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ty of Life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대학생의 삶의 질과 관련 요인

  • Lee, Young-Mee (Dep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이영미 (강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behavior, obesity and QOL,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QOL of University Students in rural area,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health promoting program in order to improve the QOL.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91 university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AS. Results: In the degree of the obesity were 13.4% of the underweight group, 48.9% of the normal weight group, and 37.6% of the overweight group. The average item score for the QOL was 3.19; the highest score on the subscale was physical domains(M=3.25) with the lowest environmental domains. In the degree of health behavior performance were 15.3% of regular health check, 27.5% of exercise, 45.1% of no-smoking, 32.4% of no-drinking alcohol, 53.1% of sleeping 7-hour, 49.7% of weight care, 56.1% of stress management, and 44.4% of breakfast. The score of QO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occupation of father, the number of brothers, total income, level of life, perceived health status, and admission of hospital. The score of QOL correlated positively with health behavior(r=.2521, p<.0001), and the scores of health behavior correlated positively with obesity(r=.0915, p=.0039).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QOL revealed tha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was level of life. Stress management, perceived health status, sleeping 7-hour, regular health check, admission of hospital, total income, and weight care explained 13.2% of the variance. Conclus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health behavior promotion program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university students. Future studies need to be pursued to find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for QOL of university students.

Keywords

References

  1. 강윤주 외 5명. 비만아동 및 청소년의 체중조절 경험과 비만관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방의학회지 1998;31(2):199-214
  2. 강재헌, 김남순. 한국의 비만 추이. 대한비만학회 2002;11(4):329-334
  3. 김미경. 건강증진행위수준과 삶의 질 간의 관련성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보건 대학원, 2001
  4. 김보경, 정문숙, 한창현.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와 관련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2;19(1):59-85
  5. 김옥수. 여대생들의 비만도, 신체에 대한 태도 및 식이 조절에 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2002;14(2):256-264
  6. 김은애.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과의 관계 연구[석사학위논문], 서 울: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9
  7. 김일원, 최미경, 한상숙. 피드백을 활용한 비만예방 교육이 청소년의 지식과 행위에 미치는 효과.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006;23(2):47-61
  8. 김정희, 김현미, 송미령. 일개대학의 건강검진 결과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0;14(2):260-270
  9. 김종환, 박태순, 고희정. 비만의 지표로서 다양한 허리둘레 측정기준에 따른 유용성 비교. 가정의학회지 2001;4:548-555
  10. 검학순. 남녀고둥학생의 건강에 대한 연구-일부청소년들의 건강상태와 건강행위를 중심으로.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993;6(2):89-100
  11. 김현숙. 청소년의 건강행위와 비행의 영향요인에 관한 모형구축[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보건대학원, 1998
  12. 대한비만학회. 임상비만학. 서울: 고려의학, 2001
  13. 대한비만학회. http://www.kosso.or.kr/, 2004
  14. 문경래, 박영봉. 광주시내 초등학교 아동의 비만도 조사. 소아과 1993; 36(1): 81-87
  15. 문선영, 김신정, 김숙영. 비만 여고생의 건강통제위 성격과 섭식행동. 대한 간호학회지 2001;31(1) :43-51
  16.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 -BREF)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2000;39(3):571-577
  17. 박은준. 대학생의 인터넷 건강정보 이용과 건강행위와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8. 박정숙, 박청자, 권영숙. 건강교육이 대학생의 건강 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1966;26(2):345-358
  19. 박진영. 한국 의대생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20. 보건복지부.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2006)
  21. 백경신, 최연희. 여대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 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003;20(2):127-147
  22. 신명식. 한국성인의 문제음주행태 관련요인 분석. 한국알코올과학회지 2002;3(1):111-130
  23. 오형석. 대학생과 건강. 대학보건 5th. 연세대학교 출판부. pp.12-33, 1971
  24. 유수정. 우리나라 성인비만 관련요인 분석: 사회, 경제, 행동적 요인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25. 윤은자. 대학생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이행. 성인간호학회지 1997;9(2):262-271
  26. 이미라.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97;27(1):156-168
  27. 이병숙, 김미영, 김미현, 김선경. 우리나라 일부 대학생의 건강신념 및 건강행위 실천도. 대한간호회지 2000;30(1):213-224
  28. 이순영, 김선우, 박주원. 한국인의 건강행태 유형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1997;30(1):181-194
  29. 이영휘. 대학생이 지각한 일상생활스트레스, 자기 효능, 강인성과 건강행위와의 관계. 성인간호학회지 2006; 18(5) :699-708
  30. 이원재, 반덕진. 음주감소를 위한 정책방향.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996;13(2):101-105
  31. 이인숙. 일부 대학생들의 건강통제위 성격과 건강 증진 행위간의 상관관계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1995;9(1): 44-58
  32. 이정렬, 박신애. 역학과 건강증진, 서울: 수문사, 1996
  33. 이종렬. WHOQOL-BREF를 이용한 대구광역시민의 삶의 질에 관한 조사[석사학위 논문]. 대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1999
