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Vegeta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제주도(濟州島) 귀화식물의 식생에 관(關)한 연구(硏究)

Yang, Young-Roan
양영환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is study relates to the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The life form, origin and time of introduction of those naturalized plants were grasped by the documentary survey, and the field was surveyed thereof.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like the below.First of all, the naturalized plants are be newly defined as the "plants being the non-native species in a bio-geographic province area, which are introduced thereto from the area with a different accidentally or artificially, bio-geographic environment and well adapted to the new environment while establishing a natural ecosystem."Second, it was found that the naturalized plants were total 205 taxa including 190 specifies, 13 varieties and 2 cultivar, which belong to 121 genera and 37 families. In relation to the classification per the families, there were 43 taxa of Compositae (21%), 32 taxa of Gramineae (15.6%), 17 taxa of Leguminosae (8.3%), and 13 taxa of Cruciferae (6.3%). Third, the life forms of the naturalized plants were there 92 taxa of annual plants, 30 taxa of biennial plants, 19 taxa of annual or biennial plants, 58 taxa of perennial plants, and 6 taxa of trees. Fourth, the naturalized plants, 89 taxa there of were originated from America, 71 taxa from Europe, 25 taxa from Asia, and 20 taxa from other provinces. Lastly, among the naturalized plants, 39 taxa thereof had been introduced into Jeju-Do before 1921, 23 taxa from 1922 to 1963, and 143 taxa since 1964.

제주도 귀화식물의 검토는 문헌조사 및 현지 조사를 통하여 생활형, 원산지, 도입시기를 파악하여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제주도에 자라는 귀화식물은 37과 121속 190종 13변종 2품종으로 총 205분류군이었다. 또한 과별분류는 국화과의 43분류군(21%), 벼과의 32분류군(15.6%), 콩과의 17분류(8.3%), 십자화과의 13분류군(6.3%)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제주도 귀화식물의 생활형은 한해살이풀은 92분류군, 두해살이풀은 30분류군, 한해 혹은 두해살이풀은 19분류군, 여러해살이풀은 58분류군, 그리고 목본은 6분류군이었다.제주도 귀화식물의 원산지별로는 아메리카지역이 원산지인 89분류군, 유럽이 원산지인 71분류군, 아시아이 원산지인 25분류군, 기타 20분류군이 원산지별로 귀화되어 있다.제주도 귀화식물의 유입시기별로 분류하면 1921년 이전 39분류군, 1922년에서 1963년까지 23분류군 그리고 1964년 이후에는 143분류군이 귀화되어 자라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화, 심상인.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발생현황. 한국잡초학회지 22(3):207-217
  2. 京城藥專植物同好會. 1936. 朝鮮植物目錄(I). 中部朝 鮮篇, 京城. 104 p
  3. 고강석, 강인구, 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길지현, 전의식. 1996. 귀화식물에 의한 생태계 영향조사(II). 국립환경연구원보고 18:25-35
  4. 고강석, 서민환, 길지현, 구연봉, 오현경, 서상욱, 박수현, 전의식, 양영환. 2001.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연구(II ). 국립환경연구원보고. pp. 24-25
  5. 고영우, 채제천, 김봉구. 1999. 제주도의 경작잡초 분포. 한국잡초학회지 19(1):70-82
  6. 고강석, 서민환, 길지현, 구연봉, 오현경, 이민효, 박수현, 전의식, 양영환. 2003.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 연구(IV). 국립환경연구원보고. pp. 24-25
  7. 김문홍 1993. 식물. 제주도지 1:201-260
  8. 김준민, 임양재, 전의식. 2000. 한국의 귀화식물, 사이언스북스. 281 p
  9. 김찬수, 고정군, 송관필, 문명옥, 김지은, 이은주, 황석인, 정진현. 2006. 제주도의 귀화식물 분포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9(5):640-648
  10. 박만규. 1949. 우리 나라식물명감. 문교부. 340 p
  11. 박수현. 2001. 한국 귀화식물 원색도판(보유편). 一潮閣. 178 p
  12. 박수현. 1994a. 한국에 귀화된 달맞이꽃屬 식물. 한국의 식물 11:10-14
  13. 박수현. 1994b. 한국의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한국자연보존 85:39-49
  14. 박수현. 1995. 한국미기록귀화식물. 식물분류학회지 26(2):155-162
  15.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 184 p
  16. 森爲三. 1921. 朝鮮植物名彙, 朝鮮總督府學務局. 서울. 372 pp
  17. 송창길, 양영환. 2005. 제주도의 귀화식물, 남군의제 21. 205 p
  18. 양영환. 2003. 제주도 귀화식물의 분포와 식생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제주대. 108 p
  19. 양영환, 김문홍. 1998. 제주도의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제주대생명과학연구 1:49-58
  20. 양영환, 김문홍. 2005. 제주도의 귀화식물에 관한 재검토.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8(2):325-336
  21. 양영환, 송창길. 2007. 제주미기록귀화식물(향기풀, 미국담쟁이덩굴, 꽃갈퀴덩굴). 제주대아농생지 23 (1):7-0
  22. 양장범, 정창조. 1989. 제주도 放牧用 野草地의 식생 조사에 關한 연구. 한국잡초학회지 9(1):56-61
  23. 이덕봉, 김연창. 1961. 美大陸 原産植物의 渡來考. 한국식물학회지 4:25-30
  24. 이영노, 오용자. 1974. 한국귀화식물(I). 생활과학논총 이화여자대학교 12:25-31
  25. 이우철, 임양재. 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8:1-33
  26. 이창복. 1989.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 pp
  27. 이춘녕 , 안학수. 1963. 한국식물명감. 苑學社. 353+PP172 p
  28. 임양재, 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23:69-83
  29. 長田武正. 1997. 原色日本歸化植物図鑑, 保育社. 大阪. 425 p
  30. 前川交夫. 1943. 史前歸化植物について. 植物分類地理 13:274-279
  31.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조선식물학명집. 조선박물연구회. 223+58 p
  32. 中井猛之進. 1914. 濟州島並莞島植物調査報告書. 朝鮮總督府. 164 p
  33. Enomoto. 1992. 弟13回夏期硏究會テキスト. 日本雜草學會. pp. 52-67
  34. Nakai, T. 1909. Flora Koreana. Pars prima. Journ. Call. Sci. Univ. Tokyo. 26: 1-304
  35. Palibin, J. W. 1898. Conspectus florae (I), Act. Hort. Petrop. 17:1-128
  36. Richardson, D. M., N. Allsopp., C. M. D Antonio., S. J. Milton and M. Rejmanek. 2000. Plant invasions-the role of mutualisms. Biological Reviews. 75:65-93 https://doi.org/10.1017/S0006323199005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