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Pork on Feeding on Detoxification Process in Rats Intoxicated with Lead

돼지고기 급여가 납에 중독된 흰쥐의 해독과정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o investigate the detoxification effect of pork on the lead toxicity, the comparison tests were performed, in which Sprague Dawley(SD) rats were clinically treated with lead during the first 7 weeks and observed the detoxification effects induced by pork feeding during the second 7 weeks. As results of lead intoxication, decreases of body weight, hemoglobin and hematocrit and the increases of weight and relative organ weight of liver and kidney were observed. Also the accumulation of lead in tibia, kidney and liver was recognized. In case of pork feeding at detoxification stage the feed efficienc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ork feeding group rats than the those of control rats. The pork feeding seemed to be a factor affecting relative organ weight of liver and kidney(p<0.05). It was shown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umulation of lead in liver included the lead intoxication(p<0.0005), pork feeding(p<0.0005) and interaction of above two(p<0.0005). It was observed that the content of DALAD in liver increased with significance in pork fed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regardless of lead treatment levels. From this result, it was considered that pork feeding improved the detoxification process of SD rats intoxicated with lead.

돼지고기 섭취 시 우리 체내에 축적되는 납의 중독을 완화시킬 수 있는가를 살피고자 흰쥐에 7주동안 납의 임상적인 중독현상을 유발시키고 이어서 7주 동안 납을 중단하고 해독과정을 유발시키면서 돼지고기 투여에 의한 납 해독 효과를 비교하는 시험을 실시하였다. 납 중독에 의해 체중저하,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릿 저하, 상대적 간과 신장의 무게 증가, 대퇴골, 신장, 간에서의 납 축적 등을 확인하였다. 해독 시에 돼지고기를 섭취시킨 경우 유의적으로 식이 효율이 높아졌다. 또한 돼지고기 섭취가 상대적 간과 신장의 상대적 무게에 영향을 주는 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p<0.05). 간에서의 납 축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납 중독 여부(p<0.0005), 돼지고기 섭취(p<0.0005), 납과 돼지고기 섭취의 상호작용(p<0.0005)이 모두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에 있는 DALAD함량은 대조구에 비해서 돼지고기 첨가구에서 납 첨가 수준에 관계없이 유의적으로 높아졌음을 볼 수 있었다. 이 결과로서 돼지고기가 납에 중독된 흰쥐에서 해독과정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Blake, H. and Mann, M. 1983. Effect of calcium and phosphorus on the gastrointestinal absorption of $^{203}Pb$ in man. Environmental Research. 30:88
  2. Cerklewski, F. I. and Forbes, R. M. 1976. Influence of dietary zinc on lead toxicity in the rat. J. Nutr. 106:689 https://doi.org/10.1093/jn/106.5.689
  3. Donaldson, W. E. 1991. Interactions of dietary lead with fish oil and antioxident in chicks. Biological Trace Element Research. 31:215 https://doi.org/10.1007/BF02990192
  4. Hasan, J. and Hernberg, S. 1967. Deficient red cell membrane Na-K ATPase in lead poisoning. Arch Environ. Health. 14:313
  5. Hu, S. P. and Kies, C. 1989. Lead/ dietary protein interactions in rats. Nutrition Reports International. 39:81
  6. Korsrud, G. O. and Meldrum, J. B. 1988. Effect of diet on the response in rats to lead acetate given orally or in the drinking water. Biological Trace Element Research, 17:167 https://doi.org/10.1007/BF02795454
