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ecology and Habitat Environment of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in Uido (Island), Korea

우이도 해안사구식생의 군락생태와 입지환경

  • 전영문 (순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
  • Published : 2007.03.0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undamental data which can be applied to management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by determining the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community,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This research was performed by the Braun-Blanquet's method. The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of Uido (I.) was composed with 9 communities as follows :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Zoysia macrostachya community, Carex kobomugi community, Iachaemum anthephoroides community,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community, Carex pumila community, Calystegia soldanella community Messerschmidia sibirica community and Pinus thunbergii community, the evergreen needle-leaved forest. The constancy degree showed high in Calystegia soldanella (77%), Vitex rotundifolia (74%), Carex kobomugi (66%), Zoysia macrostachya (50%) and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47%). However the highest constancy degree Calystegia soldanella has, it turned out to have low net contribution degree (NCD) in each community.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and growth feature of the composition species in the coastal sand dune, Vitex rotundifolia, Carex kobomuri and Zoysia macrostachya were widely distributed from unstable sand dune to stable one but Iachaemum anthephoroides and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were mainly found at the stable sand dune. Carex kobomugi was especially dominant at the unstable sand dune where the sand continued to be deposited. On the other hand, Carer pumila and Messerschmidia sibirica showed regional distributions around fresh water.

본 연구는 우이도 해안사구식생의 군락구분과 분포, 그리고 생육지 환경의 생태적 특성을 밝힘으로써 해안 사구식생의 관리, 보존 및 복원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는 Braun-Blanquet(1964)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우이도의 사구식생은 순비기나무군락, 왕잔디군락, 보리사초군락, 갯쇠보리군락, 띠군락, 좀보리사초군락, 갯메꽃군락, 모래지치군락, 그리고 배후식생으로 상록침엽수림인 곰솔군락의 총 9개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사구식생을 구성하고 있는 식물들 중에서 갯메꽃(77%), 순비기나무(74%), 보리사초(66%), 왕잔디(50%), 띠(47%) 등의 상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 중 갯메꽃은 가장 높은 상재도에도 불구하고 각 군락내 절대기여도는 낮은 상태를 보였다. 사구식물의 분포와 생육 특성에서는 순비기나무, 보리사초, 왕잔디 등이 불안정사구에서 안정사구지가지 폭넓게 분포한데 반하여 갯쇠보리와 띠는 주로 안정사구지에서 군락을 형성하였다. 특히 보리사초는 모래의 퇴적이 계속되는 불안정사구지에서 우점 분포하였으며, 좀보리사초와 모래지치는 담수주변부에서 국지적으로 분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대균. 2003. 충청남도 해안에 발달한 해빈과 해안사구.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4:568-577
  2. 권혁재 2001. 지형학, 법문사. 498pp
  3. 기상청 2001. 한국기후표(1971-2000)
  4. 김종원, 남화경, 백원기, 이율경, 이은진, 오장근, 정용규. 1997. 식생펑가지침. 한국자연보존협회 제2차 자연환경 전국조사지침. 서울. pp. 259-322
  5. 김종홍, 전영문. 1998. 우이도 및 인근도서의 식생과 환경보호. 자연보호중앙협의회 자연실태종합학술보고서. 13:27-58
  6. 김철수, 임병선. 1988. 한국 서남해안 간석지 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1:175-192
  7. 김철수, 장윤석, 오장곤. 1987 우이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 목포대연안생물연구. 4:1-56
  8. 민병미. 2004a. 통보리사초 (Carex kobomugi Ohwi)의 생육 특성. 한국생태학회지. 27: 49-55
  9. 민병미. 2004b. 우리나라 해안사구 식생의 특성 자연보존. 128:17-28
  10. 박 경. 2000. 사구지형과 생태계. 자연보존. 112:18-23
  11. 변무섭, 박준모. 2002. 우이도 사구의 식물상 및 비오톱보전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93-101
  12. 안영희. 2003. 신두리 해안 사구지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곡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29-40
  13. 오장근, 서정수. 2002. 국립공원의 사구식물과 염생식물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상연구지 7: 145-156
  14. 유환수, 류상옥, 김민지. 1998. 우이도 및 인근도서의 지형 및 지질환경. 자연보호중앙협의회 자연실태종합학술보고서. 13:1-26
  15. 이승호, 이현영 2000. 기후학의 기초. 두솔. 238pp
  16. 이우철. 1996.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1688pp
  17. 이우철, 엄양재. 1978. 한반도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8:1-33
  18. 이우철, 전상근, 김준민 1982. 한국해안식물의 생태학적 연구-동해안의 사구식물군락의 종조성과 현존량에 관하여 강원대학교 논문집. 16:113-124
  19. 이우철, 전상근. 1983. 한국해안식물의 생태학적 연구-남해안의 사구식물군락의 종조성과 현존량 -한국생태학회지. 6:177-186
  20. 이우철, 전상근. 1984. 한국해안식물의 생태학적 연구-서해안의 사구식생에 관하여 한국생태학회지. 7:74-84
  21. 이율경, 김종원. 2005. 한국의 하천식생. 계명대학교출판부. 293pp
  22. 이일구, 황경수 1980. 서남해의 수개 도서내 식물상의 생태학적 조사보고. 한국자연보존협회조사보고서. 16:67-78
  23. 이일구, 황경수.1981. 우이도식불상의 생태학적 연구. 건국대학교학술지. 25:33-53
  24. 이점숙, 이강세, 임병선, 김하송, 이승호. 2000 우이도의 사구 염생식물 분포와 현존량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기초과학연구. 15:53-60
  25. 전남대학교 해양연구소, 신안군 2000. 우이도 풍성사구의 형성과정 및 주변 해양환경 활용 방안에 관한 학술연구. 전남대학교출판부. 413pp
  26. 정용규, 김 원. 2000. 한반도 해안임연군락의 분포특성 한국생태학회지. 23:193-199
  27. 정용규, 김종원. 1998. 경북의 해안사구식생. 한국생태학회지. 21:257-262
  28. 홍원식.1956. 한국서해안 해변식물군락의 연구(제1보). 생물학회보. 1:17-24
  29. 환경부.2001.우리나라 사구 실태파악과 보전 .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환경부
  30. 환경부. 2004a. 전국해안사구정밀조사 보고서 (I). 환경부
  31. 환경부. 2004b. 전극해안사구정밀조사 보고서 (II). 환경부
  32. 大場達之, 管原久夫. 1979. 濟州道の海岸植生. 地理及分類硏究. 27:1-12
  33. 宮協昭, 奥田重俊. 1990. 日本植物群落圖說. 至文堂. 東京. 800pp
  34.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ge der Vegetationskunde. 3 Aufl. Springer, Wien. 865 pp
  35. Kim JW and YI Manyko.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ean J. Ecol. 17:391-413
  36. Miyawaki A. 1977. Vegetation of Japan compared with other region of world. Kakgen. Tokyo. 535 pp
  37. Mue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447 pp
  38. Park BK and KJ Lee. 1969.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sand dune plants on the Sung San-po Quelpart Island. J.K.R.I.B.L. 3:161-174
  39. van der Maarel E. 1979. Transformation of cover-abundance values in phytosociology and its effects on community similarity. Vegetatio 39:97-114 https://doi.org/10.1007/BF00052021
  40. Yim Y J. 1977.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II.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along the thermal gradient. Jap. J. Ecol. 27: 177-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