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care for Diabetic Patients in Primary Care

일차의료기관을 이용하는 당뇨병 환자들의 자기관리 실태

Lim, Ki-Bo;Lee, Rhan;Ko, Kyung-Nam;Kim, Jae-Hun;Cheong, Yoo-Seock;Park, Eal-Whan;Kim, Jong-Taik;Kim, Jin-Se;Kim, Ki-Sung;Sim, Sug-Kyu;Kang, Ki-Hyung;Park, Yun-Jong;Choi, Eun-Young
임기보;이란;고경남;김재훈;정유석;박일환;김종택;김진세;김기성;심석규;강기형;박윤종;최은영

  • Published : 20070200

Abstract

Self-care for Diabetic Patients in Primary CareKi Bo Lim, M.D., Rhan Lee, M.D., Kyung Nam Ko, M.D., Eun Young Choi, M.D., MPH.†, Jae Hun Kim, M.D.**, Yoo Seock Cheong, M.D., Ph.D., Eal Whan Park, M.D., Ph.D., Jong Taik Kim, M.D.*, Jin Se Kim, M.D.*, Ki Sung Kim, M.D.*, Sug Kyu Sim, M.D.*, Ki Hyung Kang, M.D.*, Yun Jong Park, M.D.*

연구배경: 당뇨병은 일차의료를 담당하는 가정의가 관리하게 되는 흔한 만성 질환 중의 하나로 평소에 관리를 잘 하면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질환이다. 본 연구는 천안 지역 진료중심 연구망을 중심으로 2형 당뇨병 환자의 자기 관리 실태를 조사하였다. 방법: 2005년 5월부터 7월까지 천안 지역 6개 가정의학과의원과 1개 대학병원 가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193명의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일반적 인구학적 특성, 당뇨병에 관한 병력과 치료 방법, 합병증 관리 여부, 자가 혈당 측정 여부, 운동에 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당뇨병 환자의 평균 연령은 57.6세(±11.7)였고, 남자가 58%, 당뇨병의 평균 유병기간은 4년 이하가 58.5%로 가장 많았고, 흡연율은 22.8%, 음주율은 39.9%였다. 병원 방문 횟수는 한달에 1회가 62.3%로 가장 많았으며, 치료 방법으로는 경구혈당강하제 79.7%, 비약물적 치료 13.5%, 인슐린 치료 5.2% 순이었다. 당뇨병 환자의 29.6%가 일주일에 4회 이상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였고, 학력이 낮을수록,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료하지 않은 군에서 운동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았다. 전체 당뇨 환자의 37.3%는 자가혈당측정을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자가혈당측정률이 증가하였고, 인슐린치료군에서 자가혈당측정률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다. 당뇨병 환자의 18.1%는 정기적인 24시간 소변 단백 측정을 하고 있었고, 학력과 월소득이 높을수록 24시간 소변 단백 측정률이 증가하였다. 당뇨병 환자의 32.6%가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받고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 요인은 없었다. 결론: 당뇨병 환자의 운동 여부, 자가혈당 측정, 당뇨병성 신증의 선별 검사 등 당뇨병 자기 관리 실태는 아직 권고안에 미치지 못하고 있고, 연령이나 학력과 같은 인구학적 요인과 치료 형태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보다 나은 당뇨병 관리를 위해서 당뇨병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자기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안규정. 한국형 당뇨병은 존재하는가? 대한의사협회지 2005; 48:707-14
  2. 신찬수, 김현규, 김원배, 박경수, 김성연, 조보연 등. 경기도 연천지역에서 당뇨병의 발생률. 당뇨병 1996;20:264-72
  3. 백세현, 최경묵, 조영직, 김경오, 김동림, 김난희 등. 서울 서 남부지역 노인인구에서 공복혈당 및 경구 당부하검사(ADA 및 WHO 당뇨병진단기준)에 의한 당뇨병의 유병률. 당뇨병 2001;25:125-32
  4. 이관우. 생활습관병으로서 당뇨병의 중요성 인식. 대한의사협회지 2005;48:703-6
  5.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Implications of the United Kingdom Prospective Diabetes Study. Diabetes Care 2000; 23(Suppl 1):S27-S31
  6. The effect of intensive treatment of diabetes o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long-term complications in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The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 Research Group. N Engl J Med 1993;329: 977-86 https://doi.org/10.1056/NEJM199309303291401
  7. 유계수, 고근아, 고완의. 설문조사에 의한 병원에서 치료중인 당뇨병 환자들의 일반적인 현황. 당뇨병 1988;12(2):215-6
