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Conceptual Sequence and Representations of Eye Vision in Korean Science Textbooks and a Suggestion of Contents Construct Considering Conceptual Sequence in the Eye Vision

초 .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의 시각(eye vision) 개념의 연계성과 표현 방식 분석 및 연계성을 고려한 시각 개념 구성의 한 가지 제안

  • Published : 2007.08.30

Abstract

The aims of this research are to analyze the representations and conceptual sequence of eye vision in Korean science textbooks and to suggest a contents construct about eye vision where the conceptual sequence is considered. Research method was literature review, and the literatures that were used for analysis were the 7th Korean science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1997, and the science and physics textbooks developed based on the 7th Korean science curriculu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Although the science curriculum seems to have no problem on sequence in the eye vision concepts, the science and physics textbooks based on the curriculum reveal problems on the sequence in the eye vision concepts; 2) Some Korean science textbooks explain retinal image formation according to the Alhazen's idea, except in inverse image; 3) Some Korean science textbooks explain about the reasons of near- and far-sightedness without consistency between the textbooks for 7th and 8th grade students; 4) A few Korean science textbooks give an inappropriate explanation about the principle of eye sight correction by eye glasses; 5)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 concepts related to eye vision should be presented in the order of explanation about light refraction phenomena, image formation process by convex lens, structure of human eye and retinal image formation process, correction of eye sight using lens.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중등학교 과학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시각 개념 표현 방식과 연계성은 어떠한지를 분석하고, 개념의 수준을 고려하여 시각 개념을 이해시키기 위한, 연계성 있는 시각 개념 구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문헌 분석은 제7차 한국의 과학 교육과정과 제7차 과학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과학 및 물리I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한국의 현행 교육과정과 현행 과학 교과서의 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교육과정상으로 보면 시각 개념의 연계성에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교육과정에 따라 실제로 집필된 교과서 내용상으로는 시각 개념의 연계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눈에서 수정체의 기능은 8학년에서 학습하도록 되어 있는데도 7학년에서 안경에 의한 시력 보정의 원리가 제시되고 있는 것은 개념 이해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Kepler는 Alhazen의 시각 개념에서 물체의 한 점에서 반사된 한 광선이 수정체의 한 점에 도달하여 그 점의 상을 맺을 수 있다는 설명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현대적인 시각 이론을 세웠지만 한국의 일부 과학 교과서는 여전히 Alhazen 방식의 망막 상 형성을 설명하고 있다. 셋째, 근시와 원시의 원인에 대한 설명의 일관성이 없는 경우가 있고, 대부분 두 가지 이유 중의 한 가지로만 설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개념 위계를 고려한 시각 개념의 연계적 구성에 있어서는 볼록렌즈에 의한 상에 대해 학습한 후에 우리 눈의 구조와 기능이 제시되어야 하며, 우리 눈의 구조와 기능을 학습한 후에 안경의 기능과 시력 보정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만식 외 (2005). 중학교 과학 1,2. 서울: (주)교학사
  2. 교육부 (1997). 초등학교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교육부 (1997). 중학교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 교육부 (1997). 고등학교 교육과정[1].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5. 권경필, 방소윤, 이성묵, 이경호(2006) 광학분야에서의 학생 개념의 상황의존성 시각과 거울상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406-414
  6. 권재술 외 (2006). 고등학교 물리 I. 서울: (주)교학사
  7. 김정률 외 (2007). 중학교 과학 1, 2. 서울: (주)블랙박스
  8. 김찬종 외 (2006). 중학교 과학 I, 2. 서울: (주)도서출판 디딤돌
  9. 박봉상 외 (2007) 중학교 과학 1,2. 서울: (주)동화사
  10. 박봉상 외 (2003) , 고등학교 물리 I. 서울: 대한교과서(주)
  11. 소현수 외 (2005). 중학교 과학 I, 2, 서울: (주)두산
  12. 송진웅, 김익균, 김영민, 권성기, 오원근, 박종원 (2004). 학생의 물리 오개념 지도. 서울: 북스힐
  13. 이광만 외 (2007). 중학교 과학 1,2. 서울:(주)지학사
  14. 이면우 외 (2003), 고등학교 과학. 서울: (주)지학사
  15. 이문원 외 (2006). 고등학교 과학. 서울: (주)금성출판사
  16. 이성묵 외 (2006) 중학교 과학 1, 2. 서울: (주)금성출판사
  17. 이양락, 박재근, 이봉우(2006). 제7차 중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의 적정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7), 775-789
  18. 이재봉, 남경운, 손정우, 이성묵 (2004). 광선추적과 스펙트럼에 대한 교사와 중학생의 개념 분석 연구. 한국 과학교육학회지, 24(6), 1189-1205
  19. 이춘우 외 (2006). 고등학교 물리 I. 서울:(주)중앙 교육진흥연구소
  20. 정완호 외 (2007). 중학교 과학 1, 2, 서울:(주)교학사
  21. 채광표 외 (2006). 고등학교 물리 I. 서울: (주)금성 출판사
  22. 최돈형 외 (2006). 중학교 과학 I, 2, 서울:도서출판 대일도서
  23. Breithaupt, J. (1994). Key Science - Physics. Cheltenham: Stanley Thomes Publishers
  24. Crombie, A. C. (1990). Science, optics and music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thou호t. London: The Hambledon Press
  25. Ferguson, K. (2002). Tycho & Kepler. New York: Walker & Company
  26. Kepler, J. (1990). De Modo Visions, translated by A. C. Crombie. London: The Hambledon Press
  27. Lindberg, D. C. (1976). Theories of vision from al-Kindi to Kepler.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 Kim, Y. (2006). How many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find the same scientific problems as Kepler found in optics and physiology? 200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ience Education for the Next Society, Center for SENS, Seoul: Secul National University
  29. Kim, Y. & Kim, Y. (2006), Kepler's problem finding and students' responses in the same problem finding situation with Kepler in the eye vision. ASERA 2006 International Conference, Canberra: University of Canberra
  30. Plato (1965). Timaeus and Critias, translated by D. Lee. London: Penguin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