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of Morphology and Osteology of the Whitespotted Puffer, Arothron hispidus (Linnaeus, 1758)

흰점꺼끌복, Arothron hispidus (Linnaeus, 1758)의 형태 및 골격

  • Han, Kyeong-Ho (Division of Fisheries and Ocean Scien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한경호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 해양기술학부)
  • Received : 2007.08.07
  • Accepted : 2007.11.06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e whitespotted puffer, Arothron hispidus (Linnaeus, 1785), of the family Tetraodontidae were collected by an Koheung Peninsula in July 2003. This species is color of the body; covered with black and the spots on the body is white color. white. Dorsal fin rays 11~12; pectoral fin rays 17; anal fin rays 10~11; caudal fin rays 5+6=11; vertebrae 8+10=18. Measurement for five specimen (195.0~265.3 mm SL) in hundredths of standard length; head length 36.8%; pectoral fin length 13.4%; dorsal fin length 11.6%; caudal peduncle length 15.0%; caudal peduncle depth 13.7%. This is ventral postclavicle, exposed in hundredths of length 6.14~6.75; verterbrae 18; dorsal pterygiophores formula $7{\ast}1231$; number of dorsal pterygiophores 7.

분류학적으로 참복과에 속하는 흰점꺼끌복, Arothron hispidus (Linnaeus, 1785)은 2003년 7월에 전라남도 고흥군 녹동연안에서 저층 트롤로 3마리(체장 62.7~71.0 mm)를 채집하였다. 체색은 전체적으로 검회색이지만 색의 변화가 다양하며, 측면 관찰 시 가슴지느러미를 기준으로 위쪽에 하얀 반점이 분포하며, 가슴지느러미 아래쪽으로 반원의 흰색 띠가 배를 덮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등지느러미 줄기수는 11~12개이며, 뒷지느러미 줄기수는 10~11개, 가슴지느러미 줄기수는 17개, 꼬리지느러미 줄기수는 5+6=11개였다. 두개골은 총 13개의 골편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같은 속 꺼끌복에 비하여 사골 길이, 액골의 크기에 차이를 보였다. 악골은 위턱에 전상악골과 주상악골, 아래턱에 치골, 관절골 및 각골로 구성되어 있고, 꺼끌복에 비해 각골과 관절골의 크기는 크게 나타났다. 현수골은 구개부가 7개, 새개부는 4개의 골편으로 이루어져 있고, 견대부의 상쇄골과 쇄골은 T-자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척추골은 크게 복추골과 미추골로 나누며, 그 수는 8+10=18개였고, 등지느러미를 지지하는 담기골식은 $7{\ast}1231$으로 꺼끌복의 7*1232와 차이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익수.이완옥. 1990. 한국산 참복아목 어류. 한어지, 2(1) :1-27
  2. 김용억. 1989. 어류학 총론. 태화출판사, 부산, 270pp
  3. 이완옥. 1993. 한국산 참복과(복어목)어류 6미기록종. 한어지,5(2) : 165-176
  4. 한경호. 1995. 참복과(복어목)어류의 형태, 골격 및 계통분류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논문집, 205pp
  5. 한경호. 2000. 참복과(복어목) 어류의 분류학적 연구. 여수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논문집, 9 : 48-66
  6. 한경호.김용억. 1998a. 참복과(복어목) 어류 속의 외부형태적 특징. 한국수산학회지, 31(3) : 309-316
  7. 한경호.김용억. 1998b. 참복과(복어목) 어류 속별 척추골과 담기골 특징. 한국수산학회지, 31(5) : 645-653
  8. 한경호.진동수. 2000. Sphoeroides annulatus, 둥근무늬불룩복(복어목, 참복과)의 형태 및 골격. 여수대학교 기초과학 연구소 논문집, 2 : 53-62
  9. Abe, T., O. Tabeta and K. Kitahama, 1984. Notes on some swellifshes of the genus Lagocephalus (Tetraodontidae,Teleostei) with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from Japan. Uo, Jpn. Soc. Ichthyol., 34 : 1-10
  10. Matsuura, K. 1984. Tetraodontifromes. In Masuda et al., eds.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Tokai Univ. Press, Tokyo, Text, pp. 357-366
  11. Nakabo, T. 1993.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Tokai Univ. Press, Tokyo, 1474pp
  12.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rd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550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