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States of Matter

물질의 상태에 관한 중 . 고등학생들과 과학교사들의 분류 기준에 대한 유형 분석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fication criteria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in relation to the three statesof matter. For this research, 76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7th grade who studied microscopic viewpoints about classifying the state of matter for the first time, 69 high school students in the 12th grade who studied Chemistry I and IIcourses successfully, and 130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through a questionnaire. As a result, while having learned the three states of matter in the microscopic viewpoints, the majo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a high percentage of classification in the macroscopic viewpoints. For high school students, their percentage of classification included highmicroscopic viewpoints about solid and gas, the percentage of classification included macroscopic viewpoints about liquid state as alsohigh.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gave answers in the macroscopic viewpoints and microscopic viewpoints equally, but their answers were just representation of the viewpoints list without the meaningful connection of the two type of viewpoints.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form connective change from the macroscopic viewpoints to the microscopic viewpoints about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States of Matter and various educational efforts.

본 연구의 목적은 중 고등학교 학생들과 과학교사들의 물질의 세 가지 상태에 대한 분류 기준을 조사하고 비교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물질의 상태를 구분하기 위해 처음으로 미시적 관점을 학습한 중학교 1학년 학생 76명과 화학 I II를 모두 배운 고등학교 3학년 학생 69명, 중등학교 과학교사 130명이었으며, 연구 방법은 질문지에 의한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교 학생들의 경우 미시적 관점으로 물질의 세 가지 상태를 배웠음에도 불구하고 거시적 관점으로 분류한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고등학생들의 경우에는 고체와 기체 상태에 대해서는 미시적 관점을 포함한 응답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액체 상태에 대해서는 거시적 관점을 포함한 응답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성은 과학을 전공한 교사들에게도 같게 나타났다. 과학교사들은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을 고르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들의 관점들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지 못하고 단순히 나열식으로 제시되는 특정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질의 상태 분류 기준에 대한 거시적 관점에서 미시적 관점으로의 연계적 전환이 펼요하며, 다양한 교육적 노력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정 (2000). 물질의 상태와 상태변화에 대한 초등학생의 개념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교육인적자원부 (2003a), 3-1, 4-2, 6-1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3. 교육인적자원부 (2003b), 3-1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후 정진우, 최병순 (1998). 과학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4. 김선경 (2002). 물리변화와 화학변화에 대한 중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의 인식 조사 빛 과학교과서 개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장환 (2001). 중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와 대학교 일반 화학 교재에 제시된 물질 관련 개념의 문제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주현, 이동준, 김선경, 강성주, 백성혜 (2000). 입자론의 관점에서 본 확산과 용해 개념에 관련된 과학 교과서 및 인터넷 자료 분석과 컴퓨터 보조 자료의 개발. 대한화학회지, 44(6), 145-158
  7. 백성혜, 김효남, 조부경 (2000). 유치원, 초등, 중등학교 과학교육과정의 물질의 성질 관련 학습 내용 전개 에 대한 특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527-541
  8. 서정쌍, 허성일, 김출배, 박종옥, 하윤경, 임영종, 배병일 (2002). 고등학교 화학 I. II. 서울: 금성출판사
  9. 윤광현 (2001). 중고등학교 과학교과서 및 대학 일반화학교재에 제시된 입자 및 입자관련개념의 문제점 분석 - 원자, 원소, 흘 원소, 이온, 분자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광만, 허동, 이경운, 정문호, 방태철, 이기성, 안태근, 정상윤, 복완근, 정익현,박병훈, 박정일, 정수도, 김경수, 박지극, 송양호, 이천기 (2000), 중학교 과학 1, 서울:지학사
  11. 조희영 (2002). 잘못알기 쉬운 과학 개념. 서울. 전파과학사
  12. 최경숙 (2003). 물질의 상태와 상태변화에 대한 중 학교 1학년 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최후남 (1991). 물질의 상태변화 현상에 대한 학생 들의 개념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한유화, 강대훈, 양일호, 백성혜, 박국태 (1999). 초 등학교와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학영역에 대한 연계성과 중학생들의 화학 개념에 대한 인식 분석. 대한화학회지, 43(3), 175-185
  15. Charly. R (1990). Student Teacher' Concepts Of Purity And Of States Of Matter.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8(2), 171-183 https://doi.org/10.1080/0263514900080209
  16. Gabel, D. L. (1993). Use of the particle nature of matter in developing conceptual understanding.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0(3), 193-194 https://doi.org/10.1021/ed070p193
  17. Haider, A. H., & Abraham, M. R.(1991). A Comparison of Applied and Theoretical Knowledge of Concepts Based on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10), 919-938
  18. Gomez Crespo, M. A., & Pozo, J. I. (2004). Relationship; Between Everyday Knowledge and Scientific Knowledge: Understanding How Matter Chang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11), 1325-1343 https://doi.org/10.1080/0950069042000205350
  19. Johnson. (1998). Children's understanding of changes of state involving the gas state, Part 1: wiling water and the particle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5), 567-583 https://doi.org/10.1080/0950069980200505
  20. Krnel, D., & Watson, R (2005). The Development of the 'matter': A Cross-Age Study of How Children Classify Material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3), 367-383 https://doi.org/10.1080/09500690412331314441
  21. Nakhleh, M. B., & Sarnarapungavan, A. (1999). Elementary School Children's Beliefs about Matte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7), 777-805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909)36:7<777::AID-TEA4>3.0.CO;2-Z
  22. Shepherd, D. L., & Renner, J. W. (1982). Student understandings and misunderstandings of states of matter and density change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82(8), 650-665 https://doi.org/10.1111/j.1949-8594.1982.tb10073.x
  23. Starvy, R (1988). children's conception of ga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0(5), 553-560 https://doi.org/10.1080/0950069880100508
  24. Starvy, R. (1990). Children's Conception Of Changes In The State Of Matter: From Liquid (or Solid) To Ga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3), 247-266 https://doi.org/10.1002/tea.3660270308
  25. Stavy, R. & Stachel, D. (1985). Children's ideas about 'solid' and 'liquid'.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7(4), 407-421 https://doi.org/10.1080/0140528850070409
  26. Tsai, C. C. (1998). Overcoming eighth graders' misconceptions about microscopic views of phase change: A study of an activit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Diego.(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2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