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spectives on the Current Condition and Landscape Management Status of the Dangsan Forests in Sungnam-ri, Wonju

원주시 성남리 당산숲의 현황 및 경관관리 실태 고찰

  • Choi, Jai-Ung (National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NIAS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Kim, Dong-Yeob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 Lee, Sang-Hwa (National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NIAS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Kim, Sung-G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최재웅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 김동엽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 이상화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 김성기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Rural areas dominate country landscape, where the population is rich in traditional and natural heritage. Dangsan forests and Rural community forests (RCF) have been maintained by local residents for hundreds of years. However, many of these forests have been disturbed, and only small amount of Dangsan forests and the RCF remain due to the efforts of local residents. Recently, the remnants of Dangsan forests and RCF have been regarded as living traditional landscapes representing the cultural and rural background of Korea. But the value of Dangsan forests and the RCFs has not been recognized by many.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status of Dangsan forests in Sungnam-ri, Wonju. Sungnam-ri has four villages, each of which is bordered by a Dangsan forest at the riparian buffer. Sungnam-ri has been selsected as a site for a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 Forestry of Korea. Sunghwanglim (the Upper Dangsan forest) i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No.93 and entrance is limited in this area. The size of Sunghwanglim is $21,133m^2$, and the major tree species are Kalopanax pictus (Dangsan tree, Divine tree), Pinus densiflora, Abies holophylla, Acer triflorum, Ulmus davidiana, Fraxinus rhynchophylla and Quercus serrata. In total, 124 trees with more than 40 cm in DBH are at this site. As for cultural activities, the Dangsan festival is held on April 8th and September 9th of the lunar calendar at shrines in the forests. Although other Dangsan forests are smaller than Sunghwanglim, they also have similar cultural activities. The landscape of the Dangsan forests have been managed for several hundred years by the local people, and they intend to continue maintaining the Dangsan forests for the purpose of festivals and other cultural activities. The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that Dangsan forests have the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rural villages and for the improvement of cultural and natural landscapes in Korea.

Keywords

References

  1. 강현경, 방광자, 이승제, 김학범(2004)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마을숲의 관리방안 -경상도와 강원도의 주요 마을숲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 학회지 22(2): 63-74
  2. 김덕현(1986) 전통촌락의 洞蔽에 관한 연구 - 安東 내앞마을의 開湖松을 중심으로-. 지리학논총 13: 25-33
  3. 김학범(1991) 한국의 마을원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4. 김학범(2005) 마을숲과 문화. 전통마을숲의 이해와 복원운동의 방향 심포지엄 자료집. pp. 5-22
  5. 나정화(2005) 경관 생태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 모색을 통한 도입 가능성과 한계성. 한국조경학회지 33(4): 45-70
  6. 남연화, 윤영활(2002) 시대적 배경을 통해 본 마을 숲의 변천과 보존 -성남리 성황림 지역을 대상으로- . 한국정원학회지 20(2): 23-32
  7. 농어업 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2005) 농어촌 복합생활공간 조성방안
  8. 박재철(1999) 농촌정주생활권내의 마을비보숲과 마을쉼터숲의 비교 고찰 -진안군 지역을 사례로- 한국조정학회지 27(3): 32-38
  9. 백길전(1999) 성황림(원주시)의 식생구조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 -천연기념물 제93호-.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성주인(2005) 농촌경관 관리실태와 정책방안. 농촌경관 전문가 Work shop 자료집. pp. 105-159
  11. 심근정, 김재호, 김수봉(2003) 산사태 발생지역의 경관변화와 주민의식-1930년 팔공산 산사태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1(3) 42-53
  12. 유제헌(1979) 농촌경관의 형태적 연구-여주 . 이천지방을 중심으로. 지리학논총 6: 96-115
  13. 윤영활, 김학범, 장동수, 김정태(1998) 강원도 동해안지역 정주지 구성 요소로서 풍숲(風蘇)의 경관과 그 효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6(1): 59-81
  14. 이원열, 서호석, 이대섭, 조현제(1992) 전통생활환경보전림의 실태 및 보존대책. 임업연구원보고서. pp. 25-33
  15. 장동수, 이규목(1997) 경주 . 포항시 전통도시숲(읍수 . 임수)의 보존과 관리,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5(1): 1-15
  16. 장동수(2001) 한밤마을 儀禮景觀의 意味.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9(1) :1-10
  17. 주경제협력개발기구(OECD)대표부(2007) 제5차 농촌개발 국제회의 결과. 주OECD대표부 보고자료
  18. 최재웅, 김동엽(2000) 마을숲문화가 있는 농촌 마을숲의 구조 및 보전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8(3): 51-64
  19. 최재웅, 김동엽(2003) 농촌 문화경관으로서 강릉시 구정리 마을숲의 경관 특성. 국토계획 38(4): 171-181
  20. 최재웅, 김동엽(2005) 하천경관으로서 당산숲.마을숲의 경관생태학적 기능 고찰. 환경정책연구 4(2): 31-55
  21. 최재웅, 김동엽(2006) 농촌 문화경관 관련시책과 마을숲 . 당산숲의 위상 제고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3): 4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