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rigin of Paleo-Lacustrine Deposits at Yeoncheon in Chugaryeong Rift Valley, Central Korea

추가령 열곡 연천 고호소층의 퇴적물 기원지 분석

  • Lee, Min-Bo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Lee, Gwang-Ryu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Nam-Shi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similarities of lacustrine deposits of lava-dammed Yeoncheon paleo-lake by geochemical analysis such as XRF, ICP-AES, and 14C and OSL age datings in Chugaryeong Rift Valley of Central Korea. OSL age of the lacustrine coastal deposit(YC1) is estimated as 0.11-0.13 Ma. It indicates that paleo-deposits may have remained during at least 20,000 years from 0.13 Ma The origin analysis of deposits were carried out by comparison between lacustrine mud layers($YC1{\sim}2$) and various geomorphic materials of vicinity As a result, the similarity of the origin is highest between the paleo-coastal alluvial deposit of Chatan River(YC8), and surface clay deposit of Jeongok lava plateau(YC9) Next higher similarity is between paleo-lacustrine bottom deposit(YC2) and west valley-side mountain slope colluvial materials(YC5). Another high similarities are among present Chatan River channel sediment(YC7), acustrine coastal deposit(YC1) and east valley-side mountain slope colluvial materials(YC4).

본 논문은 용암댐에 의해 형성된 고호소층인 연천읍 일대 점토층에 대한 주원소, 희토류원소 등의 이화학적 분석과 $^{14}C$ 및 OSL 연대측정을 통해 고호소층의 형성시기와 물질의 유사도를 분석하였다. 고호소변 점토층(YC1)의 OSL 연대는 $11{\sim}13$만년으로 분석되어, 고호소층은 약 13만년 이전부터 존재하였으며, 최소한 2만년 이상 지속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지 분석을 위해 고호소점토층(YC1, 2) 뿐만 아니라, 주변의 다양한 지형 구성물질과의 대비를 통해 기원지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차탄천 중류 하안의 선상지 퇴적물(YC8)과 용암대지 표면의 점토층(YC2)에서 물질의 유사도가 가장 높으며, 고호소저 점토층(YC2)과 서쪽 산록의 사면 풍화물(YC5)간에도 유사도가 높으며, 차탄천의 현 하상 퇴적물(YC7), 고호소변 점토층(YC1), 동쪽 산록의 사면운반 물질(YC4) 사이에서도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지질학회, 1999, 한국의 지질, 시그마프레스
  2. 신재봉유강민.Naruse, T. . Hayashida, A., 2004,' 전곡리 구석기 유적 발굴지인 E55S20-IV 지점의 미고결 퇴적층에 대한 뢰스-고토양 층서에 관한 고찰,' 지질학회지, 40(4), 369-381
  3. 오경섭김남신, 1994, '전곡리 용암대지 피복물의 형성과 변화과정,' 한국제4기학회지, 8(1), 43-68
  4. 원종관, 1983, ' 한반도에서의 제4계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추가령 열곡 내에서,' 지질학회지, 19(3), 159-168
  5. 원종관.김윤규.이문원, 1990, '추가령 알칼리 현무암에 대한 지구화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26(1), 70-81
  6. 이대성.유기주.김광호, 1983, '추가령곡의 지구조적 해석,' 지질학회지, 19(1), 19-38
  7. 이민부.박지훈.이광률, 2006, ' 추가령 열곡 연천 고호소 퇴적물 분석: 화분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형학회지, 13(2), 13-22
  8. 이민부.이광률.김남신, 2004, '추가령 열곡의 철원-평강 용암대지 형성에 따른 하계망 혼란과 재편성,' 대한지리학회지, 39(6), 833-844
  9. 이민부.이광률, 2003, '추가령 구조곡 차탄천 상류와 독서당천의 고지형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0(3), 345-358
  10. 이민부.이광률.김남신, 2005, ' 추가령 열곡 영평천 하류 단구지형의 형성과정,' 대한지리학회지, 40(6), 716-729
  11. 이민부.이광률.윤순옥.황상일.최한성, 2001, ' 추가령 구조곡 연천 단층대에 분포하는 합류 선상지의 퇴적 환경 분석,' 지질학회지, 37(3), 345-364
  12. 이민부.전종한, 2005, ' 추가령 지명에 관한 지형학 및 역사지리적 해석,' 문화역사지리, 17(1), 47-65
  13. 이승구.김진관.양동윤.김주용, 2004, '이천지역 하상 퇴적물의 입도별 지구화학특성을 이용한 기원지 규명,' 지질학회지, 40(4), 409-429
  14. 이선복, 2005, ' 임진강 유역 용암대지의 형성에 대한 신자료,' 한국지형학회지, 12(3), 29-48
  15. 이현구.조애란.이찬희, 1999, '입도분포에 따른 하상퇴 적물의 지구화학적 분산 및 부화,' 자원환경지질, 32(3), 247-260
  16. Danhara, T., Bae, K.D., Okada, T., Matsufuji, K., and Hwang, S., 2002, What is the real age of the last 75kyr. Paleolitic site? - a new approach by fission track dating, K-Ar dating and tephra analysis, in Bae, K.D.(ed.), Paleolithic Archaeology in Northeast Asia, 77-116
  17. Masuda, A., 1975, Abundances of mono isotopic REE, consistent with the Leedey chondritic values, Geochemical Journal, 9, 183-184 https://doi.org/10.2343/geochemj.9.183
  18. Masuda, A., Nakamura, N., and Tanaka, T., 1973, Fine structure of mutually normalized rare-earth patterns of chondrite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37, 239-248 https://doi.org/10.1016/0016-7037(73)901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