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Early Complications after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Implantation by Laparoscopic Surgery and Conventional Surgery in Children

소아에서 복막투석도관 삽입시 복강경을 이용한 방법과 기존의 수술법에 따른 초기 합병증 발생의 차이

  • Jeong, Soo-In (Departments of Pediatrics, Samsung Medical Center, School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
  • Lee, Hyun-Young (Departments of Pediatrics, Samsung Medical Center, School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
  • Lee, Cheol-Gu (Departments of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chool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
  • Seo, Jeong-Meen (Departments of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chool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
  • Lee, Suk-Koo (Departments of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chool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
  • Kim, Su-Jin (Departments of Pediatrics, Samsung Medical Center, School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
  • Kwak, Min-Jung (Departments of Pediatrics, Samsung Medical Center, School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
  • Jin, Dong-Kyu (Departments of Pediatrics, Samsung Medical Center, School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
  • Paik, Kyung-Hoon (Departments of Pediatrics, Samsung Medical Center, School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 정수인 (성균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과학교실) ;
  • 이현영 (성균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과학교실) ;
  • 이철구 (성균의대 삼성서울병원 외과학교실) ;
  • 서정민 (성균의대 삼성서울병원 외과학교실) ;
  • 이석구 (성균의대 삼성서울병원 외과학교실) ;
  • 김수진 (성균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과학교실) ;
  • 곽민정 (성균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과학교실) ;
  • 진동규 (성균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과학교실) ;
  • 백경훈 (성균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Purpose : To assess the early complication of laparoscopic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implantation in children. Methods : Medical record review was carried out on 21 laparoscopic and 16 conventional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implantations which were performed in 31 children under 18 years of age between 2002 and 2006. All medical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patients were followed until 2 months after catheter placement. Patient characteristics and catheterrelated complications, such as significant bleeding, leakage, obstruction, migration, insertion site infection and peritonitis during the first 60 days after implantation were recorded. Results : After conventional operation, dialysate leakage occurred in 2 of 16 cases and all cases improved after conservative management. In 1 case, significant bleeding occurred and re-operation was performed. Three cases of obstruction due to migration were reported, 2 cases underwent reoperation and 1 case improved without intervention. After laparoscopic surgery, outflow obstruction occurred in 1 out of 21 cases, which was caused by adhesion after several reinsertions of the catheter and recurrent peritonitis. No migration was noted after laparoscopic surger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lication rat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Laparoscopic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placement is feasible in children of all age groups, with at least equivalent functional results compared to conventional surgery. The additional advantage of laparoscopic catheter insertion is the option to identify and eliminate anatomical risk factors, such as intra-abdominal adhesions, and to perform partial omentectomy without additional incisions.

목적 : 복강경을 이용한 복막투석도관 삽입술은 직접 복강 내를 들여다보며 시술할 수 있어 위치 선정이 쉽고, 조직 손상이 적으며 합병증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소아에서의 경험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에서 복강경을 이용한 복막투석도관 삽입술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 2002년부터 2006년까지 삼성서울 병원에서 31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복강경을 이용하여 복막투석도관 삽입술을 시행한 21례와 고식적 수술 방법으로 투석도관을 삽입한 16례의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복막투석관 삽입 후 첫 2개월간 투석도관의 누출, 폐쇄, 삽입 부위의 감염, 위치 이동 등 복막투석관 삽입과 관련된 합병증에 대해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고식적 수술을 받은 군(16례)에서 1례(6.3%)에서 수술 직후 심한 출혈로 재수술을 받았고, 복막액의 누출은 2례(12.5%) 있었으며, 보존적인 치료로 호전되었다. 삽입 부위 감염은 없었으나, 2례(12.5%)에서 복막염이 발생하였다. 투석도관의 이동으로 인한 기능부전이 3례 있었고 이중 2례에서 재수술을 받았으며, 1례는 보존적인 치료로 호전되었다. 복강경 수술을 받은 군(21례)에서 2례(9.5%)에서 투석액의 누출이 있었고, 보존적인 치료로 호전되었다. 삽입 부위의 감염은 없었고, 복막염이 2례(9.5%)에서 있었다. 1례에서 투석도관의 막힘이 있었고, 이 경우는 기존의 고식적 수술로 투석관 삽입 후 투석관 이동으로 재 삽입 후 불응성 복막염으로 투석관을 제거한 뒤 복강경 수술을 받은 증례였다. 투석도관의 이동은 없었다. 두 군의 합병증의 발생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소아에서 복강경적 투석도관 삽입술을 시행한 경우, 1세 미만의 소아에서도 시술이 가능하였으며, 기존의 수술법에 비해 합병증이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절개범위를 더 넓히지 않으면서도 장간막 절제 및 투석도관의 고정이 가능하여, 이를 통해 추후 투석도관의 이동이나 폐쇄의 위험요소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따라서 소아에서 복막투석도관 수술 시 복강경적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인 복막 투석을 위해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