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allergic Effects of Socheongyoug-tang on RBL-2H3 Mast Cell and Mice-mediated Allergy Model

RBL-2H3 비만세포와 동물병태모댈에서 소청룡탕(小靑龍湯)의 항알레르기 효과

  • Kim, Kyung-Yeol (Bijeon Oriental Medical Clinic) ;
  • Lee, Jong-Hwa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Kim, Young-Ju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Choi, Sung-Youl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Kim, Tae-Heo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Lyu, Yeoung-Su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Kang, Hyung-Wo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김경렬 (비전한의원) ;
  • 이종화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교실) ;
  • 김영준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교실) ;
  • 최성열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교실) ;
  • 김태헌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교실) ;
  • 류영수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교실) ;
  • 강형원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교실)
  • Published : 2007.10.25

Abstract

The discovery of drugs on the treatment of mast cell-mediated allergic disease is a very important subject in human heath. The Socheongyoug-tang(SCYT) has been used for centruries as a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and is known to have an anti-inflammatory effect. However, its specific mechanism of action is still unknown. In this report,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hot water extract from SCYT on RBL-2H3 mast cell-mediated allergic reaction and studied its possible mechanism of action. SCYT inhibited compound 48/80-induced systemic anaphylaxis and serum histamine release in mice. SCYT decreased the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reaction activated by Anti-lgE antibody-HSA. SCYT dose-dependently reduced histamine release from mice peritoneal mast cells activated by Anti-lgE antibody-HSA. SCYT increased cAMP and decreased compound 48/80-induced intracellular $Ca^{2+}$ levels. Our findings provide evidence that SCYT inhibits mast-derived allergic reactions, and also demonstrate the involvement of cAMP and intracellular $Ca^{2+}$ in these effects.

