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Use of Wintering Habitats of Water Birds Arriving at Coastal Wetlands in Jeollanam Province, Korea

전라남도 연안습지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월동지 이용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population of water birds wintering at the seven coastal wetlands of Jeollanam province including Suncheon Bay and Yeongsan Lake, from 2000 through 2003. The 90 species and 857,570 individuals in total were sighted at the seven survey sites. We classified the wintering water birds into seventeen groups of taxa based on the similar ecological attributes, among which, eight groups were found to inhabit the water surface or riparian areas. Classified groups that showed higher rate of using bay areas than that of lake areas were in the order of waders, gulls and swans. On the other hand, the groups that showed higher rate of using lake areas than that of using bay areas were revealed in the order of dabbling ducks, grebes and geese. In conclus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attern between the two classified groups. As a result of the UPGMA cluster analysis using CCs ($S{\varnothing}rensen'a$ index of similarity and Ro (Horn's index of community overlap), the results showed that Suncheon Bay had the most unique species formation out of the seven areas. Bay and lake area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formation of species and Individuals. As a result of combining the index rank according to the maximum aggregate count, the Suncheon Bay is ranked the highest in importance of the habitats for water birds, followed by the order of Boseong-Deukryang Bay, Gangjin Bay, Gocehongam Lake, Geumho Lake, Yeomam Lake, and Yeongsan Lake. Considered overall, the importance of the bay area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reclaimed lake areas.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3년까지 주요 철새도래지로 알려진 전남해안에 위치하는 연안 습지 7개 지역에 월동하는 수조류를 조사하였다. 관찰된 수조류는 총 90종 857,570개체였으며, 유사한 생태적 특징을 가지는 분류군별로 나누어 볼 때 총 17개 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이 중에서 주로 수면이나 수변에 서식하는 수조류는 8개 분류군이었다. 만 지역과 호수 지역 중 만 지역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은 분류군은 도요류, 갈매기류, 고니류의 순이었다. 호수 지역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은 분류군은 수면성오리류, 논병아리류, 기러기류의 순이었다. 결과적으로 만과 호수지역을 이용하는 분류군의 유형에 차이가 있었다. 종 구성을 통한 유사도지수 CCs와 종과 개체수를 고려한 유사도지수 Ro를 이용하여 UPGMA군집분석을 한 결과 7개 지역 중 가장 독특한 종의 구성을 가지는 지역은 순천만 지역이었으며, 만 지역과 호수 지역이 서로 다른 종과 개체수 구성을 가졌다. 최대합계수에 의한 지수의 순위를 종합하여 지역의 중요성을 평가한 결과 순천만이 1위로 가장 중요도가 높았다. 다음으로 보성-득량만, 강진만, 고천암호, 영암호와 금호호, 영산호 순으로 중요도가 낮게 평가되었다. 전체적으로 만 지역이 간척호수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영,조삼래(1996) 가창오리 Anas formosa의 월동생태 및 월동지에서의 환경수용력에 관한 연구. 한국조류학회지 3(1): 33-41
  2. 김성현, 이두표, 김양래, 서한수, 이신우(2005) 한국미기록 지바귀科(Turdidae) 1종에 관한 보고. 한국조류학회 춘계학술발표 초록집, 37-38
  3. 김인규,이한수,백운기,이준우,최영복(2005) 강진만에 월 동하는 수조류 군집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3): 305-311
  4. 농어촌진흥공사(1996) 한국의 간척. 대성인쇄공사. 316쪽
  5. 문화재청(2001) 천연기념물명승 보존관리. 금강인쇄사,대전. 95쪽
  6. 문화재청(2005) 문화재청 고시,제2005-14호
  7. 박진영, 정옥식, 이진원(1995) 한국에서 물꿩(Hydrophasianus chirurgus)과 긴꼬리때까치(Lanius schach)의 첫 관찰. 한국조류학회지 2(1): 77-79
  8. 원병오(1993) 한국의 조류. 교학사,서울. 447쪽
  9. 유재평,함규황(1994) 최근5년간주남저수지의 조류분포 연구. 한국조류학회지 1(1): 95-103
  10. 이기섭(2000) 한국의 서해안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실태와 개체수 변동.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1쪽
  11. 이우신,구태회, 박진영(2000)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LG 상록재단,서울. 320쪽
  12. 철원군(2002) 철새보존계획 및 지속가능한 개발 전략 수립 연구 I- 조류 현황과 보존 방안- 221쪽
  13. 최영복,정숙희(1995) 중부이남 남해안에 도래하는 섭금류 에 관한현황-전라북도 광할지역의 갯벌을중심으로 -. 한국조류학회지 2(1): 57-73
  14. 한국수자원공사(2005) 시화호 생태네트워크 구축방안 연구. 264쪽
  15. 홍재상(1999) 한국의 갯벌. 빛깔 있는 책들,대원사,서울,143쪽
  16. 환경부(2005)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화보집. 서울. 247쪽
  17. Alisauskas, R. T., C. D. Ankney and E. E. Klaas(1988) Winter Diets and Nutrition of Midcontinental Lesser Snow Geese. J. Wildl, Manage 52: 414-430
  18. Austin, O.L. (1948) The Birds of Korea. Bull. Mus. Compo Zool, Harvard Coll. 101(1): 1-301
  19. Brower, J., J. Zar & C. von Ende(1990)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3rd ed), Wm. C. Brown Publishers, Dubuque, 237pp
  20. Clements, J,F, (1991) Birds of the World: A Check List. Ibis Publishing Company
  21. del Hoyo, J., A. Elliot and J. Sargatal(1992)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 1. Ostrich to Ducks, Lynx Edicions, Barcelona. 696pp
  22. Harrison, P, (1983) Seabirds. An Identification guide. Croom Helm ltd and A.H. & A.W. Reed ltd, London
  23. Hayman, P,. J. Marchant & T. Prater(1986) Shorebirds. An Identification Guide to the Waders of the World, Croom Helm. UK
  24. Howard, R. and A. Moore(1998) A Complete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2nd ed), Academic Press, London
  25. Howes, J. and D. Bakewell(1989) Shorebird Studies Manual AWE Publication No. 55, Kuala Lumpur, 362pp
  26. Krull, J. N. (1970) Aquatic Plant-Marcroinvertebrate Associations and Waterfowl. J. Wildl, Manage 34(4): 707-718 https://doi.org/10.2307/3799135
  27. Reise, K. (1985) Tidal Flat Ecology. An Experimental Approach to Species Interactions. Springer-Verlag, Berlin, 191pp
  28. Treweek, J.p. and P, Benstead(1997) The Wet Grassland Guide Managing Floodplain and Coastal wet Grassland for Wildlife. Royal Society for the Protection of Birds, Bedforshine, 252pp
  29. Won, P, O. (1996) Checklist of The Birds of Korea. The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5(1): 39-58
  30. Zar, J.H.(1999) Biostatistical Analysis(3rd ed), Prentice Hall International, INC, 663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