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cenario to establish Coastal Inundation Prediction Map due to Storm Surge

폭풍해일에 의한 해안침수예상도 작성 시나리오 연구

  • Published : 2007.10.25

Abstract

Coastal disasters have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every coastal country. In Korea, coastal disasters such as storm surge, sea level rise and extreme weather have placed many coastal regions in danger of being exposed or damaged during subsequent storms and gradual shoreline retreat. A storm surge is an onshore gush of water associated with a tow pressure weather system, typically in typhoon season.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predict storm surge height and inundation due to the irregularity of the course and intensity of a typhoon. To provide a new scheme of typhoon damage prediction model, the scenario which changes the central pressure, the maximum wind radius, the track and the proceeding speed by corresponding previous typhoon database, was composed. The virtual typhoon scenario database was constructed with individual scenario simulation and evaluation, in which it extracted the result from the scenario database of information of the hereafter typhoon and information due to climate change. This virtual typhoon scenario database will apply damage prediction information about a typhoon. This study performed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the simulation system with the storm surge/coastal inundation model at Masan coastal areas, and applied method for predicting using the scenario of the storm surge.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온난화, 해수면 상승 등의 영향으로 연안재해가 전세계적으로 쟁점화가 되고 있는 가운데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러나라 연안역은 고파랑이나 폭풍해일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특히, 하계에는 태풍의 내습경로에 위치하여 주기적인 피해를 입고 있다. 그러나 태풍의 진행경로와 내습강도는 매우 가변적이기 때문에 연안에서 발생하는 해일고와 범람정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태풍의 진로가 확정되는 단계에서 대상 연안으로 내습시까지의 소요시간이 수시간에 불과하여 수치모델링 수행을 통한 해일고 및 피해예측, 재해정보 전달체계가동은 현실적으로 무리가 있다. 이에 태풍내습시 연안역 피해를 사전에 신속하게 예측하기 위해 과거 태풍의 분석과 모의를 통해 수치모형의 재현성을 검증한 후, 태풍의 주요인자인 중심기압, 최대풍 반경, 진로, 진행속도 등에 대해 과거 개별 태풍 정보에 근거하여 가상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구성된 다양한 가상 시나리오는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내습 가능성을 고려하여 폭풍해일의 주요 영향인자의 조건별로 가상 태풍 시나리오 결과 D/B 구축하였다. 이 D/B에는 태풍의 주요인자별 가상 시나리오에 대한 해일고 및 침수범위 정보가 구축되며 향후 실제 태풍 내습시 가장 유사한 태풍정보에 해당하는 시나리오 결과를 추출하여 신속하게 침수예상지역과 범위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폭풍해일에 의한 침수예측수치 모형을 이용하여 마산지역의 가상 태풍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적용하였으며, 기존 태풍시 관측해일고와의 검증을 통해 시나리오 접근 방법에 대해 검토하였다.을 차지함을 보였다. 또한 AOR과 DOR에서 상관 값 추이 분석을 통해 AOR에서의 상관 값이 DOR에서의 상관 값에 비해 다중경로신호에 의해 덜 왜곡되는 특성을 보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대역 제한된 GNSS에 적합한 새로운 부호 추적편이 완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은 대역 제한된 다중경로 환경에서 EL-DLL에 비해 정확한 추적이 가능함을 보였다.생겨 폐쇄에 실패하였고, 복직근을 사용한 환자에서 복부 탈장이 생긴 경우가 1예 있었으며, 수술 후 30일내 사망한 예가 1예였고 다른 1예는 전이성 암으로 사망하였다. 걸론: 근치적 방법으로 치료가 힘든 경우의 만성 농흉 환자들에게 있어 개방식 배농술과 근육이식술, 근육피판을 이용한 최종적인 개방창 폐쇄술까지의 단계적인 접근 방법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만으로 야뇨횟수에 호전을 보이는 초기반응군 경우 2개월째 투약반응이 유의하게 좋았다. 이로써 야뇨증의 치료초기 행동요법에 대한 반응정도는 치료효과를 예측하는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소아의 첫 요로감염시 초음파나 $^{99m}Tc$-DMSA 신장 스캔상에서 양성소견이 있을 경우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으며, 초음파와 $^{99m}Tc$-DMSA 신장 스캔상에서 양성소견이 없을 경우라도 CRP 또는 백혈구 등의 임상자료들을 평가하여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 검사를 시행유무를 결정하는 것이 잔존하는 방광요관역류를 찾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O$로 고칼슘뇨군에서

Keywords

References

  1. 강용균 (2004). 태풍 '매미' 통과시의 해일공명. 한반도 해역의 고파, 폭풍해일, 한국해안해양공학회 특별 Workshop. pp. 57-62
  2. 소방방재청 (2005). 재해연보
  3. 최병호 (2004). 우리나라 서해안의 최고극 조위, 한반도 해역의 고파, 폭풍해일, 한국해안해양공학회 특별 Workshop. pp. 145-154
  4. 최병호, 엄현민, 김현승, 정원무, 심재설 (2004). Wave-tidesurge coupled simulation for typhoon Maemi. 한반도 해역의 고파, 폭풍해일, 한국해안해양공학회 특별 Workshop. pp. 121-144
  5. 허동수, 염경선, 김지민, 김도삼, 배기성 (2006a). 부산연안에서 폭풍해일고의 추정, 한국해양공학회지, 제20권, 제 3호, pp 37-44
  6. 허동수, 염경선, 김지민, 김도삼, 배기성 (2006b). 경남연안의 지역특성에 따른 폭풍해일고의 변동, 한국해양공학회지, 제20권, 제3호, pp 45-53
  7. 행정자치부 (1998). 서해안 해수범람 흔적조사 및 종합대책수립 보고서
  8. 행정자치부 국립방재연구소 (2002). 폭풍해일예측을 통한 상황대처 방안 연구, pp 219
  9. Hall, J.W., Dawson, R.J., Sayers, P.B., Rosu, C., Chatterton, J.B. and Deakin, R. (2003). A methodology for national-scale flood risk assessment. Water and Maritime Engineering, 156(3), pp. 235-247 https://doi.org/10.1680/maen.156.3.235.37976
  10. Mcinnes, K.L., Walsh, K.J.E., Hubbert, G.D. and Beer, T. (2003). Impact of Sea-level Rise and Storm Surges on a Coastal Community, Natural Hazards 30, pp. 187-207 https://doi.org/10.1023/A:1026118417752
  11. Reeve, D.E. (1998). Coastal flood risk assessment. Journal of Waterway Port, Coastal and Ocean Engineering, 124(5), pp. 219-228 https://doi.org/10.1061/(ASCE)0733-950X(1998)124:5(219)
  12. USACE (1996). Risk-based Analysis for Flood Ddamage Reduction Studies, Report EM1110-2-1619. United States Army Corps of Engineers, Washington
  13. Voortman, H.G. (2002). Risk-based design of large-scale flood defence systems, PhD Thesis, Delft University
  14. 柴木秀之 (2004). 波浪. 高潮. 津波の數値計算と沿岸防災支援システムへの応用に關する硏究
  15. 岩崎敏夫, 貞野 明 (1979). オイラ座標による二次元津波遡上の數値計算. 第26回海岸工學學講演論文集 pp. 70-74
  16. 水理公式集 (1985). 土木學會編 昭和 60年版 pp. 287-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