  7. Mylroie, A. A., Moore, L. and Erogbogbo, U. 1977. Influence of' dietary factors on blood and tissue lead concentrations and lead toxicity.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41:361 https://doi.org/10.1016/0041-008X(77)90037-0
  8. Smith, C. M., De:Luca, H. F., Tanaka, Y. and Mahaffey, K. R. 1978. Stimulation of lead absorption by vitamin D administration. J. Nutr. 108:843 https://doi.org/10.1093/jn/108.5.843
  9. Suzuki, T. and Yoshda, A. 1979. Effectiveness of dietary iron ascrbic acid in the prevention and cure of moderately long-term lead toxicity in rats
  10. Waldron, H. A. 1980. Metals in the environment. Academic press, New York
  11. Wapnir, R A., Exeni, R A., Mcvicar, M. and Lifsheitz, F. 1977. Experimental lead poisoning and intestinal transport of glucose, amino acid and sodium. Pediat. Res., 11:153 https://doi.org/10.1203/00006450-197703000-00001
  12. Lee, J. S., Kim, M. J. and Park, E. M. 1997. Effects of extract of Pueraria radix on hematological properties and lead level od the tissues of the Pb-administered rats. J. Korea soc Food Sci Nutr. 26:488
  13. Conrad, M. and Barton, J. C. 1989. Factors affecting the absorption of lead in the rat. Gastroenterology. 74:731
  14. Shoo, H. J., Lim, H. J. and Jung, D. L. 1993. Effects of onin juice on toxicity of led in rat. J. Korea soc Food Sci Nutr. 22:138
  15. SAS. 1996. SAS/STAT user's guide, 8th ed,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16. 김정숙, 김미경. 1987. 납과 지방수준을 달리한 식이로 사육한 성장기 흰쥐의 체내 대사 변화. 한국영양학회지. 20:225
  17. 이정숙, 김명주, 박은미. 1997. 갈근추출물아 납 중독된 흰쥐의 혈액성분 및 조직왜 납 축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6:488
  18. 김정헌, 조남준, 박성배. 1989. 대중장식중 중금 속 함량. 영양식량학회지. 18:316
  19. 이남형, 한찬규, 노정해, 김영붕, 이복희. 1995. 돼지고기 섭취가 체내 중금속 대사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개발연구원 보고서. E1325-0667
  20. 노정해, 한찬규, 이남형, 정용기. 1997. 돼지고기 를 단백질 급원으혹 한 식이가 쥐의 체내 카드 뮴 대사에 마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축산학회지. 39:605
  21. 권오덕, 이현범, 이주묵, 채준석. 1992. 산양의 실 험실척 납중독에 관한 엄상 병리학객 관찰. 대한수의학회지. 32:127
  22. 노정해, 한찬규, 성기승, 이남형. 2005. 돼지고기 급여가 흰쥐의 체내에 중독된 차드.원의 해독과 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식품학회. 25:373
  23. 박성혜, 신언한, 박성진, 한종현. 2005. 한약재를 첨가한 요리부산물 추출액이 납과 수은에 누출 된 흰쥐 혈청의 중급속 및 혈액 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4:478
  24. 서화중, 서유석. 2005. 납 중독 흰쥐에서 식이 마 늘 즙의 해독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4:342
  25. 검명주, 조수열, 장수연, 박지윤, 박은미, 이미경, 김덕진. 2003. 납 투여한 흰쥐의 햄 합성과 적혈 구 중의 항산화효소 활성에 머치는 녹차, 감잎, 흥화 열수추출물의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2:191
  26. 서화중, 임현지, 장두례. 1993. 양파즙 투여가 Rat의 냥 독성이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2:138
  27. 김휘배, 안영근, 김주영, 문재규. 1986. 납의 면역 독성이 미치는 언삼의 영향 II. 한국환경독성학회지. 1:37
  28. 류경미, 김미경. 1996. 식이 내 Cystine 수준이 흰쥐의 카드륨과 납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29:597
  29. 이명희, 한스 쉥캘. 1994. 식이와 함께 섭취시킨 미량의 납 수준과 납 섭취기간이 납의 체내 및 분포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27:12
  30. 권오덕, 이현범, 이주묵. 1992. 산양의 실험적 납 중독에 관한 임상병리학적 관찰 I (증상, 혈액, 뇨). 대한수의학회지 3:127

Cited by

  1. Effects of Anabolic Steroids of Pork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Myogenic Satellite Cell vol.30, pp.5, 2010, https://doi.org/10.5851/kosfa.2010.30.5.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