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ceptual Definition and Types of Reflective Thinking on Science Teaching: Focus on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과학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의 개념적 정의와 유형: 예비 과학교사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Reflection in teacher education is one reform effort that has taken hold in many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However, how to define it and how to foster it in a teacher's education are problematic issues.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is defined as a process of thinking that deliberates on alternatives to solve conflict between one's previous knowledge/belief/practice and internal/external factors in science teaching context. Based on this definition, three types of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i.e. technical reflection, professional reflection and critical reflection) were proposed. In addition, a framework of classifying the reflective thinking's types was also developed. To investigat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two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majored in physics educa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presented the monthly report on reflective practice, pre/post questionnaire, and education practicum journals.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m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ir teaching activities. From the analysis of the data, it was possible to categorize the reflective thinking of the participants into three types. The major type of their reflective thinking was the technical reflection. However, it was difficult to find examples of the critical reflection.

교육에서 교사의 중요성은 수많은 연구를 통해 강조되어 왔다. 이는 교육의 수준과 질이 교사의 전문성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기 때문이다.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법 중 교사의 반성적 사고는 많은 교사교육 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반성에 대한 개념은 주로 Dewey와 $Sch\ddot{o}n$에 의해 정의된 것이 받아들여져 왔으나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그러한 개념적 정의에 비추어 구체적으로 알아보기에는 모호하고 어려운 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반성적 사고란 과학수업 상황에서 자신의 기존 지식, 신념, 그리고 실천 행위와 이에 모순되는 내 외적 요소들 간의 갈등을 인식하거나,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새로운 대안을 고려하는 사고과정을 의미한다."로 정의하였다. 또한, 이를 기술적, 전문적, 비판적 반성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구체적인 분류 기준틀을 개발하였다. 기술적 반성은 자신의 교육학적 신념이나 지식 그리고 교사 교육과정에서 학습한 기성의 교육학 이론이 교사의 실천, 외부 환경 또는 외부의 교육적인 지식과 갈등을 일으키며 교사의 새로운 실천과 지식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전문적 반성은 교사자신의 교육학적 지식과 신념 그리고 실천이 외부의 교육학적 지식이나 환경 등과 모순을 일으킬 때 자신의 지식과 신념에 의문을 가지고 새로운 대안을 고려하게 되며, 이때 기존의 것과 새로운 대안 사이에 교육적 가치갈등의 과정을 거치는 사고 과정을 의미한다. 비판적 반성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사회문화적 지식과 신념 및 실천이 외부의 사회문화적 환경과 갈등을 일으키며, 자신의 지식, 신념, 그리고 실천을 새롭게 형성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각 반성적 사고의 과정과 함께 각각의 특성과 교사가 자신에게 물었을 때 각 유형의 반성적 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몇 가지 질문들을 초점으로 정리하여 '반성적 사고의 유형 분류 기준틀'을 개발하였다. 이후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준틀을 적용하여 예비 과학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분석해 본 결과, 세 가지 유형의 반성적 사고를 실제 확인할 수 있었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반성적 사고의 세 가지 유형 중 특히 기술적 반성을 많이 하고 있었으며, 비판적 반성의 사례는 극히 드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선 (2003). 생물 교육실습생의 자기 수업에 대한 반성을 통한 수업 기술 개선 연구- 비디오 촬영과 자기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 김기태, 조평호 (2003). 미래지향적 교사론. 서울: 교육과학사
  3. 김만의, 박찬억 (2004). 반성적 실천을 통한 초등교 사의 체육수업 개선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 논총, 18(3), 61-85
  4. 김지현 (2002). 매체를 활용한 반성적 초등체육수업 에서 교사와 학생의 인식과 행동분석. 서울대학교 대학 원석사학위 논문
  5. 곽영순 (2003). 질적연구로서 과학수업비평. 교육과학사
  6. 박수옥 (2003).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가 유아특수교사의 발문과 피드백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7. 박승재, 강순희, 김영수, 김익균, 김잔종, 김희백, 박 종윤, 송진웅, 이원식, 정병훈, 허명 (1993). 중등 과학교 사 관계 사항에 대한 실태 분석과 질적향상을 위한 정 책 방안 연구. 교육부 연구보고서
  8. 박은혜 (2002). 지식 기반 사회에서의 유아 교사의 지식. 창지사
  9. 박윤배 (1992) 현직 교사들이 바라는 중등과학교사의 특성과 사전교사교육과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1), 103-117
  10. 심미옥 (2001). 초등 교사의 갈등 요인과 이직 요인의 분석. 교육연구, 18, 춘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41-160
  11.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편 (1994) 교육학 용어사전. 하우동설
  12. 이종일 (2004). 교사교육 이론의 변천. 길병휘 외 15인, 교사교육: 반성과 설계 (pp.29- 50). 교육과학사
  13. 양일호, 서형두, 정진우, 권용주, 정재구, 서지혜, 이혜정 (2004). 초등 과학 교사들의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 행동 요소와 수업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565-582
  14. 윤혜경 (2005). 딜레마 일화를 활용한 과학 교사 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98-110