Keywords

References

  1. 채병윤. 한방안이비인후과학. 집문당, 서울, pp 45-252, 321-326. 1989
  2. 타다 토미오 저, 황상익 역: 면역의 의미론. 서울, 한울, pp 145-148, 1998
  3. 이계희. 알레르기 질환에 관한 유병률 조사. 대구산업전문대학 논문집 11집, pp 95-105, 1997
  4. Metcalfe, D.D., Kaliner, M. and Donlon, M.A. The mast cell. Crit. Rev. Immunol. 3: 23, 1981
  5. Peterson, L.J., Mosbech, H. and Skov, P.S. Allergen-induced histamine release in intact human skin in vivo assessed by skin microdialysis technique: Characterization of factors influencing histamine releasability., J. Allergy Clin. Immunol. 97: 672-679, 1996 https://doi.org/10.1016/S0091-6749(96)70313-5
  6. Lagunof, D., Martin, T.W. and Read, G. Agents that release histamine from mast cells. Annu. Rev. Pharmacol. Toxicol. 23: 331-351, 1983 https://doi.org/10.1146/annurev.pa.23.040183.001555
  7. Alm, P.E. Modulation of mast cell cAMP levels. A regulatory function of calmodulin, Int. Arch. Allergy Appl. Immunol. 75: 375, 1984 https://doi.org/10.1159/000233650
  8. 강병수. 한방임상 알레르기, 성보사, pp 10, 19, 22-23, 189-210, 1988
  9. 박진구. 여택통기탕과 여택통기탕가미방의 항알레르기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석사), 2000
  10. 최은성, 채병윤. 신이산과 신이산 가미방의 항알레르기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동의학회지 3(1):31-47, 1999
  11. 이영규, 채병윤: 신이청폐음의 항알레르기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외관과학회지 13(2):165-181, 2000
  12. 양태규, 김윤범, 채병윤. 갈근탕과 가미갈근탕의 항알레르기 및 소염 해열 진통작용에 대한 실험적 연구. 대한외관과학회지 15(1):76-95, 2002
  13. 한희철. 천초산과 가미천초산의 항알레르기 효과 및 진통 해열작용에 대한 실험적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석사), 2000
  14. 김정진, 양성완, 손낙원, 안규석. 加味生料四物湯의 항염증 효과와 止痒膏의 아토피피부염 손상 및 止痒효과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7(3):428-435, 2003
  15. 은재순, 이동희, 전용근, 권영안, 권진. 가미청비음이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8(5):1391-1396, 2004
  16. 이태영, 강희, 명유진, 심범상, 최승훈, 김성훈, 안규석. The effect of Bojungigkitang-Chunbang on Activity of CD4+ Tcell.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8(2):580-585, 2004
  17. Suzuki, T., Takano, I., Nagai, F., Ushiyma, K., Okubo, T., Seto, T., Ikeda, S., Kano, I. Suppressive effects of Hochu-ekki-to,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on IgE production and histamine release in mice immunized with ovalubumin. Biol. Pharm. Bull. 22: 1180-1184, 1999 https://doi.org/10.1248/bpb.22.1180
  18. 盧炳圭, 辛民敎, 宋昊埈. 어성초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13(2):77-89, 1998
  19. 최옥범. 머위(Petasites Japonicum)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15(4):382-385, 2002
  20. 강희, 김윤범, 안규석. 황기의 알러지비염 동물실험에 대한 면역조절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9(3):612-617, 2005
  21. 권미화, 이진용, 김덕곤. 紫草가 항알러지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大韓韓醫學會誌 26(3):110-123, 2005
  22. 張仲景. 仲景全書. 서울, 대성문화사, pp 142-144, 1989
  23. 이상인, 김동걸, 이영종, 노승현, 주영승. 방제학. 서울, 영림사, pp 50-52, 1990
  24. 金基昌. 소청룡탕의 진통, 항경련 및 흰쥐의 폐손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 경희대학교 대학원(석사), 1984
  25. 안철, 채병윤, 소청룡탕의 효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외과과학회지 1(1):25-38, 1988
  26. 이준우, 정희재, 정승기, 이형구. 소청룡탕이 알레르기 천식 모델 흰쥐의 BALF내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 경희의학, 17(2):242-253, 2001
  27. 차은수. 소청룡탕이 Asthma model 내의 Cytokine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 대학원 학위논문(박사), 2000
  28. 정승기, 허태석, 황우석, 주창엽, 김영우, 정희재. 소청룡탕이 기관지천식 환자의 혈청 IL-4, IL-5, IFN-${\gamma}$변화에 미치는 영향. 大韓韓醫學會誌 23(2):70-77, 2002
  29. 정진용 外. 小靑龍湯과 小靑龍湯加沙蔘이 BEAS-2B 인간 기관지상피세포의 IL-6, IL-8 및 GM-CSF mRNA level에 미치는 영향. 大韓韓醫學會誌 24(1):74-83, 2003
  30. 강석균. 기관지천식에 사용되는 가미소청룡탕의 임상적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10: 138-144, 1989
  31. 송생엽, 심성용, 김경준. 소청룡탕이 알레르기 비염 유발 백서의 과립구 및 조직학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17(1):75-81, 2004
  32. Choi, O.H., Kim, J.h., kINET, j.p. Nature. 380: 634-636, 1996 https://doi.org/10.1038/380634a0
  33. Shore, P.A., Burkhalter, A. and Cohn, V.H. Jr. A method for the fluorometric assay of histamine in tissue. J Pharmacol. Exp. Ther. 127: 182, 1959
  34. Shin, T.Y., Won, J.H., Kim, H.M., Kim, S.H. Effect of Alpinia oxyphylla fruit extract on compound 48/80- induced anaphylactic reactions. Am J. Chin. Med. 29: 293-302, 2001 https://doi.org/10.1142/S0192415X01000319
  35. Kanemoto, T., Kasugai, T., Yamatodani, A., Ushio, H., Mochizuki, T. K., Kimura, M., Nishimura, M. Kitamura, Y. Supernormal histamine release and normal cytotoxic activity of beige rat mast cells with giant granules. Int. Arch. Allergy Immunol. 100: 99-106, 1993 https://doi.org/10.1159/000236395
  36. Peachell, P.T., Columbo, M., Kagey-Sobotka, A., Lichtenstein, L.M., Marone, G. Regulation of human basophil and lung mast cell function by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J. Immunol. 140: 571-578, 1988
  37. Kim, S.H., Choi, C.H., Kim, S.H., Eun, J.S., Shin, T.Y. anti-allergic effects of artemisia iwayomogi on mast cell-mediated allergic model. Exp. Biol. Med. 230: 82, 2005 https://doi.org/10.1177/153537020523000111
  38. 이기영. 알레르기의 진료. 서울, 한국의학사, pp 26-28, 41-53, 182-230, 268-340, 502-525, 1992
  39. 이문호 외. 내과학. 서울, 박애출판사, pp 1989-2059, 1977
  40. 문희범. 알레르기 질환의 임상과 실제, 서울, 여문각, pp 2-11, 170-185, 1995
  41. 허충림. 피부알레르기. 경희의학, 12(2):108-116, 1996
  42. 염석영. 임상알레르기학. 서울, 여문각, pp 10-19, 1984
  43. 임현호. 알레르기성 비염의 통계적 관찰.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27(3):247-253, 1984
  44. 백만기. 최신이비인후과학. 서울, 일조각, pp 192-195, 1999
  45. 채병윤. Allergy性 鼻炎(噴嚔)에 대한 臨床的 硏究. 대한한의학회지 3: 1, 1982
  46. 허준 著. 동의보감국역위원회 譯. 법인문화사, 서울, p 591, 1999
  47.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 교실. 의대생을 위한 피부과학. 고려의학, 서울, pp 32-37, 2001
  48. 김정희. 아토피피부염의 최신 지견.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과학회지 14(1):12-23, 2004
  49. 余無言. 傷寒論新議. 臺北, 文光圖書公司, pp 40-43, 1959
  50. 신민교 편저. 원색임상본초학. 남산당, p 175, 223, 241, 260, 512, 516, 618, 556, 1986
  51. 윤용갑 저. 동의방제와 처방해설. 의성당, pp 155-156, 1998
  52. Alfonso, A., Cabado, A.G., Vieytes, M.R. and Botana, L.M. Functional compartments in rat mast cells for cAMP and calcium on histamine release. Cell Signal. 12, 343, 2000 https://doi.org/10.1016/S0898-6568(00)00070-X
  53. Weston, M.C. and Peachell, P.T. Regulation of human mast cell and basophil function by cAMP. Gen. Pharmacol. p 31, 715, 1998
  54. 鄭義燮. 상백피가 흰쥐 복강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유리와 calcium uptake에 미치는 영향. 全北大 大學院(석사), 1992
  55. Alexander, N., Greiner M.D, Eli, O., Meltzer, M.D. Pharmacologic rationale for treating allergic and nonallergic rhinitis,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118(5):985-996, 2006 https://doi.org/10.1016/j.jaci.2006.06.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