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of the Framework of Science Culture Indicator and Its Application to Secondary School Teachers

과학문화지표체계 개발 및 적용 -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There are various definitions of Science Culture nowadays. In this study we redefine Science Culture as a union between Science and Culture. We also develop the Framework of Science Culture Indicator (FSCI). which consists of five fields; History of Science, Philosophy of Science, Literature and Art of Science, Scientific Social Activity and Scientific Media. In this study we also investigated the level of the Science Culture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compare them by teachers' majors: Science, Liberal Arts and Social Studies. To analyze the data, the Kruskal-Wallis Test is adopted. It is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cience Culture by teachers' major, and the group of science teachers has the highest level of science culture.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 과학 문화의 개념을 과학과 문화를 융합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정의하였다. 과학문화연구를 진행하면서 과학문화에 대한 지표체계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며,이에 따라 전문가들의 검증을 거쳐 과학문화지표체계를 개발 하였다. 과학문화지표는 크게 과학역사, 과학철학,과학 문학과 예술,과학관련 사회활동,과학 대중매체의 다섯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다섯 분야는 또다시 각각의 하위부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이에 기초하여 설문지를 제작한 후, 중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전공별 과학문화수준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결과 교사들은 과학교사, 인문교사, 사회교사에 따라 전공별로 과학문화 수준에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대다수의 문항에서 과학 교사가 인문 사회교사들에 비해 높은 과학문화수준을 나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목, 김명수 (2000). 환경지표와 지표체계 개발. 국토연구, 30, 31-49
  2. 김영식 (2002). '과학문화' 에 대한 다각적 고찰. 한국과학사학회지, 24(2), 238-250
  3. 문화관광부한국문화정 책개 발원 (2002) 국민문화지수 개발 연구: 종합보고서. 서울: 문화관광부
  4. 소흥렬 (2002). 과학문화와 동양적 연결주의. 과학철학, 5(1) 1-19
  5. 송성수 (2003). 한국 과학기술문화활동의 전화와 과제. 정책자료 2003-04.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6. 송위진, 이은경, 송성수, 김병윤 (2003). '과학기술과 사회' 의 주요 쟁점 분석 연구. 정책연구 2003-03.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7.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6). 문화통계 및 지표체계연구 최종보고서. 서울:한국문화예술진흥원
  8. 이용수 (2000). 21세기 과학기술시대에 대비한 과학 문화 활성화 방안 연구: 과학NGO활동을 중심으로. 서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9. 이은경 (2001), 미국의 과학기술문화사업:NSF와 AAAS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지, 11(5).68-74
  10. 이초식 (2001). 과학기술발전과 문화의 변화: 과학 문화의 사회적 함의와 비판적 재구성. 과학문화연구센터 연구논문집, 2000, 176-224
  11. 이초식 (2001). 한국과학문화의 비판적 재구성. 과학기술학 연구, 1(1). 5-27
  12. 장회익 (2001). 바람직한 과학문화의 방향. 자치광장, 113, 84-94
  13. 조숙경 (2003). 과학기술문화의 의미와 과제 과학. 기술정책지. 143, 27- 36
  14. 조향숙 (2000) 선진주요국의 과학문화 사업의 교훈. 과학기술정책지, 122, 16-25
  15. 한국과학문화재단 (2004). 과학기술 분야 국민이해도 조사. 서울: 한국갤럽
  16. Durant, J. (1992). Editorial: A decade of public understanding.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1(1), 1-5
  17. European Union (1997). European union report o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 Luxembourg: European Commission
  18. Field, H. and Powell, P.(2001).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versus public understand of research.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10(4), 421-426  https://doi.org/10.1088/0963-6625/10/4/305
  19. Godin, B. ano Gingras, Y. (2000). What is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ulture and how is it measured? A multidimensional model, FaI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9(1), 43-58 https://doi.org/10.1088/0963-6625/9/1/303
  20.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000). Scierce and technology: Public attitude and public understand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dicators 2000. NSB-00-l, Arlington. Available from http://www.nsf.gov/statistics/seind00/
  21. Snow, C. P. (1959). The two cultures and the scientific revolu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Tylor, E. B. ( 1924). Primitive culture. 7th ed. Reprint, New York: Brentano's
  23. White, L. A. (1973). The concept of culture,Minneapolis: Burg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