  34. 장옥자, 정승교. 일부대학생의 식생활 및 운동 양상.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0;14(2):415-430
  35. 전미영, 김명희, 조정민.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관련된 요인분석.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002;19(2):1-13
  36. 정승교. 일부 여대생의 체중조절 실태 및 신체상. 한국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001;18(3):161-175
  37. 정영미, 정길수, 이성은. 비만도에 따른 여대생의 건강습관, 체성분 및 신체상 비교.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005;22(1):87-102
  38. 정현주. 건강수준에 따른 건강행위 분석[석사학위 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5
  39. 최상한. 부모의 건강행위와 청소년의 건강행위와의 상관관계[석사학위논문]. 부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40. 최연희.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004;21(2): 87-100
  41. 최희정, 이은옥. 목욕행위와 건강상태와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2002;32(4):519-528
  42. 최치원. THl에 의한 치과의사들의 건강실태 및 건강행위에 관한 조사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1999
  43. 한금선.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와 스트레스 중상과의 상관관계. 대한간호학회지 2005;35(3): 585-592
  44. 한수정. 중년기 성인의 운동실천과 삶의 질.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4; 18(1): 14-26
  45. 허혜경 외 6명. 강원도 원주지역 초중고등학생의 식습관 및 섭식행동에 관한 단면연구. 보건 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003;20(1):159-172
  46. Adderley- Kelly B, Green PM. Health behaviors of undergraduage African American nursing students. ABNF J 2000;11(1):7-12
  47. Belloc NB., Breslow L. Relationship of physic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s. Prev Med 1972;1(3):409-421 https://doi.org/10.1016/0091-7435(72)90014-X
  48. Bergner M. Quality of life, health status, and clinical research. Med Care 1989;27(3): 148-156 https://doi.org/10.1097/00005650-198903001-00012
  49. Cohen DA, Scribner RA, Fareley T A A structural model of health behavior : A pregmatic approach to explain and influence health behavior at the population level. Prev Med 2000;30:146-154 https://doi.org/10.1006/pmed.1999.0609
  50. Denny CH, Taylor TL. Arrerican Indian and Alaska native health behavior: findings from the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1002-1995. Ethn Dis 1999;9(3):403-409
  51. Ettner SL,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inuity of care and the health behaviors of patients : does having a usual physician make a difference? Med Care 1999;37(6):547-555 https://doi.org/10.1097/00005650-199906000-00004
  52. Felts M, Tavasso D, Chenire TM, Dunn P. Adolescents perceptions of relative weight and self-reported weight loss activities. J Ach Health 1992;62(8):372-376
  53. Fontaine KR, Bartlett SJ. Estima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bese individuals. Disease Management and Health Outcomes 1993;3:61-70 https://doi.org/10.2165/00115677-199803020-00002
  54. Friedman RH. Automated telephone conversation to assess health behavior and deliver behavioral interventions. J Med Syst 1998; 22(2):95-102 https://doi.org/10.1023/A:1022695119046
  55. Harris DM, Guten G. Health-protective behavior: an exploratory study. J.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79;20:17-29 https://doi.org/10.2307/2136475
  56. Kasl V, Cobb S. Health Behavior illness Behavior and Sick Role Behavior. Archives of Environment and Health 1966;12:246-266 https://doi.org/10.1080/00039896.1966.10664365
  57. Kulbok PA, Carter KF, Baldwin JH, Gilmartin MJ, Kirkwood B. The multidimensional health behavior inventory. J Nurs Meas 1999;7(2):1'77-195
  58. Laffrey SC. An exploration of adult health behavior. Weatem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990;12(4):434-444 https://doi.org/10.1177/019394599001200402
  59. Lagorge RG, Velicer WF, Richimond RL, Owen N. Stage distributions for five health behaviors in United States and Australia. Prev Med 1999;28:61-74 https://doi.org/10.1006/pmed.1998.0384
  60. Lantz PM, House JS, Lepkowski JM, Williams DR, Mero RP, Chen J Socioeconomic factors, health behaviors and mortality: results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perspective study of Us adults. JAMA 1998;279(21):1703-1708 https://doi.org/10.1001/jama.279.21.1703
  61. McDowell I, Newell C. Quality of life and life satisfaction measuring health :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987;203-224
  62. McGinnis MJ, Foege WH. Actual Causes of Death in the United States. JAMA 1993; 270(18):2207-2212 https://doi.org/10.1001/jama.270.18.2207
  63. Michael YL, Colditz GA, Coakley E, Kawachi I. Health behaviors, social networks and healthy aging: cross-sectional evidence from the Nurses' health study. Qual Life Res 1999;8(8):711-722 https://doi.org/10.1023/A:1008949428041
  64. Preston DB, Greene GW, Irwin PA. An assessment of college health nursing practice: A wellness perspective. J of Comm Health Nurs 1990;7(2):97-104 https://doi.org/10.1207/s15327655jchn0702_6
  65. Shi 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health behaviors. South Med J 1998;91(10):933-941 https://doi.org/10.1097/00007611-199810000-00007
  66.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 Study Protocol. WHO, Geneva.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