  8. 최창훈, 김경렬, 배철영, 신향순, 신동학. 일차진료에서의 당 뇨병 환자의 관리 실태조사. 가정의학회지 1993;14:258-64
  9. 예현수, 전종득, 박혜순.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성 환자의 식 이 및 운동요법에 대한 지식 및 실천조사. 가정의학회지 1996;17:223-31
  10. 보건복지부.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보고서. 서울:보건복 지부;2003
  11. 최철수. 당뇨병교육자 학술강좌: 당뇨병에서의 의학적 효과 및 기전, 대한당뇨병학회 제14차 춘계학술대회. 2001. p. 145-50
  12. 김상아, 박웅섭, 오희철, 강혜영, 이대희, 이상욱 등. 우리나라 당뇨병의 유병률과 관리 상태. 대한내과학회지 2005;68(1): 10-7
  13. Nelson KM, Reiber G, Boyko EJ; NHANES III. Diet and exercise among adults with type 2 diabetes: finding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III). Diabetes Care 2002;25:1722-8 https://doi.org/10.2337/diacare.25.10.1722
  14.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 Diabetes Care 2005;28(Supple 1):S4-S36 https://doi.org/10.2337/diacare.28.suppl_1.S4
  15. Harris MI, Cowie CC, Howie LJ.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by adults with diabetes in the United States population. Diabetes Care 1993;16(8):1116-23 https://doi.org/10.2337/diacare.16.8.1116
  16. Evans JM, Newton RW, Ruta DA, MacDonald TM, Stevenson RJ, Morris AD. Frequency of blood glucose monitoring in relation to glycaemic control: observational study with diabetes database. BMJ 1999;319:83-6 https://doi.org/10.1136/bmj.319.7202.83
  17. Bode BW, Gross TM, Thornton KR, Mastrototaro JJ.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used to adjust diabetes therapy improves glycosylated hemoglobin: a pilot study. Diabetes Res Clin Pract 1999;46:183-90 https://doi.org/10.1016/S0168-8227(99)00113-8
  18. The effect of intensive treatment of diabetes o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long-term complications in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The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 Research Group. N Engl J Med 1993; 329:977-86 https://doi.org/10.1056/NEJM199309303291401
  19. Karter AJ, Ackerson LM, Darbinian JA, D'Agostino RB Jr, Ferrara A, Liu J, et al.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levels and glycemic control: the Northern California Kaiser Permanente Diabetes registry. Am J Med 2001;111:1-9
  20. Nathan DM, McKitrick C, Larkin M, Schaffran R, Singer DE. Glycemic control in diabetes mellitus: have changes in therapy made a difference? Am J Med 1996;100:157-63 https://doi.org/10.1016/S0002-9343(97)89453-3
  21.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Test of glycemia in diabetes (Position Statement). Diabetes Care 2003;26(Suppl 1):S106-S8 https://doi.org/10.2337/diacare.26.2007.S106
  22. Welschen LM, Bloemendal E, Nijpels G, Dekker JM, Heine RJ, Stalman WA, et al.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who are not using insulin: a systematic review. Diabetes Care 2005;28(6):1510-7 https://doi.org/10.2337/diacare.28.6.1510
  23. Tight blood pressure control and risk of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in type 2 diabetes: UKPDS 38. UK Prospective Diabetes Study Group. BMJ 1998;317(7160): 703-13 https://doi.org/10.1136/bmj.317.716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