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graduate Students' Response Characteristics by Cognitive Conflict Levels and Result Predictions on Action-Reaction and Electric Cireuits Learning Tasks

작용 . 반작용과 전기회로 학습과제에서 인지갈등과 결과예측에 따른 대학생의 응답특성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undergraduate students' response characteristics by their cognitive conflict levels and result predictions when they were confronted with the learning tasks of action & reaction and electric circuits. The 147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who were enrolled at the introductory physics classe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The students were grouped by cognitive levels and result predictions. First, in action and reaction task, the trend of suspecting experimental results and finding the reasons was dominant; however, in electric circuits, the trend of accepting the results was dominant. Second, the reasons for the responses on the subcategories of cognitive conflict were different by the level of cognitive conflict. The responses were influenced by students' preexisting knowledge, former experiences, learning habits, learning motivation, and epistemological beliefs, etc. The high conflict group recognized what they do not consider and was positive to reappraise their preconceptions, while the low conflict group showed the tendency of accepting the situation without doubt and low interest on learning physics. In conclusion, students responses showed differences in cognitive conflict levels, result predictions and presented conflict tasks. The research results, especially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suggest that more research on effective cognitive conflict strategies appropriate for different tasks and students' conflicts are necessary for effective physics teaching.

이 연구는 작용 반작용 과제와 전기회로 과제에서 인지갈등 정도와 실험결과 예측에 따른 대학생의 인지갈등 특성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일반물리실험을 수강중인 공과 대학 학생 147명이었다. 인지갈등 정도와, 예측이 실험결과와 일치하는가를 기준으로 학생들을 네 집단으로 나누어 학생들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첫째, 작용 반작용 과제에서는 실험결과를 의심하고 오류를 찾아내려고 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전기회로 과제에서는 현상을 그대로 인정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인지갈등 정도에 따라 인지갈등 요인별 응답 원인이 다르다. 학생의 인지갈등은 학생의 과거 지식, 경험, 학습습관, 학습동기, 인식론적 신념 등의 영향을 받는다. 인지갈등 점수가 높은 학생은 불일치 상황을 잘 인식하고 자신이 모르는 것을 지각하고 있었고, 재평가의 의지가 높았다. 반면에 인지갈등 점수가 낮은 학생들은 상황을 의심 없이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었고 물리에 대한 관심이 적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이러한 응답특성을 근거로 학생과 과제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인지갈등 전략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진, 신숙희, 노태희(2002). 변칙 사례에 대한 초 등학생들의 반응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252 -260
  2. 권난주, 권재술(1996). 인지갈등을 통한 개념수업 절차 모형의 점검틀 고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239-248
  3. 권난주, 권재술(1998). 인지갈등을 통한 개념 수업 절차 모형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261-271
  4. 권난주, 권재술(2004). 인지갈등 전략을 이용한 과학 개념변화에서 학습자 특성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4), 216-225
  5. 권재술(1989). 과학개념의 한 인지적 모형. 물리교육, 7, 1-9
  6. 권재술, 박학규, 김준태, 이영직, 이경호(2000). 과학 학습에서 불일치 상황에 대면한 학생들의 인지갈등 특성(수준 및 유형)과 반응 유형의 관계 분석. 교과 교육 관련 자유 연구, 1113-1164
  7. 권재술, 이경호, 김연수(2003). 인지갈둥과 개념변화의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74-591
  8. 김범기, 권재술(1995). 과학개념과 인지적 갈등의 유형이 학생들의 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4), 472-486
  9. 김연수(2002). 인지갈등의 불안 유형과 귀인의 동기 심리학적 요인에 따른 학생의 물리 개념 변화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김연수, 조용현, 권재술(2005). 작용 반작용 과제에 서 고등학생의 인지갈등 불안유형에 따른 설명가설 형성의 특성(II)(200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400-410
  11. 김지나, 이영직, 권재술(2000). 갈둥상황 제시 유형 에 따른 학생 개개인의 물리 개념변화 경로 분석. 한국 과학교육학회지, 20(1), 77-87
  12. 노태희, 임희연, 강석진(2000). 변칙 사례에 대한 학 생들의 반응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88-296
  13. 박종원, 박문주(1997). 힘과 운동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갈등을 일으키기 위한 시범에 대한 학생의 반응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2), 149-162
