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ng Carrying Capacity of Lake Shihwa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수질관리를 위한 시화호의 환경용량 산정

  • 김형철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 최우정 (국립수산과학원 연구혁신본부) ;
  • 이원찬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팀) ;
  • 구준호 (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 ;
  • 이필용 (국립수산과학원 연구혁신본부) ;
  • 박성은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팀) ;
  • 홍석진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팀) ;
  • 장주형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팀)
  • Published : 2007.05.30

Abstract

The mechanism of water pollution in Lake Shihwa, one of highly eutrophicated artificial lakes in Korea, has been studied using a numerical 3D physical-biochemical coupled model. In this study, the model was applied to estimate the contribution of land-based pollutant load to water quality of heavily polluted Lake Shihwa. The chemical oxygen demand(COD) was adopted as an index of the lake water quality,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an average COD concentration during the summer from 1999 to 2000 was simulated by the model. The simulated COD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data. According to reproducibility of COD, the high-est levels between 8 and 9 mg/L were shown at the inner site of the lake with inflow of many rivers and ditches, while the lowest was found to be about 5 mg/L at the southwestern site near to dike gate. In the pre-diction of water quality of Lake Shihwa, COD showed still higher levels than 3 mg/L in case of reduction of 95% for land-based pollutant load. This suggests that the curtailment of land-based pollutant load is not only sufficient but the improvement of sediment quality or the increase of seawater exchange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to improve a water quality in Lake Shihwa.

