9%로 나타났다. Kitt에 의한 인슐린저항성의 분류 시 인슐린 감수성군 (≥ 2.5 %/min) 29.4%, 인슐린저항성군 (< 2.5 %/min) 70.6%로 나타났다. 허리 둘레 기준으로 복부비만이 동반되거나 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심한 인슐린저항성이 관찰되었으며, 인슐린저항성이 있는 군은 없는 군에 비해 혈당조절이 잘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8.5 ± 1.9% vs. 7.7 ± 1.5%, P < 0.001).

Keywords

References

  1. Min HK, Yoo HJ, Lee HK, Kim EJ: Changing patterns of the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in Korea. 당뇨병 6:1-4, 1981
  2. 조남한: 우리나라 당뇨병의 유병률과 관리 상태. 대한내과학회지 68:1-3, 2005
  3. 조남한: 한국인 당뇨병의 역학. 당뇨병 25:1-10, 2001
  4. 대한당뇨병학회: 당뇨병학. 제3판, p.1, 고려의학, 2005
  5. Zimmet P, Dowse G, Finch C, Serjeantson S, King H: The epidemiology and natural history of NIDDM -lessons from the South Pacific. Dia Metab Rev 6:91-124, 1990 https://doi.org/10.1002/dmr.5610060203
  6. Kopelman PG: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404:635-43, 2000 https://doi.org/10.1038/35007508
  7. Flegal KM, Carroll MD, Ogden CL, Johnson CL. Prevalence and trends in obesity among US adults, 1999-2000. JAMA 288:1723-7. 2002
  8. 최중명: 한국인 비만의 역학적 특성- 199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대한비만학회지 10:293-5, 2001
  9. 송태휘, 최보란, 탁상민, 강지욱, 김충헌, 문환철, 우정택, 김응진: 한국인 당뇨병에 있어서의 체중의 후향적 관찰. 당뇨병 14:229-33, 1990
  10. 민헌기: 한국인 당뇨병의 임상적 특성. 당뇨병 16:163 -74, 1992
  11. 박중열, 김현규, 김민선, 박경수, 김성연, 조보연, 이홍규, 고창순, 민헌기: 한국인 인슐린비의존성 환자의 체중변화 양상. 당뇨병 17:51-8, 1993
  12. 박석원, 윤용석, 안철우, 남재현, 권석호, 송민경, 한설혜, 차봉수, 송영득, 이현철, 허갑범: 인슐린저항성의 평 가에 있어서 단시간 인슐린 내성검사의 유용성. 당뇨병 22:199-208, 1998
  13. Western Pacific Regional Office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2000. http://www.obesityasiapacific.com
  14. Kim DJ, Lee MS, Kim KW, Lee MK: Insulin secretory dysfunc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the pathogenesis of Korean type 2 diabetes mellitus. Metabolism 50:590-3, 2001 https://doi.org/10.1053/meta.2001.22558
  15. 이광우, 손호영, 강성구, 방병기, 박두호, 민병석: 한국인 18, 201명에서 당뇨병과 관련질환에 관한 역학적 연구. 당뇨병 8:5-14, 1984
  16. Lee TH: Prevalence of obesity in Korean non-insulin -dependent diabetic patients. Diabetes Res Clin Pract 32:71-80, 1996 https://doi.org/10.1016/0168-8227(96)01251-X
  17. 허갑범: 한국인 당뇨병의 특성과 치료. 당뇨병 21:S7 -14, 1997
  18. 김철식, 정은경, 박진아, 조민호, 남지선, 김혜진, 공지현, 박종숙, 남주영, 김똘미, 안철우, 차봉수, 임승길, 김경래, 이현철, 남정모: 신체 계측 특성 및 식사습관에 관련된 당뇨병(ADA 공복혈당 기준) 및 공복혈당장애의 유병률 -199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한-. 당뇨병 29:151-66, 2005
  19. 허갑범, 김유리, 안광진, 정윤석, 이은직, 임승길, 김경래, 이현철, 백인경, 최미숙, 이종호, 이영해: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환자의 체지방 분포와 인슐린저항성과의 상관성. 대한내과학회지 44:1-18, 1993
  20. 정혜원, 김유미, 김대중, 남재현, 안철우, 차봉수, 송영득, 임승길, 김경래, 이현철, 허갑범: 한국인 제2형 당뇨병환자의 표준치료지침 개발. 대한내과학회지 64:655-63,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