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ive PPL Arrangements in the Screen of Multimedia Contents

멀티미디어 콘텐츠화면에서의 효과적인 PPL 배치

  • 이영재 (전주대학교 문화산업대학 멀티미디어)
  • Published : 2007.05.31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attention effects of PPL(product placement) in multimedia contents. PPL has been attracted attention in multimedia as well as marketing communication field as a beneficiary model. For the research, multimedia screen is divided into 9 sections and the serial 9 digit($1{\sim}9$) is assigned to the each part of the screen. The visual exposure forms of each 9 digit are composed by 2-dimension(2D) and 3-dimension(3D). And the visual exposure patterns of each 9 digit are consisted of stopping and moving image. As a result, the 5th quartering has been proved the most attracted attention regardless of all exposure forms including 2D/3D and slopping/moving image. This means center of the multimedia screen is the best place for PPL. Especially in one digit moving screen the attention of the digit has reached the climax. This suggests moving PPL is able to get more attention than stopping. These results provide the most effective PPL position in the screen of the multimedia and PPL's visual exposure forms for maximizing multimedia user's attention. Finally, these findings can be a guideline fer message arrangements of the multimedia screen.

최근 멀티미디어 분야에서 새로운 수익모델로 주목받고 있는 PPL(Product Placement)을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화면의 주목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컴퓨터 화면을 9사분면으로 분할한 후 각각의 위치에 2D, 3D 숫자 정지 영상, 숫자 부분 동영상, 동영상 등을 배치하여 영상의 유형과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주목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에 관해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2D 숫자 정지 영상과 동영상의 경우엔 5사분면에 높은 주목도를 나타냈으며, 3D 숫자 정지영상과 동영상의 경우 역시 일관성 있게 5사분면에 높은 주목도를 나타냈다. 특히 정지영상 내 동영상이 존재하는 부분 동영상의 경우엔 동영상이 존재하는 분면에 압도적인 주목도를 나타냈다. 이는 영상의 노출형태가 사용자의 주목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정지영상보다는 동영상 형태의 노출이 사용자의 주목효과(attention of effects)를 높일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화면에서의 PPL 제작 시 어떤 위치에 PPL을 배치해야 사용자의 주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재휘. 'TV 드라마에서의 제품배치(PPL) 광고 효과 측정' 광고연구. 64 . pp61-83. 2004
  2. Nelson, Michelle., 'Recall of Brand Placements Computer/Video Game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pp80-92, March/April., 2002
  3. Steortz, Eva. The Cost Efficiency and Communication Effects Associated with Brand Name Exposure within Motion Pictures. Master's Thesis, West Virginia University, 1987
  4. Baker, M. J. & Crawford, A. H. Product Placement. University of Strathclyde. Glasgow. Scotland. 1995
  5. 김충현, '제품배치와 프랜드배치의 효과와 문제점' 제일기획 사보. 3월호 pp10-15. 2003
  6. Balasubramanian, S. K., 'Beyond Advertising and Publicity. Hybrid Message & Publicity Policy Issues'. Journal of Advertising. vol.23, no4,pp29-46, 1994 https://doi.org/10.1080/00913367.1943.10673457
  7. Gupta, Pola B., Balasubramanian, Silva. K., & Micheal, L. Klassen, 'Viewer's Evaluations of Product Placement in Movies: Public Policy and Managerial Implication'. Journal of Current Issues and Research in Advertising. vol.22, no2, pp41-52, 2000
  8. 한국광고학회 2002. '방송에서의 제품삽입 및 간 접광고의 현황, 인식 및 기준에 대한 연구'. pp 16, 광고학회특별호
  9. 이동근, 'TV 시청자의 메시지 처리 과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언론학보. vol.42, no3, pp137-170, 1998
  10. 김완석. 광고심리학. 서울: 학지사. pp232,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