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Herbal Recipe Herb Mix Gold® on the Performance of Laying Birds

개량 한방제제(Herb Mix Gold®) 첨가가 산란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Lee, W.S.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 of Industrial Science, Chung Ang University) ;
  • Paik, I.K.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 of Industrial Science, Chung Ang University)
  • 이우선 (중앙대학교 산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과) ;
  • 백인기 (중앙대학교 산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과)
  • Published : 2007.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aded levels of a herbal recipe(Herb Mix $Gold^{(R)}$, Herb BIO Co.) supplemented to a commercial layer diet. The Herb Mix $Gold^{(R)}$ is an improved recipe of Herb $Mix^{(R)}$, fortified with Angelica gigas, Discorea japonica and Ligusticum jeholense. A total of 720 layers (Hy-Line Brown) of 45 wks old were assigned to one of six treatments; control, 0.2% Herb $Mix^{(R)}$, 0.1%, 0.2%, and 0.3% Herb Mix $Gold^{(R)}$, and 6 ppm Avilamycin. Each treatment had 6 replicates of 20 birds each housed in 2 birds cages. Birds were fed diets and water ad libitum for 5 weeks. Hen-day egg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among treatments. Herb Mix $Gold^{(R)}$ 0.2%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egg production followed by Herb Mix $Gold^{(R)}$ 0.3%, Herb $Mix^{(R)}$ 0.2%, Herb Mix $Gold^{(R)}$ 0.1%, Avilamycin 6 ppm and the control. Hen-housed egg production, egg weight, soft and broken egg ration, feed intake, feed conversion ratio, shell strength, shell thickness, shell color index, Haugh unit and yolk color index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Nor was cfu of Cl. perfringens and E. coli and Lactobacilli in the small intestinal conten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The number of white and red blood cells, hemoglobin, heterophil, lymphocyte, thus heterophil to lymphocyte ratio were not significantly modified. It was concluded that Herb Mix $Gold^{(R)}$ at the level of 0.2% in the layer diet improves laying performance.

한방제제 Herb $Mix^{(R)}$(Herb BIO Co.)에 당귀, 작약, 천궁을 강화한 개량 한방제제(Herb Mix $Gold^{(R)}$)의 상대적 효능과 적정 첨가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은 45주령 산란계(Hy-Line Brown) 720수를 대조구 포함하여 총 6개 처리구로 처리당 6반복 반복당 10케이지, 케이지당 2수씩 수용하여 난괴법으로 배치한 후 5주간의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T1), Herb $Mix^{(R)}$ 0.2% 첨가구(T2), Herb Mix $Gold^{(R)}$ 0.1% 첨가구(T3), Herb Mix $Gold^{(R)}$ 0.2% 첨가구(T4), Herb Mix $Gold^{(R)}$ 0.3% 첨가구(T5) 그리고 항생제 $Avilamycin^{(R)}$ 2%를 함유한 $Avilamix^{(R)}$ (CTC BIO Co., Ltd)를 0.03% 사용하여 6 ppm 첨가구(T6)를 두었다. 실험 결과 산란율은 Herb Mix $Gold^{(R)}$ 0.2% 첨가구가 가장 높았으며(P<0.05) 다음으로 Herb Mix $Gold^{(R)}$ 0.3% 첨가구, Herb $Mix^{(R)}$ 0.2% 첨가구, Herb Mix $Gold^{(R)}$ 0.1% 첨가구, Avilamycin첨가구 그리고 대조구 순이었다. 산란 지수도 산란율과 같은 경향이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P>0.05). 난중, 연파란율, 사료 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과 계란의 품질 평가 항목인 난각 강도, 난각 두께, 난각 색깔, Haugh unit 및 난황 색깔에서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장내용물 중 Cl. perfringens와 E. coli의 수는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적었고 Lactobacilli의 수는 Herb Mix $Gold^{(R)}$ 첨가구들이 높은 경항을 보여주었다(P>0.05). 백혈구 (WBC) 수와 heterophil(HE)의 경우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적었으며 림프구 (LY)의 경우 모든 첨가구들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5). Stress indicator로 알려진 HE/LY는 Herb Mix $Gold^{(R)}$ 0.2% 첨가구에서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P>0.05). 적혈구나 헤모글로빈은 모든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Herb Mix $Gold^{(R)}$ 0.2%구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결론적으로 산란 생산성 개전을 위해 Herb Mix $Gold^{(R)}$ 0.2% 첨가가 적당하다고 사료되며, 이는 선발 원료로 강화된 한방제제가 장내 미생물 균총, 혈액 내 백혈구 및 적혈구 수에 유익하게 미치는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Gerbert S, Messikommer R, Wenk C 1999 Chinesische Krauter im Ferkelfutter. In: Gesunde Nutztiere: Umdenken in der Tierernahung? (Sutter, F., Kreuzer, M. and Wenk, C., ed) p.163
  2. SAS Institute 1996 SAS/STAT$^{\circledR}$ User's Guide. Release 6.12 Ed.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3. Ushild K, Maekawa M, Arakawa T 2002 Influence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herb extracts on volatile sulfur production in pig large intestine. J Nutr Sci Vitam 48(1):18 https://doi.org/10.3177/jnsv.48.18
  4. Wenk C, Messilommer R 2002 Tumeric(Curcuma longa) als Futterzusatzstoff bei Legehennen. In: Optimale Nutzung der Futterressourcen im Zusammenspiel von Berg-und Talgebiet. Ein Beitrag zum Internationalen jahr der Berge, Schriftenreiheaus dem Institut fur Nutztierwissenschaften (Ed. M. Kreuzer, C. Wenk and T. Lanzini). 23:121
  5. 김병기 황인업 강삼순 신상회 우선창 김영직 황영현 2002 인삼, 산약, 한약부산물의 급여가 재래닭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지 44(3):297-304
  6. 류경선 송근섭 1999 당귀 부산물의 급여가 재래닭의 생산성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6(4):261-265
  7. 박상일 조성구 1995 당귀와 시호의 가축 사료첨가제 이용연구. 농업산학 협동논문집 37:15-31
  8. 박성진 김만배 1996 두충잎의 첨가가 육계의 성장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3(2):71-76
  9. 박혜란 유영법 이성태 조성기 1998 당귀 추출물의 면역증가 효과. 생명자원과 산업3:80
  10. 본초학 2002한국생약학교수협의회. 아카데미서적. 서울
  11. 이우선 백인기 2007 닭의 성장과 산란생산성 개선효과 증대를 위한 한방제제(Herb $Mix^{\circledR}$)의 개량에 관한 연구. 동물자원지 투고 중
  12. 최진호 김동욱 문영실 장동석 1996 한약재 부산물 투여가 돈육의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5(1): 110
  13. 홍성진 남궁환 백인기 2002 생약제제($Mircle20^{\circledR}$)가 육계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율,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지 43(5):671-680

Cited by

  1. Effects of Supplementary Cu-Soy Proteinate (Cu-SP) and Herbal Mixture (HBM) on the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roa, Immune Response in Broilers vol.41, pp.3, 2014, https://doi.org/10.5536/KJPS.2014.41.3.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