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rogram for Buffer Greens at Sinhyeon-Eup, Geoje-Si

거제시 신현읍 완충녹지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 SaGong, Young-B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Jinju National Univ.) ;
  • Lee, Soo-D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Jinju National Univ.)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imed at identifying the planting condition of greenbelt axis covering forests located at Sinhyeon-eup, Geoje-si and also establishing improvement plans for the ecological organization. The study was executed with buffer green space designed to mitigate noise, which is located at a halfway point linking Mt. Yukkyo(altitude of 50m) and Mt. Jungmae(altitude of 131m). The number of the biotope patterns was classified into 17 in total: the two are urbanized districts such as a townified district and streets and another 15 are greenbelts and open space such as forest biotope, inland water biotope, and landscaping tree plantations biotop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biotope types, it was estimated that the making use of already established buffer greens as a linking medium with a foothold of Mt. Yukkyo and Jungmae, whose natural eco-system is well suited for habitation of living organism, is the one and only way to the influx of living organism into the downtown area. The green coverage rate of the base green area, sub-base green area and linkage green area was 160.29%, 128.37% and 44.37% respectively; the green capacity coefficient(i.e. GVZ[$Gr{\ddot{u}}nvolumezahl$]) for base green area, sub-base green area and linkage green area was $4.04m^3/m^2,\;3.95m^3/m^2\;and\;0.65m^3/m^2$ respectively. The base green area has constituted multi-layered vegetation structure and thus played a role as habitats for living organism and supply centre of species, whereas the sub-base green area has destroyed lower layer vegetation, and the linkage green area was in bad shape due to the lack of planting volume and damage of the shrub layer. Accordingly, this research paper intended to suggest detailed implementation plans for the improvement in landscape for city dwellers' use and relaxation; in other words, this paper focused on ecological build-up for the Influx of wild birds into the downtown area for the promotion of bio-diversity of species through the linkage of base green areas and the fostering of nature observing trails for citizens as well as the connecting of green areas through the build-up of roadside greens to make these green areas to be efficiently used as corridors for the influx of wild birds and bio-organism habitation and for citizens' using space.

본 연구는 거제시 신현읍의 산림을 연결하는 녹지축의 식재현황을 파악하고 생태적 구조개선방안을 수립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소음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완충녹지로 육교산(50m)과 중매산(131m)을 잇는 중간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비오톱 유형은 시가화지역, 도로 등 도시화지역 2개, 산림비오톱, 하천비오톱, 조경수목식재지 비오톱 등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지역 15개로 총 17개로 분류되었다. 비오톱 유형분석자료를 바탕으로 자연생태계가 양호하여 생물서식이 가능한 육교산과 중매산을 거점녹지로, 기조성된 완충녹지를 연결녹지로 활용하는 것이 생물을 도심내로 유입하는 유일한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거점녹지, 준거점녹지, 연결녹지의 녹피율은 각각 160.29%, 128.37%, 44.37%. 녹지용적계수는 $4.04m^3/m^2,\;3.95m^3/m^2,\;0.65m^3/m^2$로 거점녹지는 층위구조가 형성되어 생물서식처 및 종공급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준거점녹지는 하층식생이 훼손되었고, 연결녹지는 관목층의 식재량 부족 및 훼손으로 불량하였다. 결국, 도심내로의 야생조류유입 및 생물서식을 위한 통로 역할과 시민들의 이용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거점녹지의 연결을 통한 생물종다양성 증진 및 시민의 이용을 위한 자연관찰로를 조성하고자 도심내 야생조류 유입을 위한 생태적 조성 가로녹지 조성을 통한 녹지 연결, 도시민의 이용 및 휴양을 위한 경관개선에 대한 세부실천계획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경,이수통,한봉호(2006) 당진화력발전소 녹지공간의 식재현황 및 생태적 특성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3(6): 78-89
  2. 거제시(2006) 2006 시정백서 거제시,(주)정문애드태크
  3. 건설교통부(2005) 건설교통통계연보. (주)휘문인쇄,710쪽
  4. 권전오(1997) 중부지방 자연식생분석을 통한 생태적 배식모델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권전오(2003) 환경친화적 택지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환경생태평가기법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1쪽
  6. 권전오,이경재,장상항(2004) 인천해안지역의 식물군집구 조 분석을 통한 해안림 식재모델 연구(I) -곰솔림과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1(6): 53-63
  7. 기상청(2001) 한국기후표
  8. 김계훈,윤주용,류순호(1995) 한국 토양중 Cs-137과 K-40 의 분포.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8(1): 33-40
  9. 김귀곤(1993)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 ESSD) 의 달성을 위한 환경영향평가(EIA). 환경정책 1(1): 35-50
  10. 김도균,장병분,김용식(2000) 임해매립지의 토양환경이 곰솔과 느티나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28(4): 9-20
  11. 김종엽(1999) 자연식생구조를 고려한 완충녹지 배식 모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99쪽
  12. 김준호(1997) 도시생태계의 정의와 범위. 환경생태학회지 11(2): 217-223
  13. 김현수,이승언,강개식,변혜선(1998) Green Town 개발사업 III.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2쪽
  14.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2000)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202쪽
  15. 서울특별시(2000) 도시생태 개념의 도시계획에의 적용을 위한 서울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지침 수립-1 차년도연구보고서
  16. 서주환,雨宮悠,김상범(1997) 녹지공간별 토양경도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4(4): 74-84
  17. 손부순,이용성,이장훈,이춘식,이태관,이한섭,조용진,최한영(2005) 환경영향평가. 동화기술,281쪽
  18. 오구균,최송현(1993) 난온대 상록수림지역의 식생구조와 천이계열. 한국생태학회지 16(4): 459-476
  19. 이경재,한봉호,조우(1997) 생육환경특성을 고려한 아파트 단지내 조경수목 및 적정 성토높이-상계동 쓰레기매립지를 중심으로. 환경생태학회지 11(2): 137-148
  20. 이소정,김민수(1997) 토양의 입도조성이 토양양의 물리성 및 목본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25(2): 54-61
  21. 이수동(2005) 야생조류 이동을 위한 산지형 도시녹지의 연결성 평가 및 연결기법 연구-서울시를 대상으로 서울 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58쪽
  22. 임경빈(1985) 조림학원론. 향문사,서울,491쪽
  23. 최진우(2004) 독지축의 야생조류 이동과 서식처 기능강화 방안.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129쪽
  24. 환경부(1995) 전국 그린네트워크화 구상 - 사람과 생물이 어우러지는 자연만들기, 203쪽
  25. 환경처(1990) '90자연생태계 전국조사(II-3)-제 5차년도 (경남의 식생),343-385쪽
  26. 特殊緑花公同研究會(1996) NEO-GREEN SPACE DESIGN 2一新.緑空間デザイン技術マニユル一, (財)都市緑 化技術開設機構 特殊緑花公同研究會, 237pp
  27. Sukopp,H,and S,Weiler(1986) Biotopkartierung im besiedelten bereich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Landschaft +stadt 18(1): 25-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