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ed factors on musculoskeletal symptoms in selected Korean female office and blue-collar workers

우리나라 일부 사무직과 생산직 여성근로자에서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관련요인

  • Lee, Kyung-Jae (Department of Occupational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
  • Han, Sung-Hy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 College of Natural Science, Soonchunhyang University) ;
  • Ahn, Yeon-Soon (Department of Occupation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International Hospital) ;
  • Hwang, Jung-Ho (Department of Occupational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
  • Kim, Joo-Ja (Department of Occupational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 이경재 (순천향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
  • 한성현 (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보건학과) ;
  • 안연순 (동국의대 일산병원 산업의학과) ;
  • 황정호 (순천향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
  • 김주자 (순천향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 Received : 2007.07.06
  • Accepted : 2007.12.06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related factors on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Korean female workers. Methods : A total of 1,875 female workers (1,002 office workers and 873 blue-collar workers) was analyzed. They were randomly selected among female workers by cluster sampling and interviewed by well trained interviewer, who filled out a structured questionnaire on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Other factors such as general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workplace location, employment condition, work duration, and working condition were also investigated. Results : Current smokers and drinkers were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blue-collar workers than in office workers. Those working full time were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blue-collar workers than in office workers. Those working over 8 hours per day were also popular in office workers than in blue-collar workers. Subjective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ype of work including excessive repetitive work, work using awkward stretching hand upwards, work using repetitive wrist movements, static work using awkward hand posture, and heavy manual lifting and handling works. The mean score of the symptom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lue-collar than in office workers. The significantly different working factors between two groups were work duration, employment condition and daily work hours. Conclusion : We suggest that the type of work including awkward and repetitive works as well as job type may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related to musculoskeletal symptoms of female workers in the workplace. Preventive strategy will be needed to prevent the negative impact on health status of working women in the workplace.

이 연구는 우리나라 40세 이하 여성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직종에 따른 직업적 특성과 근골격계 자각증상을 조사하여 사무직과 생산직 여성근로자에서 근골격계 자각증상의 호소율을 파악하고,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우리나라 여성근로자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및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무직 여성이 1,002명(53.4%)이고 생산직 여성이 873명(46.6%)를 차자하고 있으며, 흡연과 음주 경험에서도 생산직 여성에서 사무직 여성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1). 사무직 여성들은 생산직 여성에 비해서 하루 4시간 이상의 컴퓨터 작업에 많이 종사하고 있는 반면, 생산직 여성들은 지나친 반복 업무와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유지하는 업무 및 무거운 물건을 다루는 작업, 진동공구 등을 이용하는 작업에 상대적으로 더 많이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물질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도 사무직 여성들은 전자파에 대한 노출이 있다고 응답한 반면, 분진, 소음 등 기타 유해물질에 대한 노출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생산직 여성에서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군 모두에서 어깨와 허리가 주요 통증 부위로 나타났다. 근골격계 자각증상 호소율을 비교해 보면,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생산직 여성에서 사무직 여성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이 연구를 통하여 생산직 여성에서 근골격계 자각증상의 호소율이 사무직 여성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사무직 여성에서도 컴퓨터 작업과 부자연스러운 손목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 업무 등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근골격계자각증상 예방을 위한 관리대상에서 제외될 수는 없는 직종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될 수 있는 관련작업 형태에 대한 예방대책과 보건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더 나아가 우리나라 여성근로자의 건강보호를 위해서는 사업장 내에서 근무형태와 근무환경에 따른 건강영향을 줄일 수 있는 예방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 향후 이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명숙. 경인지역 소규모 사업장과 대규모 사업장 근로자들의 건강상태 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2. 김병권, 김준연. 한국의 근골격계질환의 현황. 대한산업의학회제30차초록집2003;7-12
  3. 김영임, 윤순녕, 최정명, 김춘미, 정혜선. 소규모 사업장 여성 근로자의 건강문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0;11(1):117-126
  4. 김종배, 이경재, 박종안, 한성현. 일부 생산직 여성근로자들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한국산업위생학회지 2003;13(2):164-171
  5. 김증임, 한성현. 기혼 취업여성의 건강상태, 생식건강상태 및 산전관리상태.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04;10(3):226-234
  6. 남호창. 코오넬 의학지수에 관한 연구 - 코오넬 의학지수의 간이화. 현대의학. 1965;3(4):471-475
  7. 노상철, 이수진, 송재철, 박항배. VDT 사용 여성 전화교환원들의 근막동통 증후군과 동통 및 기능 평가 검사와의 관련성. 예방의학회지 1997;30(4):779-790
  8. 박재순. 중년 여성의 운동실천과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99;10(2):400-411
  9. 송현종, 이명선. 산업장 보건교육과 근로자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일부 중소규모 산업장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999;15(2):1-22
  10. 안연순, 최용휴, 강성규, 정호근.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 으로 요양승인된 사례분석. 대한산업의학회지 2002;14(2):154-168
  11. 이경재, 김주자. 컴퓨터 작업 은행원에서의 피로 자각증상. 순천향의대 논문집 2002;8(1):49-53
  12. 임상혁, 이윤근, 조정진, 손정일, 송재철. 은행 창구작업자 (VDT 작업자)의 경견완장애 자각증상 호소율과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997;9(1):85-98
  13. 조규상. 산업보건학. 서울, 수문사, 1991;107-114
  14. 통계청. 경제활동 인구조사, 1983-2007
  15. 통계청. 사회통계조사, 1983-2007
  16. 한성현. 일부 근로자들의 예방행태가 신체적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논문집 1994;17(1):179-187
  17. 한성현, 김주자, 안재억. 중소규모 산업장 생산직 여성근로자들의 건강상태와 그 관련 요인분석. 한국역학회지 1995;17(2):235-248
  18. Andersson GBJ, Fine LJ, Silverstein BA.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Levy BS, Wegman DH, eds. Occupational Health: Recognizing and preventing work-related disease. 4th ed.: IV. Injuries and disorders by organ system.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0. p. 503-536
  19. Halpern M.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Rom WN, Markowitz SB, eds.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medicine. 4th ed.: Chapter 57. Ergonomics and occupational biomechanics.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p. 908-923
  20. Osaka R, Nakakorn S, Chuslip K. Cornell Medical Index: a comparative study on health problems among Thai and Japanese nursing students, Southeast Asian J Trop Med Pub Health 1998;29(2):293-298
  21. Quinn MM, Wolskie SR, Rosenberg BJ. Women and work. In: Levy BS, Wegman DH, eds. Occupational Health: Recognizing and preventing work-related disease. 4th ed.: V. Selected groups of workers.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0. p. 655-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