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ructur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Forest in Busan Metropolitan City

부산광역시 해안림의 구조와 생태적 특성

  • Published : 2007.03.30

Abstract

To investigate the coastal forest structure and its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Busan, four typical sites, Taejongdae, Molundae, Amnam Park, and Igidae, were selected and surveyed. These sites are famous coastal areas in Busa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Pinus thunbergii was a dominant species at the canopy layer in all sites. But at the understory layer, Eurya japonica in Taejongdae and Molundae, Ficus erecta in Igidae and Eurya japonica and Prunus sargentii in Amnam Park were dominant species.

부산의 대표적인 해안림 지역 태종대, 이기대, 몰운대, 암남공원 4개소에 대해 식생구조 및 현황을 파악하여 그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부산지역 해안림의 교목층에서는 곰솔이 주요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아교목층에서는 몰운대와 태종대에서 사스레피나무가 다수 관찰되는 반면 이기대는 천선과나무, 암남공원에서는 사스레피나무와 산벚나무가 우점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도균(2000) 임해매립지의 조경수목 생장특성 : 광양만의 곰솔과 느티나무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2쪽
  2. 김인수, 박완근, 이재선(2005) 강원도 삼척군 원덕읍 소재 해안림 일대의 식생 및 임분 구조 분석. 한국해안림 연구회, 일본해안림학회 공동학술대회 공동논문집, 132-134
  3. 김인택, 이일구(1980) 무의도 식물상의 생태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3(1):21-30
  4. 배준환(2001) 인천시 임해매립지 식재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7쪽
  5. 변재경(1997) 임해매립지 식재수목의 수종별 활착율: 군산국가공단에 대하여. 임업정보 78:31-34
  6. 변재경(1998) 임해매립지 식재수목의 수종별 활착율: 시화공단에 대하여. 임업정보 83:60-62
  7. 부산광역시(1999) 부산광역시 공원.유원지 정비 및 개발계획(자료집).130-140쪽
  8. 부산광역시(2005) 부산시 통계연보
  9. 산림청(2004) 우리나라 인공해안림의 지속적 보전관리 대책 방안. 91쪽
  10. 서재철, 최위환(2005) 우리나라 해안림의 현황과 과제. 해안림의 다면적 기능증진과 활용방안. 한국해안림 연구회, 일본해안림학회 공동학술대회 공동논문집,14-18
  11. 오구균(1986) 자연식생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배식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창덕궁 후원 자연식생분석을 통하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9쪽
  12. 오휘영, 최병권(1999) 임해매립지에 대한 효율적 녹지조성의 타당성 검토에 관한 연구: 영종도 신공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2(2):68-75
  13. 이경재, 최송현, 강현경(1994) 생태적 접근방법에 의한 식생 복원 및 관리계획. 응용생태연구 8(1):58-67
  14. 이우철, 전상근(1983) 한국해안식물의 생태학적 연구-남해안의 사구식물군락의 종조성과 현존량. 한국생태학회지 6(3):74-84
  15. 이일구(1982) 작약도 식생상의 생태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이학논문, 7:19-30
  16. 이창복, 김은석, 장진성(1982) 덕적군도의 식물상. 자연실태 종합보고서 제1집. 89-93
  17. 이천용, 김재헌, 윤호중, 이창우, 정용호, 전근우, 박완근, 서정일, 김인수, 江崎次夫(2005) 서해안 대청도의 해안림과 해안사방. 한국해안림연구회, 일본해안림학회 공동학술대회 공동논문집, 46-49
  18. 임양재(1962) 가좌해안의 식생에 관한 군락학적 연구. 중앙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23
  19. 장상항(2002) 인천 해안지역의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한 해안림 조성기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3쪽
  20. 전근우, 김석우, 김경남, 中島幸吉, 江崎次夫(2005) 쓰나미에 대비한 해안림 조성과 비구조물대책: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94(3):197-204
  21. 정용규, 김원(2000) 한반도 해안임연군락의 분포특성. 한국 생태학회지 23(3): 193-199
  22. 조우(2000) 인천시 해안매립지 녹지조성 기법 개발 연구. 인천발전연구원, 170쪽
  23. 조우, 이경재(1998) 도시환경림 및 군락식재지의 배식 기볍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1): 70-82
  24. 한국해안림연구회, 일본해안립학회(2005) 해안림의 다면적 가능증진과 활용방안,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192쪽
  25.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26.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27. Hill, M.O.(1979) DECORANA-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ersity. Ithaca, N.Y., 384pp
  28. Laurie, I.C.(1979) Nature in Cities, John Wiley and Sons Ltd., 448pp
  29. Ludwig, J.A. and J.F. Reynolds(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337pp
  30. Orloci, L.(1978) Multivariate Analysis in Vegetation research, 2nd ed. W. Junk, The Hague., 468pp
  31. Pielou, E.C.(1977)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Sons, N.Y., 386pp
  32. Whittaker, R.H.(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ogy Monographs 26:1-80pp https://doi.org/10.2307/1943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