본 연구는 생태계 모델을 이용하여 수질오염이 심각한 시화호의 수질을 재현하고, 시화호 내로 유입하는 육상기원 오염부하량의 변동에 따른 시화호의 수질변화를 살펴보았다. 모델에 의해 계산된 화학적 산소요구량 결과는 관측치와의 상관성이 양호하였으며, 하천이 밀집한 호의 내측 수역에서 $8{\sim}9mg/L$의 높은 농도분포를 나타내었고, 방조제 수문이 위치한 남서쪽 수역에서 5 mg/L 내외의 가장 낮은 농도분포 특성을 보였다. 시화호로 유입하는 육상오염부하가 시화호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는데, 육상오염부하량을 95% 삭감시켜도 시화호의 화학적산소요구량 농도는 3 mg/L 내외로 계산되었으며, 이것은 해역생활환경 II등급 기준인 2mg/L를 초과하는 것으로써 육상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부하의 삭감만으로는 수질개선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한편, 퇴적물을 인위적으로 개선하여 퇴적물로부터 인과 질소의 용출량과 저층 산소소비율을 삭감시켰을 경우에 시화호 수질의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육상으로부터 유입하는 유기물 및 영양염류 부하와 퇴적물에 의한 영양염류 용출부하 및 산소소비율을 동시에 삭감하였을 경우에 시화호 내 대부분의 수역에서 $1.5{\sim}2.0mg/L$ 이내로 수질이 크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화호는 육상기원 오염부하량을 상당량 삭감하여도 목표수질 기준을 만족하기가 상당히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었고, 퇴적물을 인위적으로 개선시키면 보다 뚜렷한 수질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화호 내측과 외측수역과의 해수 교환량이 적고 퇴적물의 오염이 심한 현 상태의 환경조건에서 해역생활환경 III등급 기준인 4 mg/L 이하를 달성하기 위한 시화호의 환경용량은 화학적산소요구량 기준으로 5 톤/일로 산정되었다. 향후 시화호의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시화호를 포함한 유역별로 뚜렷한 개선목표를 설정하고 배출원별 할당부하량을 산정하여 오염물질 총량관리를 통해 시화호 주변 유역의 점원, 비점원 및 시화호 내퇴적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관리해 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수자원공사, 1996, 시화호 수질개선 종합관리대책 기본계획 보고서(요약), 130pp
  2. 허성회, 오임상, 1997, 인공호수 시화호와 주변 해역의 생태계 연구: 서문, 한국해양학회지(바다), 2, 49-52
  3. 한국해양연구원, 1998, 시화호의 환경변화조사 및 보전대책 수립에 관한 연구(2차연도), BSPE 97610-00-1035-4, 230pp
  4. 해양수산부, 2000, 시화호 특별관리해역 제l차 지역포럼 자료집, 176pp
  5. 平野敏行, 1992, 環境からの漸念. 漁場環境容量, 水産學シリーズ, 87, 桓星j社厚生閒, 東京, pp. 9-19
  6. Carver C. E. A, Mallet A. L., 1990, Estimating the carrying capacity of a coastal inlet for mussel culture, Aquaculture, 88, 39-53 https://doi.org/10.1016/0044-8486(90)90317-G
  7. 조은일, 박청길, 이석모, 1996, 가막만의 환경용량산정(II)-굴양식장 환경용량 산정, 한국수산학회지 , 29(5), 709-715
  8. 박종수, 김형철, 최우정, 이원찬, 박청길, 2002a, 굴 양식수역의 환경용량 산정 I. 생태계 모델 을 이용한 거제 . 한산만 굴 먹이 공급량 추정, 한국수산학회지, 35(4), 395-407
  9. 박종수, 김형철, 최우정, 이원찬, 김동명, 구준호, 박청길, 2002b, 굴 양식수역의 환경용량 산정 II. 거제 • 한산만의 환경용량, 한국수산학회지, 35(4), 408-416
  10. Bacher C., Duarte P., Ferreira J. G., Heral M., Raillard O., 1998, Assessment and comparison of the Marennes-Oleron Bay (France) and Carlingford Lough Oreland) carrying capacity with ecosystem models, Aquat, Ecol., 31, 379-394
  11. Campbell D. E., Newell C. R., 1998, MUSMOD$^{\circledc}$, a production model for bottom culture of the blue mussel, Mytilus edulis L., J. Exp. Mar.Biol.Ecol.,219,171-203 https://doi.org/10.1016/S0022-0981(97)00180-9
  12. 이원찬, 김형철, 최우정, 이필용, 구준호, 박청길, 2002, 패류양식해역 환경용량 산정 모델 구축 I. 모델 검정 및 민감도 분석, 한국수산학회지, 35(4), 386-394
  13. 최우정, 박청길, 이석모, 1994, 진해만의 빈산소 수괴 형성에 관한 수치실험, 한국수산학회지, 27(4), 413-433
  14. 김광수, 김동명, 박청길, 1999, 3차원 해수유동모델을 이용한 황해 환경용량의 개략산정,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2(1), 53-73
  15. Kishi M. J., Iwata Y., Uchiyama M., 1991, Numerical simulation model for quantitative management of rnariculture, Mar. Pollut. Bull., 23, 765-767 https://doi.org/10.1016/0025-326X(91)90777-P
  16. Cerco C. F., Cole T., 1993, Three-dimensional eutrophication model of Chesapeake Bay, J. Envir. Eng., 119(6), 1006-1025 https://doi.org/10.1061/(ASCE)0733-9372(1993)119:6(1006)
  17. Taguchi K., Nakata K., 1998, Analysis of water quality in Hamana using a coupled physical and biochemical model, J. Mar. Syst., 16,107-132 https://doi.org/10.1016/S0924-7963(97)00102-4
  18. 한국수자원공사, 농어촌진흥공사, 1995, 시화지 구답수호 수질보전 대책수립 수립 조사보고서, 102-165
  19. 정회수, 최강원, 김동선, 김채수, 1997, 한국 서해안 시화호의 오염현황과 환경개선방안, 환경 정책연구, 12, 123-163
  20. 최정훈, 김계영, 홍대벽, 2000, 배수갑문 운용에 따른 시화호의 수온과 염분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21(5), 541-552
  21. 최정훈, 김미옥, 2001, 시화호 배수갑문 운용에 따른 용존산소와 pH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22(3), 195-207
  22. 김종구, 김준우, 조은일, 2002, 시화호의 배수갑 문 운용에 따른 수질변화, 한국환경과학회지, 11 (12), 1205-1215
  23. Nakata K., Taguchi K., 1982, Numerical simulation of eutrophication process coastal bay by eco-hydrodynamic model. (2) Ecological modeling, Bull. Nat. Res. lnst. of Pollution and Resources, 12(3), 17-36
  24. 한국수자원공사, 1998. 시화호 수질관리대책수립 연구
  25. 환경부, http://ww.me.go.kr 한강외수계 호소 수질현황(1999-2000)
  26. 해양수산부, 2001, 환경관리해역 시범해역관리 시행계획 수립연구, 269pp

Cited by

  1.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Agriculture Reservoir vol.35, pp.5, 2009, https://doi.org/10.5668/JEHS.2009.35.5.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