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Plant in Northern Region on Gyeonggi-Province

경기도 북부지역의 식물분포 특성

  • Received : 2007.01.19
  • Accepted : 2007.03.22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northern region in Gyeonggi-Province area($126^{\circ}45^{\prime}-127^{\circ}37^{\prime}E$, $37^{\circ}31^{\prime}-38^{\circ}17^{\prime}N$). This work was investigated from April, 1988 to October, 2004.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of northern region in Gyeonggi-Province were consisted of total 2,030 taxa; 145 families, 656 genera, 1,611 species, 7 subspecies, 320 varieties, 1 subvarieties and 91 formae. Among them, Korean endemic species were composed of 46 families, 85 genera, 84 species, 35 varieties, 1 subvarieties, and 18 formae, total 138 taxa. The rare and endangered plants based on floral region indic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416 taxa; V rank species 18 taxa, IV rank species 79 taxa, III rank species 111 taxa, II rank species 80 taxa, I rank species 128 taxa. Also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14 species, correspond to 39.7% of among total 287 species appeared in South Korea. the result of PCA, Gwangju mountain chain at northern region of Gyeonggi-Province has rich and diverse vascular plants, and there are many Korean endemic, rare and endangered plants. therefore Gwangju mountain chain must be the core axis in for conserving the plant biodiversity and richness.

경기도 북부지역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145과 656속 2,030(1,611종 7아종 320변종 1아변종 91품종) 분류군이며 이중 한국특산식물은 46과 85속 138분류군이 분포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416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V등급종은 18분류군, IV등급종은 79분류군, III등급종은 111분류군, II등급종은 80분류군, I등급종은 128분류군이 분포한다. 귀화식물은 23과 114분류군이 확인됐다. PCA의 결과, 경기 북부지역의 동부에 위치하는 광주산맥계는 소산식물, 특산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등에 있어서 서부저지대에 비해 종다양성이 높으며, 특히 화악산-명지산-운악산-광릉-북한산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축에서 800분류군 이상이 자생하고 있어 식물다양성이 매우 높은 곳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종다양성 보존을 위한 핵심 축으로서 광주산맥계를 지역으로 고립화하기보다는 생태축으로 연결해 보존지역화 하여 생태계 보존네트워크의 축이 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대진대학교

References

  1. 강대성, 백원기. 2002 왕방산 남사면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대진논총(대진대학교) 20 : 133-158
  2. 강상준, 곽애경. 1998. 충청북도 지역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상연구지 3:1-56
  3. 경기도. 2002. 도립장단반도 생태공원조성 기본구상 및 타당성조사 경기도
  4. 경기도. 2003. 경기도 자연환경조사 연구보고서. 경기도
  5. 고양시. 2002. 고양시 환경보전 종합계획 학술연구. 고양시 환경보전 종합계획 학술연구 최종보고서. 고양시. 경기도
  6. 국립환경연구원. 1995 귀화생물에 의한 생태계 영향 조사(1). 서울
  7. 국립환경연구원. 1996. 귀화생물에 의한 생태계 영향 조사(II). 서울
  8. 국립환경연구원. 2000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I). 서울
  9. 국립환경연구원. 2001.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라방안 연구(II). 서울
  10. 국립환경연구원. 2002.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라방안 연구(III). 서울
  11. 국립환경연구원. 2004. 한국의 외래식물. 서울
  12. 김기원. 1989. 운악산(경기도)의 식물조사-연구, 고려대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서울
  13. 김윤식, 김정애, 박선주 1997. 화야산(경기 가평)의 식물상조시면구. 한국생물상연구 2: 53-84
  14. 김효식. 1995. 청계산(경기 포천)의 식물상 조사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15. 문화재청. 2003 서오릉 산림생태조사연구보고서, 문화재청. 서울
  16. 박규하. 1991. 경기도의 관속식물상(1). 인천대학교 논문집 16: 45-93
  17. 백원기, 이우철, 유기억. 1994. 광덕산의 식물상과 식생. 강원대논문집 33: 93-122
  18. 백원기. 1994. 한국특산식물의 실체와 분포 조사. 한국자연보존협회연구보고서 13: 5-84
  19. 백윈기. 1999. 영평천(포천군)의 관속식물상. 대진대학교 환경연구소논문집 2: 165-180
  20. 백원기. 2001. 한국특산식물의 현황과 보존. 산림유전자원에 관한 심포지엄 논문집(산림유전자 원의 보존 및 개발). 임엽연구원 제주시험장. Pp 66-99
  21. 백원기, 정영재. 2000. 포천천(포천군)의 관속식물상. 대진대학교 대진논총 8: 1-17
  22. 엄정숙. 1994. 운길산(경기)의 관속식물상 조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23. 연천군. 2000. 연천군 자연생태 기초조사, 연천군 경기도
  24. 오용자, 김성호. 1986. 경기도 죽령산 식물이 생활형. 성신여대 기초과학연구소논문집 Pp 33-50
  25. 유석인. 2002. 석룡산의 식물상 및 녹지자연도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대학원, 춘천
  26. 이영노. 1981. 도봉산일대의 식물자원에 관한연구. 자연보존연구보고서 3: 5-24
  27. 이원철, 이휘재. 1962. 명지산식물조사보고(1판). 식물분류학회지 5: 9-16
  28. 이우철. 1957. 도봉산식물상조사연구. 성균생물 1: 55-89
  29. 이우철, 임양재 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8(부록) : 1-33
  30. 이우철, 임양재. 2002. 식물지리. 강원대학교출판부. 춘천
  31. 이유미, 김성식. 1997. 명지산의 식물상 및 희귀식물. 환경생대학회지 pp 366-386
  32. 이휘재, 이원호. 1962. 명지산식불조사보고. 식물학회지 5: 9-16
  33. 임엽연구원, 국립수목원.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임엽연구원. 서울
  34. 장창기, 김윤식, 정경숙. 1999. 인간간섭에 따른 소요산(경기) 관속식물상의 변화 연구. 자연보존연구보고서. pp 1- 18
  35. 전봉식, 안병호, 윤미정. 1961. 천마산식물조사보고(제 1보). 성균관대약대 2: 63-77
  36. 정규영. 2001. 경북지역의 관속식물 분포와 활용. 산림유전자원의 보존 및 개발. 임업연구원 제주시험장. 제주
  37. 정태현. 1955. 경기도식물, 경기도지 상권. Pp 60-101
  38. 정태현, 이우철. 1962. 북한산의식물자원조사연구. 성균관대 논문집 7: 373-396
  39. 최도열 등. 2001. 경기도의 식물상. 서울대학교 수목원 연구보고 21: 25-76
  40. 환경부. 1997. 광닥산(포천, 칠윈)과 인근산지의 식물상.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서울
  41. 환경부. 1998. 가평, 춘천 (4-04)의 자연환경 : 화악산 제1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서울
  42. 환경부. 1999. 소요산(포천, 동두천)의 식물상.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서울
  43. 환경부. 2000. 축령산(양평 가평)과 인근 산지의 식물상 재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서울
  44. 환경부. 2001 가평 (4-6)의 자연환경 : 명지산.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서울
  45. 환경부. 2001. 서울, 고양(4-16)의 자연환경 : 북한산.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