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in Korea

금연시도자 중 금연 성공과 관련된 요인들

Lee, Eon-Sook;Seo, Hong-Gwan
이언숙;서홍관

  • Published : 20070100

Abstract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in Korea Eon Sook Lee, M.D., Ph.D.†, Hong Gwan Seo, M.D., Ph.D.*

연구배경: 흡연의 유해성이 알려지면서 금연을 시도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금연을 시도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스스로 담배를 끊고 있지만 이들의 특성에 대해서 알려져 있지 않다. 금연을 시도한 사람 중 금연에 성공하는 사람의 특성을 안다면 금연 진료 및 정책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이에 과거에 금연을 시도했던 흡연자와 금연자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기로 하였다. 방법: 서울 시내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중 과거 금연시도를 한 경험이 있는 현재 흡연자 71명을 금연실패자로, 과거에 담배를 피우다가 1년 이상 한 개비의 담배도 피우지 않은 사람 97명을 금연 성공자로 하여 개별 면접 조사하였다. 흡연량, 흡연 기간, 니코틴 의존도 및 가족, 친구의 흡연 상태, 음주 상태와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금연 시도자 중 금연 성공자의 특성은 흡연량이 적었고(P=0.001), 교육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P=0.033), 음주량(P=0.005)도 적었다. 친구 중 흡연자가 적었으며(P=0.004) 금연시도를 더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2). 음주, 교육 수준 등 다른 요인을 보정하면 금연 성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니코틴 의존도(OR=0.784; CI 0.667~0.921)와 친구 5명 중 흡연자의 수(OR=0.681; CI 0.511~0.909)로 나타났다. 결론: 1년 이상 지속되는 금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니코틴 의존도와 친구 중 흡연자의 수였다. 금연을 시도하는 사람들에게 니코틴 의존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금연을 지지해 줄 수 있는 지지 조직을 확보하는 것이 금연 성공에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David MB. Nicotine addiction. In: Kasper DL, Braunwald E, Fauci A, Hauser S, Longo D, Jameson JL, editors.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5th ed. Columbus, McGraw-Hill;2001. p.2574-7
  2. Epidemiology and statistics unit. Trends in tobacco use. 2001 feb. Available from:URL:http://www.lungusa.org/data
  3. 지선하. 한국인의 흡연실태 총 흡연자수 1,250명. 금연운동협의회. 담배없는 세상;1999. p.8-12
  4. Fiore MC, Novotny TE, Pierce JP, Giovino GA, Hatziandreu EJ, Newcomb PA, et al. Methods used to quit smoking in the United States. Do cessation programs help? JAMA 1990;263(20):2760-5. Erratum in: JAMA 1991;265(3):358
  5. Heatherton TF, Kozlowski LT, Frecker RC, Fagerström KO. The Fagerströ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a revision of the Fagerstrom tolerance questionnaire. Br J Addict 1991;86(9):1119-27 https://doi.org/10.1111/j.1360-0443.1991.tb01879.x
  6. Frank SH, Zyzanski SJ. Stress in the clinical setting: the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J Fam Pract 1988;26:533-9
  7. 임지혁, 배종면, 최순식, 김성원, 황환식, 허봉렬. 외래용 스트레스량 측정 도구로서 한국어판 BEPSI 설문서(수정판)의 타당성. 가정의학회지 1996;17(1):42-9
  8. Hymowitz N, Sexton M, Ockene J, Grandits G. Baseline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cessation and relapse. MRFIT Research Group. Prev Med 1991;20:590-601 https://doi.org/10.1016/0091-7435(91)90057-B
  9. Tillgren P, Haglund BJ, Ainetdin T, Holm LE. Who is a successful quitter? One-year follow-up of a National Tobacco Quit and Win Contest in Sweden. Scand J Soc Med 1995;23(3):193-201 https://doi.org/10.1177/140349489502300310
  10. From the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igarette smoking among adults-United States, 1998. JAMA 2000;284(17):2180-1 https://doi.org/10.1001/jama.284.17.2180
  11. 최종태. 니코틴의존 흡연자에서 금연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석사학위논문]. 서울:연세대학교 대학원; 1992
  12. Jaen CR, Cummings KM, Zielezny M, O'Shea R. Patterns and predictors of smoking cessation among users of a telephone hotline. Public Health Rep 1993;108(6):772-8
  13. Hynes MM. A school-based smoking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 girls in New York City. Public Health Rep 1989;104:83-7
  14. Degenhardt L, Hall W. The relationship between tobacco use, substance-use disorders and mental health: results from the National Survey of Mental Health and Well-being. Nicotine Tob Res 2001;3(3):225-34 https://doi.org/10.1080/14622200110050457
  15. Zimmerman RS, Warheit GJ, Ulbrich PM, Auth JB.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use and attempts and success at smoking cessation. Addict Behav 1990;15(3):197-207 https://doi.org/10.1016/0306-4603(90)90063-4
  16. 김철환, 서홍관. 금연클리닉을 방문한 흡연자의 금연 성공과 관련된 요인. 가정의학회지 2001;22(11):1603-11
  17. Rosenbaum P, O'Shea R. Large-scale study of freedom from smoking clinics-factors in quitting. Public Health Rep 1992;107(2):150-5
  18. 이창희, 서효숙, 조홍준. 가정의학과 외래환자의 흡연량상. 가정의학회지 1992;13(11):853-61
  19. Orleans CT. A survey of smoking and quitting pattern black American. Am J Public Health 1989;79(2):176-81 https://doi.org/10.2105/AJPH.79.2.176
  20. 박현상, 오귀분, 최영철, 김규환, 조동영, 유병연. 청소년 흡연실태 및 약물남용, 일탈 행위와의 관련성. 가정의학회지 1999;20(4):386-400
  21. Rice VH, Templin T, Fox DH, Jarosz P, Mullin M, Seiggreen M, et al. Social context variables as predictors of smoking cessation. Tob Control 1996;5(4):280-5 https://doi.org/10.1136/tc.5.4.280
  22. Coppotelli HC, Orleans CT. Partner support and other determinants of smoking cessation maintenance among women. J Consult Clin Psychol 1985;53(4):455-60 https://doi.org/10.1037/0022-006X.53.4.455
  23. Roski J, Schmid LA, Lando HA. Long-term associations of helpful and harmful spousal behaviors with smoking cessation. Addict Behav 1996;21(2):173-85 https://doi.org/10.1016/0306-4603(95)00047-X
  24. Olsen GW, Lacy SE, Sprafka JM, Arceneaux TG, Potts TA, Kravat BA, et al. A 5-year evaluation of a smoking cessation incentive program for chemical employees. Prev Med 1999;20:774-84 https://doi.org/10.1016/0091-7435(91)90071-B
  25. Sexners S, Catalano R, Dooley D, Mishra S. Tobacco use: selection, stress, or culture? J Occup Med 1991;33(10):1035-9
  26. Hasenfratz M, Battig K. Psychophysiological reactions during active and passive stress coping following smoking cessation. Psychopharmacology (Berl) 1991;104:356-62 https://doi.org/10.1007/BF02246036
  27. West R, Hajek P. What happens to anxiety levels on giving up smoking? Am J Psychiaty 1997;154:1589-92 https://doi.org/10.1176/ajp.154.11.15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