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Patterns of Wintering Waterbird Communities in Urban Streams in Seoul, Korea

서울 도시하천에서 월동하는 수조류의 분포 특성

  • Kwon, Young-Soo (Department of Biology and The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Kyung Hee University) ;
  • Nam, Hyung-Kyu (Department of Biology and The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Kyung Hee University) ;
  • Yoo, Jeong-Chil (Department of Biology and The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Kyung Hee University) ;
  • Park, Young-Seuk (Department of Biology and The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Kyung Hee University)
  • 권영수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한국조류연구소) ;
  • 남형규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한국조류연구소) ;
  • 유정칠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한국조류연구소) ;
  • 박영석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한국조류연구소)
  • Published : 2007.03.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wintering waterbird communities in relation to local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urban streams of Seoul, Korea.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at 66 sites of 5 tributaries and the main channel of the Hangang River in Seoul in January 2006. The total of 65 species and 39,560 individuals were recorded in the field survey. There were 48 species and 28,989 individuals in the Hangang River, 14 species and 1,395 individuals in the Tancheon stream, 15 species and 2,306 individuals in the Jungrangcheon stream, 22 species and 5,990 individuals in the Anyangcheon, 18 species and 283 individuals in the Changrungcheon stream, and 24 species and 597 individuals in Gokrungcheon stream. The dominant species were Anas platyrhynchos (22.65%), A. poecilorhyncha (14.01%), Aythya ferina (13.26%), Aythya fuligula (8.04%), and Mergus merganser (7.03%). Among the 16 species (with 30,650 individuals) of ducks, the dabbling and diving ducks were 8 species with 18,286 individuals and 8 species with 12,364 individuals, respectively. Through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study sites were classified into four main groups according to the similarity of their waterbirds' species compositions: 3 tributaries in the urban area (Group 1), 2 tributaries in the rural area (Group 2), one in the rural area, one in the urban area, the urban area in Hangang River (Group 3) and the main channel of the Hangang River in the urban area (Group 4). Species diversity index and species evenness were the highest in Group 1, while the lowest Group 2. Analysis on their environmental factors showed that the waterbirds wintering in urban streams of Seoul prefer broad water width, low water depth and broad resting sites.

