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ycle Possibility of the Stone-Dust in Quarry as Subbase Layer Materials of the Road

도로 보조기층재로서 채석장 석분토의 재활용가능성 분석

  • Kim, Kyeong-Su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Song, Young-Suk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김경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송영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An ore of stone obtained from quarry lose its about 60% such as the muck and the stone-dust during the process of making the architectural block, the crushed aggregate and so on. A part of the muck is only reutilized for the crushed aggregate as road pavement materials, while the most of the muck in the shape of powder is mixed with water and then it is deposited in a sludge tank. The muck in the shape of powder is called the stone-dust. If the stone-dust is discharged and sprayed, an ecosystem will have terrible damage because the seepage of surface water, the flow of ground water and the movement of air are not occurred smoothly by packing the void of soils. As the Waste Management Law (2003) in Korea, the stone-dust is sorted out the industrial waste and the most of that is dumped in ground. Therefore, the establishments of an efficient recycling plan are necessary through the improvement of engineering properties of the stone-dust.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recycle and improvement for the stone-dust, the stone-dust and natural soils are sampled from six quarries in Korea. The various soil tests are performed by use of the mixed soils with the stone-dust content ratio. As the result of various soil tests, the recycle possibility of the stone-dust is analyzed as subbase layer materials of the roads.

채석장으로부터 원석을 채취하여 건축석재 및 쇄석골재 등으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원석의 약 60% 정도가 폐석이나 석분토로 손실되고 있다. 이 중에서 폐석의 일부만이 도로포장용 쇄석골재로 활용되고 있을 뿐 대부분의 석분토는 석재의 가공이나 파쇄공정에서 분말형태로 물에 혼입되어 슬러지탱크에 침전되게 된다. 이러한 석분토가 방류되거나 살포되면 지표나 지중의 공극들이 메워져 지표수의 지중침투, 지하수의 흐름, 공기의 소통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현행 우리나라 폐기물관리법(2003)에 따르면 석분토가 사업장 내에서 발생되는 산업폐기물로 분류되고 있어 대부분을 지중에 매설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석분토의 물성 및 공학특성을 개량하여 효율적 재활용방안의 수립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채석장에서 발생되는 석분토의 개량 및 재활용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6개 채석장으로부터 시험용 석분토 및 원지반토를 채취한 후, 이를 일정한 비율의 배합비로 제작한 혼합토를 대상으로 여러 토질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를 토대로 도로용 재료로서 석분토의 개량 및 재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남정만, 윤중만, 김기영, 김광일, 2005, 현무암 석분슬러지를 이용한 차수재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한국폐기물학회지, 22(5), 464-471
  2. 마상준, 김동민, 안상철, 이상욱, 2004, 실내실험을 통한 지하공동 충전재 개발에 관한 연구 -석분토를 주재료 로 활용한 실험-, 한국폐기물학회지, 22(1), 67-78
  3. 서영찬, 박광현, 남영국, 이성희, 1995, 석분 Screenings 기층의 아스팔트포장 상대강도계수 결정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15(5), 1233-1239
  4. 이평구, 염승준, 홍세선, 김경수, 윤현수, 음철헌, 신성천, 김 원영, 박성원, 강민주, 연규훈, 이욱종, 2006, 석분토의 특성 및 활용방안을 위한 연구, 한국골재협회, 391p
  5. 한국도로공사, 1996, 도로설계실무편람; 토질 및 기초, 255p
  6. 한국도로공사, 2002, 도로설계요령, 542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