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ng Term Impact of Laparoscopic Assisted Distal Gastrectomy on Quality of Life

복강경 보조 원위 위 절제 환자의 장기적인 '삶의 질' 평가

  • Kim, Dong-Won (Department of Surgery Soonchunhy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Yong-Jin (Department of Surgery Soonchunhy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Min-Ju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Nursing) ;
  • Cho, Kyu-Seok (Department of Surgery Soonchunhy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Hyeong-Su (Department of Surgery Soonchunhy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Mun-Su (Department of Surgery Soonchunhy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Jae-Jun (Department of Surgery Soonchunhy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Min-Hyeok (Department of Surgery Soonchunhy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Mun, Cheol (Department of Surgery Soonchunhy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김동원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용진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민주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간호부) ;
  • 조규석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형수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이문수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재준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이민혁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문철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Purpose: 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y (LADG) is gaining wider acceptance for the treatment of early gastric cancer. However, firm evidence supporting the long-term outcome after LADG for gastric cancer is unknown. This study compared long-term quality of life after LADG versus an open distal gastrectomy (ODG) for early gastric cancer.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9 patients who underwent LADG and 57 patients who underwent ODG for the treatment of stage I gastric cancer. Quality of life was evaluated based on the Korean version of EORTC QLQ-C30 (version 3.0) and EORTC QLQ-STO22 one year after surgery. All patients underwent a Billroth II gastrectomy for stage I gastric cancer between January 2003 and December 2004. Results: A total of 86 (58%) out of 154 pati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Demographic feature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f patients for age, sex, depth of invasion, lymph node metastasis except for tumor size and the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The mean score for global health status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LADG, $60.3{\pm}20.4$ vs ODG, $57{\pm}20.6$; P=0.413). The total score of 21 items related to stomach cancer (EORTC QLQ-STO22) also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LADG, $68.9{\pm}64.9$ vs ODG, $94.5{\pm}97.3$; P=0.340).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Korean version of EORTC QLQ-C 30 (version 3.0) and EORTC. QLQ-STO22, LADG does not seem to have any long-term benefit over ODG on 'quality of life'.

목적: 조기위암 수술에 복강경 적용의 용이성 및 종양학적 안정성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아루어지고 있으나, 복 강경 적용의 또 다른 목적인 '삶와 질' 향상에 대한 연구 는 아직 미흡한 현실이다. 이에 저자들은 위암 수술에 복강경 적용이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을 평가 하고자 본 연구를 고안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만 2년간 순천향대학병원 외과에서 위 절제 수술 후 위암 1기로 진단된 15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후 1년 이상 경과한 시점에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EORTC OLQ-C30(3판)과 EORTC QLQ-ST022 한글판을 이용하여 한 명의 전문 간호사에 의해 외래 방문 시 직접 면담 혹은 전화 상담을 통해 설문조사를 시행했으며, 통계처리는 SPSS 12.0 for Windows를 이용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 환자 154명 중 86명에서 설문 조사가 이루어져 58%의 응답률을 보였으며, 86명(개복군: 57명, 복강경군: 29명)의 평균 연령은 55세였고, 남자가 60명 여자가 26명으로 남녀 비는 2.3 : 1 이었다. 개복 군의 종양 크기는 평균 2.42 cm로 복강경군의 평균 종양 크기 1.8 cm에 비해 유의하게 크기가 컸으며(P=0.003), 평균 획득 림프절 수도 개복 군에서 36개로 유의하게 더 많았다(P=0.000). 그 외 종양관련 인자인 원발암와 침윤도, 림프절 전이 및 TNM 병기에 있어서 양 군 간에 차이는 없었다.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관련된 2 항목의 평균 점수는 개복 군이 57 (${\pm}20.6$), 복강경 군이 60.3 (${\pm}20.4$)으로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기능과 관련된 15 항목과 증상과 관련된 13항목에 있어서도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EORTC QLQ-STO22를 이용한 '삶의 질' 비교 결과 개복군의 평균 점수는 94.5 (${\pm}97.3$), 복강경군은 68.9 (${\pm}64.9$)로 개복군에서 전반적으로 불편한 증상을 많이 호소하였으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론: EORTC QLQ-C30 (3판)과 EORTC QLQ-STO22 한글판을 이용한 설문조사 결과 장기적인 측면에서 위 절제술에 복 강경 적용이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