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phological Studies on the Digestive Tracts of the Larvae and Juveniles of th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자치어의 소화기관 형태 발달

  • Han, Kyeong-Ho (Aquaculture Program, College of Fisheries and Ocean Scien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Kwan-Seok (Aquaculture Program, College of Fisheries and Ocean Scien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Sung-Hoon (Aquaculture Program, College of Fisheries and Ocean Scien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한경호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 ;
  • 김관석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 ;
  • 이성훈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Morphological changes on digestive tract were observed using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o elucidate the early developmental processes. Hatched larvae, ($2.50{\pm}0.14\;mm$ in total length: TL) has not opened its mouth and anus. The digestive tract showed linear tubular form from mouth to anus extending along with yolk. On $7{\sim}8$ days from hatching, the post-larvae, ($5.05{\pm}0.40\;mm$ TL) has developed digestive tract and activated for feeding. The digestive tract expanded into dorsal side, joined to intestine, and the stomach began to develop. The digestive tract was divided into an anterior and posterior region, and began to differentiate. In the post-larvae($6.50{\pm}0.25\;mm$ TL) on $13{\sim}14$ days from hatching, the digestive tract twisted one cycle in the anterior region, the area was expanded. The digestive tract was completely differentiated into oesophagus, anterior intestine, middle intestine, posterior intestine and arranges fundamental structure. In the embryo($12.40{\pm}0.55\;mm$ TL) after 30 days from hatching, stomach became large and could be distinguished from cardia and pyloric parts apparently. The digestive tract developed similar with that of adult flounder showing clear division of stomach, anterior intestine, middle intestine, posterior intestine and rectum. In the embryo($16.15{\pm}0.85\;mm$ TL) after 40 days from hatching, esophagus, pyloric part, anterior intestine, middle intestine, and rectum have largely expanded, and thus the morphological features are somewhot different with those of post-larvae flounder.

넙치 자치어의 초기 발육단계에 따른 소화관의 형태 발달과정을 관찰한 결과, 부화 직후의 전기 자어는 평균전장 $25.0{\pm}0.14\;mm$(n=20)로 입과 항문이 아직 열려 있지 않았고, 소화관은 배체와 난황 사이에 원시 소화관의 형태로 거의 직선상으로 식도에서 항문이 생길 부분까지 길게 신장되어 있는 형태였다. 부화 후 $7{\sim}8$일째 후기 자어는 평균 전장 $5.05{\pm}0.40\;mm$(n=20)로 소화관이 발달하여 먹이의 섭취활동이 활발하였으며, 소화관은 배쪽으로 팽창하여 장과 연결되어 위가 발달하기 시작하였고, 소화관의 전반부와 후반부가 구별되어 소화기관이 분화하기 시작하였다. 부화 후 $13{\sim}14$일째 후기 자어는 전장이 $6.50{\pm}0.25\;mm$(n=20)였고, 소화관은 앞부분에서부터 1회전되어 회전부분의 면적이 넓어져 있었으며, 소화관이 식도, 전장, 중장, 후장으로 완전히 분화되면서 소화관의 기본적인 구조가 확립되었다. 부화 후 30일째 개체는 전장 $12.40{\pm}0.55\;mm$(n=20)로 위는 비대하여 분문부와 유문부가 뚜렷하게 구별되었고, 소화관은 위, 전장, 중장, 후장 및 직장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치어기로 이행하여 성어와 유사한 구조로 발달하였다. 부화 후 40일째 치어는 전장이 $16.15{\pm}0.85\;mm$(n=20)로 소화관 형태는 식도부, 유문부, 장의 전장, 중장, 직장이 크게 팽창되어 상대적으로 후기 자어의 소화관 형태와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