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valuating Standards On-Line Service for Archives

기록관의 온라인 서비스 향상을 위한 웹사이트 평가기준설계에 관한 연구

  • 이윤주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 Published : 2007.10.30

Abstract

Archives provide users with easier and more convenient access to and use of archival data through their Internet websites. Now, archival websites function not only as a tool of information provision or marketing, or as a gateway of Internet-based materials, but also as cyber space for all services of archives, providing users with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direct accessibility to the services in the archives. At present, Korean archives are proceeding with establishing websites or upgrading existing websites, and the use rates and reliability of web services by users are becoming higher. However, al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for the evaluation of general websites, few are found with regard to the evaluation of archival websites. It is necessary for archival websites that provide information service to users of every stripe to make more efforts and have more interest in user-centered convenience, right to know, and information provision-centered service. Accordingly, needless to say, it is necessary to study evaluation criteria of websites so that high quality archival websites can be established.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establishes evaluation criteria for archival websites, which are appropriate to their objectives and functions and directly evaluates archives, presenting ways to establish and redevelop archival websites. More detailed purposes are as follows: First, analyzes existing theories of evaluation through reviews on previous literature and elicits evaluation criteria for websites, which are appropriate to archives; Second, based on the elicited evaluation criteria for archival websites,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archival websites through analytic evaluation; and Third, presents ways to improve archival websites that may be helpful in establishing or improving them in the future. The expectancy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ill be helpful when one wishe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archival websites and to improve or redevelop existing websites, or to develop online service through website; Second, it will function as a checklist when a developer who is to establish an archival website wishes to develop evaluation criteria; and Third, it may be used as an inspection tool when an archives contracts out the establishment of its website.

인터넷의 확산은 기록관의 서비스환경에 많은 변화를 가지고 왔다. 즉, 기록관의 웹사이트를 통하여 이용자에게 기록관에 대한 정보와 이용, 접근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서비스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앞으로 그 비중이 더욱 증대하게 될 것이다. 이제 기록관 웹사이트는 기록관 안내나 마케팅의 도구 또는 단순히 인터넷 기반 자료에 대한 게이트웨이로서의 기능만 하는 곳이 아니라, 이용자에게 서비스에 대한 안내 및 지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기록관 서비스에 직접 연결 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는 기록관의 모든 서비스의 가상공간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 존재하고 있는 기록관들은 웹사이트 구축을 진행하고 있거나, 구축된 웹사이트를 발전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용자들의 웹 서비스의 이용도와 의존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웹사이트 평가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있었지만, 기록관의 웹사이트 평가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양한 계층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록관의 웹사이트는 이용자 중심의 편리성과 알권리, 정보제공을 중심으로 한 정보서비스 여부에 보다 많은 연구와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있으며, 기록관 웹사이트 구축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웹사이트의 평가기준 또한 연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기록관의 목적과 기능에 적합한 웹사이트 평가기준을 개발 및 제시하고, 국 내외기록관을 직접 평가해 봄으로써 취약점과 보완점을 지적하여, 기록관 웹사이트 구축 및 재개발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Cited by

  1. 국내 기록학 연구방법 동향분석 (1) 설문과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vol.51, pp.None, 2007, https://doi.org/10.20923/kjas.2017.51.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