  14. 서상오, 진순희, 정성안, 권재술(2002). 전기회로 학습에서 초등학생의 토론과 체험을 통한 인지갈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62-871
  15. 신상우, 김연수, 권재술(2005). 작용 반작용 과제에 서 불일치현상에 대한 실업계 고등학생의 인지갈등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5), 571-582
  16. 이경호(2000). 고등학생의 물리 개념변화에 미치는 인지갈등,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의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7. 이영직(1998). 인지갈둥에 의한 고등학생의 물리 개념변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용숙, 김영천, 이혁규, 김영미, 조덕주, 조재식(2005). 교육현장 개선과 함께 하는 실행연구 방법. 서울: 학지사
  19. 이채은, 이경호, 김지나, 권재술(2001), 인지갈등 상황 제시유형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역학 개념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697-709
  20. 임이숙, 이영직, 권재술(1998). 뉴턴 운동법칙에 관한 문제에서 갈등상황의 유형이 학생들의 인지적 갈동 유발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4), 473-484
  21. 조용현, 김연수, 권재술(2001). 작용 반작용 과제에 서 고등학생의 인지갈등 불안유형에 따른 설명가설 형성의 특성(I).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596-611
  22. 차영, 서상요 권재술(2001), 작용과 반작용에 관한 학습에서 토론을 통한 인지갈등과 개념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2), 411-42
  23. 최혁준, 권재술(2005). 물리 학업 성취도에 따른 예상의 확인 결과가 고등학생의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382-389
  24. Chinn, C. A., & Brewer, W. F. (1993). The role of anomalous data in knowledge acquisition: A theoretical framework and implications for science instructio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3, 1-49 https://doi.org/10.3102/00346543063001001
  25. Chinn, C. A, & Brewer, W F. (1998). An empirical test of a taxonomy of responses to anomalous data in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6), 623-654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808)35:6<623::AID-TEA3>3.0.CO;2-O
  26. Dreyfus, A., Jungwirth, E., & Eliovitch, R. (1990). Applying the 'cognitive Conflict' strategy for conceptual change - sorre implication, difficulties, and problems. Science education, 74(5), 555-569 https://doi.org/10.1002/sce.3730740506
  27. Hashweh, M. Z. (1986). Toward and explanation of conceptual change.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8(3), 229-249 https://doi.org/10.1080/0140528860080301
  28. Kim, Y., & Kwon, J. (2004). Cognitive conflict and causal attributions to successful conceptual change in physics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 687-708
  29. Kim, Y., & Bao, L. (2005).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evaluating anxiety caused by cognitive conflict. 2004 Physics Education Research Conference Proceedings, Vol. 790, 49-52
  30. Kim, Y., Bao, L., & Acar, O. (2006). Students' Cognitive Conflict and Conceptual Change in a Physics by Inquiry Oass. 2005 Physics Education Research Conference Proceedings, Vol. 818, 117-120
  31. Lee, G., & Kwon, J. (2003). Toward an understanding and use of cognitive conflict in science instruction(I).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3, 360-374
  32. Lee, G. H, Kwon J. S., Park, S. S., Kim, J. W., Kwon, H. G., & Park, H. K. (1999).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ing of students' cognitive conflict level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futon, MA
  33. Lee, G. H., Kwon J. S., Park, S. S., Kim, J. W, Kwon, H G., & Park, H. K. (2003).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measuring cognitive conflict in secondary -level science clas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6), 585-603 https://doi.org/10.1002/tea.10099
  34. Limon, M. (2001), On the cognitive conflict as an instructional strategy for conceptual change: A critical appraisal. Learning and Instruction, 11(2001), 357-380 https://doi.org/10.1016/S0959-4752(00)00037-2
  35. McDormott L. C, Shaffer P. S. & The Physics Education Group (2003) Instructor's Guide for Tutorials in Introductory Physics. FIrst Edition. Prentice Hall
  36. Posner, G. J., Strike, K. A., Hewson, P. W, & Gertzog, W. A (1982). Accommodation of a scientific conception: Toward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 Science Education, 66, 211-227 https://doi.org/10.1002/sce.373066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