본 연구는 2006년 1월 16일부터 25일까지 한강 본류와 5개의 지류에서 월동하는 수조류의 군집이 환경요인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분포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66개의 조사지점에서 14개의 환경요인과 종 분포를 평가 분석하였다. 전체 조사지 역에서 총 65종 39,560개체가 관찰되었으며 이 중 한강 본류에서 48종 28,989개체, 탄천에서 14종 1,395개체, 중랑천에서 15종 2,306개체, 안양천에서 22종 5,990개체, 창릉천에서 18종 283개체 그리고 곡릉천에서 24종 597개체가 각각 관찰되었다. 전체 조사지역에서 가장 높은 우점도를 나타낸 종은 8,960개체(22.65%)가 관찰된 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였으며 다음으로 5,546개체(14.01%)가 관찰된 흰뺨검둥오리 A. poecilorhyncha, 5,243개체(13.25%)의 흰죽지 Aythya ferina, 3,180개체(8.04%)의 댕기흰죽지 Aythya fuligula, 및 2,781개체(7.03%)의 비오리 Mergus merganser 순이었다. 오리류는 총 16종 30,650개체가 관찰되었으며 이중 수면성오리(dabbling ducks)는 8종 18,286개체, 잠수성오리(diving ducks)는 8종 12,364개체였다. 주성분분석의 결과로 나타난 66개 지역의 성분도표를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크게 4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평균 종다양도지수와 균등도지수가 가장 높은 집단은 강폭이 넓고 휴식공간이 상대적으로 많은 탄천, 중랑천, 안양천 등의 도심하천으로 구성된 집단1이었으며 가장 낮은 집단은 한강하류나 상류에 위치한 지역과 곡릉천, 창릉천 등으로 구성된 집단2였다. 서울의 도심하천에서 월동하는 수조류들은 주로 강폭이 넓고 수심이 낮으며 쉴 수 있는 공간이 많은 지역을 선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영수, 유정칠(2004) 한강 강서습지생태공원 일대의 조류. 경희대학교 한국조류연구소 연구보고 9: 49-57
  2. 김정수, 구태회(2003) 도시하천의 생태공원화가 조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학회지 26(3): 97-102
  3. 안지영(2001) 중랑천에 도래하는 쇠오리와 고방오리의 취식 지역 선택.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쪽
  4. 안지영. 유정칠(2004) 중랑천 하류에서 월동하는 수금류 개체군 변동 및 요인 연구. 한국조류연구소 연구보고 9: 29-34
  5. 우한정(1984) 한강수계생태계의 현황과 보호. 자연보존 48: 16-18
  6. 우한정, 김상욱, 윤무부, 구태회, 유병호(1897) 한강의 조류. 자연환경보호중앙협의회 논문집 323-350
  7. 우효섭, 김성태(2000) 수변복원의 이해와 외국의 관련 가이드라인의 검토. 한국환경복원녹화 기술학회 3: 126-144
  8. 원병오(1983) 한강의 조류. 鄉士서울. 서울특별시사 편람 위원회 41: 169-19
  9. 원병오(2004) 자연생태계의 복원과 관리 '조류서식지 조성과 보호를 중심으로', 다른세상, 서울, 448쪽
  10. 원병오, 우한정, 김상욱, 구태회, 이두표, 최동신(1986) 한강의 월동조류. 경희대학교 한국조류연구보고 1: 81-86
  11. 원병오. 박진영. 김은영. 김화정(1993) 한강의 수조류조사. 경희대학교 한국조류연구소 연구보고 4: 83-94
  12. 유정칠, 권영수(2004) 아산(평택)만 일대의 조류서식지 평가. 경희대학교한국조류연구소 연구보고 9: 1-18
  13. 이경규, 이석원, 유정칠(2002) 한강의 밤섬에 도래하는 수면성 및 잠수성 오리의 월동개체수변화와취식 행동. 한국조류학회지 9(1): 31-47
  14. 이기섭(2000) 한국의 서해안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실태와 개체수 변동,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1쪽
  15. 이석원(2001) 한강에 도래하는 수금류의 월동생태와 보호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1쪽
  16. 이우신, 박찬열, 임신재(2000) 한강지역 조류군집의 특성. 한국생태학회지 23(3): 273-279
  17. 임업연구원(1992) 겨울철새의 도래실태. 임업연구원, 서울, 56쪽
  18. 주기재, 김현우, 하정(1997) 하천 생태학의 발전과 우리나라 하천 연구의 현황. 한국생태학회지 20: 69-78
  19. 한강관리사업소(2000) 한강 저수로측량 1/5,000 수심도. 한강관리사업소, 서울, 122쪽
  20. 환경부, 국립환경연구원(2004) '99-'04년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종합보고서. 서울, 620쪽
  21. Balla, S.(l994) Wetlands of the swan coastal plain, volume 1. Their nature and management. water authority of western australia and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ustralia
  22. Heitmeyer, M.E. and L.H. Fredrickson(1981) Do wetland conditions in the Missisippi Delta hardwoods influence mallard recruitment? Trans. North Am. Wildl. Nat. Resour. Conf. 46: 44-57
  23. Jorde, D.G., G.L. Krapu, D.C. Crawford and M.A. Hay(1984) Effects of weather on habitat selection and behavior of mallards wintering in Nebraska. Condor. 86: 258-265 https://doi.org/10.2307/1366993
  24. Krebs, C. J.(1989) Ecological Methodology. Univ. of British Columbia press, pp. 328-367
  25. Lyster, S.(1885) International wildlife law. Grotius publ. Cambridge, 470pp
  26. Miller, R.W.(1997) Urban Forestry. Planning and managingurban green spaces (2nd ed.). Prentice-Hall Inc., London, 404pp
  27. Nichols, J.D. and J.E. Hines(1987) Population ecology of the mallard. Ⅷ. Winter distribution patterns and survival rates of winter-banded mallards. U.S. Fish and Widl. Serv., Publ. 162. 154pp
  28. Odum. E. P .(1971) Fundamental of ecology. Saunder Co. pp. 574
  29. Pae, S.-H., J.-Y. Park, J.-H. Kim, J.-C. Yoo(1995) Habitat Use by Wintering Waterbirds at Han River Estuary and Imjin River, Korea. Kor. J. Orni. 2(1): 11-21
  30. Raveling, D.G. and M.E. Heitmeyer(1989) Relationships of population size and recruitment of pintails to habitat conditions and harvest. J. Wildl. Manage 53: 1088-1103 https://doi.org/10.2307/3809615
  31. Sibley, C.G. and B.L. Monroe Jr.(1990) Distribution and Taxonomy of Birds of the World. Yale Univ. Press, New Haven and London
  32. Smith, L.M. and D.G. Sheeley(1993) Factors affecting condition of northern pintails wintering in the southern high plains. J. Wildl. Manage 57(1): 62-71 https://doi.org/10.2307/3809001
  33. Weller, M.W.(1999) Wetland Birds: Habitat resources and conservation im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34. Yoo, J.C.(1999) Current status of birds on the west coast and Cholwon basin of Korea. Proceedings of IUCN/WCPA-EA-3 Seoul Conference, pp. 166-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