  15. 전정호 (2000). 쇤(D. A. Schon)의 실천적 인식론에 나타난 교육적 실습의 조건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Ashton, P. T., & Webb, R. B. (1986). Making a Differe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New York: Longman
  17. Boud, D., Keough, R., & Walker, D. (198S). Reflection: Turning Experience into Learning. London: Kogan Page
  18. Danielson, C. (1996). Enhancing professional practice: A framework for teaching. Alexandra, Virginia: ASCD
  19. Dewey, J. (1910). How we think. Boston: D. C. Health & Co
  20. Dewey, J. (1933). How we think: A restatement of the relation of reflective thinking in the education process. Chicago: Henry Regnery
  21. Feiman, S. (1980). Growth and reflection as aims in teacher education. In G. Hall, S. Hord, & G. Brown (Eds,), Exploring issues in teacher education: Questions for future research. Austin, TX: The University of Texas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22. Feiman-Nemser, S. (2001). Helping novices learn to teach: Lessons from an exemplary support teacher. Journal of Teacher Edcuation, 52(1), 17-30 https://doi.org/10.1177/0022487101052001003
  23. Gess-Newsome, J. (1999). Secondary teachers' knowledge and beliefs about matter and their impact on instruction. In J. Gess-Newsome, & N.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pp.51-94).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4. Grundy, S. (1987). Curriculum: Product or praxis. New York: The Falmer
  25. Grushka, K., & Mcleod, J. D., & Reynolds, R. (2005). Reflecting upon reflection: theory and practice in one Australian University teacher education program. Reflective Practice, 6(2), 239-246 https://doi.org/10.1080/14623940500106187
  26. Henson, K. T., & Oliva, P. F. (1980). What are the essential generic teaching competencies? Theory Into Practice, 19(2), 117-121 https://doi.org/10.1080/00405848009542884
  27. Killion, J., & Todnem, G. (1991). A process for personal theory building. Educational Leadership, 48(6), 14-16
  28. Kraft, N. P. (2002). Teacher Research as a way to Engage in Critical Reflection: a Case Study. Reflective Practice, 3(2), 175-189 https://doi.org/10.1080/14623940220142325
  29. Mezirow, J. (1981). A Critical Theory of Adult Learning and Education. Adult Education, 32(1), 3-24 https://doi.org/10.1177/074171368103200101
  30. Pedro, J. Y. (2005). Reflection in teacher education: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meaning of reflective practice. Reflective Practice, 6(1), 49-66 https://doi.org/10.1080/1462394042000326860
  31. Putnam, R. T., Lampert, M, & Peterson, P. (1990). Alternative perspectives on knowing mathematics in elementary school.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16, 57-150
  32. Rearick, M L., & Feldman, A. (1999). Orientation, purpose and reflection: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ction research.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5, 333-349 https://doi.org/10.1016/S0742-051X(98)00053-5
  33. Richert, A. E. (1990). Teaching teachers to reflect: A consideration of programme structur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2(6), 509-527 https://doi.org/10.1080/0022027900220601
  34. Russell, T. L. (1997). Teaching teachers : How I teach IS the message. InJ. J. Loughran & T. L. Russell (Eds.), Teaching about teaching: Purpose, passion and pedagogy in teacher education. London: Falmer
  35. Scho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New York: Basic Books
  36. Schon, D. A. (1987).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San Francisco: Jossey-Bass
  37.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 Review, 57, 1-22 https://doi.org/10.17763/haer.57.1.j463w79r56455411
  38. Schwab, J. J. (1969). The practical: A language for curriculum. School Review, 78(1), 1-24 https://doi.org/10.1086/442881
  39. Valli, L. (1993).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cases and critiqu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0. van Manen, M (1977). Linking ways of knowing with ways of being practical. Curriculum Inquiry, 6(3), 205-228 https://doi.org/10.2307/1179579
  41. Villar L. M (1995). Reflective teaching.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second edition. Great Britain b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Zeichner, K. M (1983). Alternative Paradigms of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4(3), 3-9 https://doi.org/10.1177/002248718303400302
  43. Zeichner, K M (1987). Preparing Reflective Teachers: an overview of instructional strategies which have been employed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1 (5), 565-575 https://doi.org/10.1016/0883-0355(87)90016-4
  44. Zeichner, K. M, & Liston, D. (1987). Teaching student teachers to reflect. Harvard educational Review, 5, 2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