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drothermal Mechanism of Na-A Type Zeolite from Natural Siliceous Mudstone

규질 이암으로부터 Na-A형 제올라이트 수열합성 반응기구에 대한 연구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e mechanism of hydrothermally synthesizing Na-A zeolite from siliceous mudstone at a $Na_2O/SiO_2$ ratio of 0.6, a $SiO_2/Al_2O_3$ 2.0 and a $H_2O/Na_2O$ 119 has been observed by IR, DTA, XRD and SEM. This mudstone is a tertiary periodic sedimentary rock and widely spreads around the Pohang area. In the early hydrothermal synthesis at $80^{\circ}C$ in an autoclave, sodium silicate and sodium aluminate were found to be preferentially reacted to generate Na-A type zeolite. Gibbsite and bayerite were also formed due to the presence of extra aluminum oxide in the feedstock. As reaction time in-creased up to 50 h, residual sodium aluminatewas reacted with siliceous mudstone, causing the Na-A zeolite crystal to grow and the hydroxylsodalite to generate. Therefore, in the $14{\sim}50\;h$ synthetic time, Na-A zeolite and hydroxylsodalite were formed. Also, if reaction time passed over 50 h, a part of the Na-A zeolite was finally redissolved and reacted with hydroxylsodalite to synthesize Na-P zeolite, generating porous surface of Na-A zeolite and disappearing hydroxylsodalite.

포항부근에 널리 분포하는 제3기 퇴적암인 규질이암(siliceous mudstone)으로부터 $Na_2O/SiO_2 =0.6,\;SiO_2/Al_2O_3 = 2.0,\;H_2O/Na_2O=119$ 몰 비의 수열조건에서 반응시간($10{\sim}70$시간)을 변화시켜 Na-A형 제올라이트를 합성하는 반응기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조건에서의 합성상은 X-선회절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적외선 분광분석, 열분석 및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규질이암으로부터 Na-A형 제올라이트의 단계별 반응기구는 초기에 규산 소다와 알루민산 소다의 반응에 의해 Na-A형 제올라이트가 1차적인 핵생성이 이루어진 후, 반응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잔여 알루민산 소다와 용해된 규질이암의 반응에 의해 Na-A형 제올라이트의 결정이 성장하였고 또한 하이드록시 소달라이트가 생성되었다. 그리고 반응 시간이 50시간의 장시간이 되면 Na-A형 제올라이트로부터 용해되면서 빠져나온 성분은 하이드록시 소달라이트와 반응에 의해 새로운 상인 Na-P형 제올라이트가 생성되는 일련의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노진환 (1994) 제3기 연일층군의 층서, 암상 및 속성광물상, 한국석유지질학회지, 2, 91-99
  2. 노진환 (2000) 규질 이암으로부터 제올라이트의 수열 합성에 관한 연구, 한국광물학회지, 13(4), 71-185
  3. 배인국, 장영남, 채수천, 윤도우, 조성준, 이성기, 류경원 (2007) 자연산 규질이암을 이용한 Na-A형 제올라이트 수열합성, 한국시스템공학회지, 44(1), 61-70
  4. 이성기, 배인국, 장영남, 채수천, 류경원 (2006) 도시소각재 용융 슬래그로부터 Na-P형 제올라이트 합성, 한국광물학회지, 19(1), 7-14
  5. 장영남, 배인국, 채수천, 류경원 (2001) 브라운관의 후면유리폐기물을 이용한 제올라이트 합성, 한국자원환경지질학회지, 34(2), 167-173
  6. 장영남, 채수천, 배인국, 류경원 (2005) 소각재 용융슬래그를 이용한 제올라이트 Na-A의 합성, 한국광물학회, 18(1), 11-17
  7. 진지영, 문희수, 장영남 (1999) 석탄회를 이용한 제올 라이트의 열수합성, 한국자원환경지질학회지, 32, 575-584
  8. 채수천, 장영남, 배인국, 윤도우, 이성기, 류경원 (2005) 청라 도시소각장 용융슬래그로부터의 Na-A형 제올라이트 합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논문집, 9(4), 14-23
  9. Barrer, R.M. (1948) Synthesis of zeolite mineral with chabazitelike sorptive properties, J. Chem. Soc., 127-132 https://doi.org/10.1039/jr9480000127
  10. Breck, D.W. (1974) Zeolite molecular sieves: structure, chemistry, and use. Senior Research Fellow Union Carbide Corporation, New York, 313-320
  11. Breck, D.W. (1975) Synthetic Zeolite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In : Lefond, S.J. (Ed.) Industrial Minerals and Rocks. Amer. Inst. Min. Metallur. Petrol. Engin., New York
  12. Flanigen, E.M. (1991)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n Historical Perspective. Introduction to Zeolite Science and Practice, Vol. 58. Ed. H. van Bekkum, E.M. Flanigen, J.C. Jansen. New York: Elsevier
  13. Howell, P.A., Island, G. and Acara, N.A. (1964) USA Patent, 3,119,660
  14. Kloprogge, J.T., Ruan, H.D. and Frost, R.L. (2002) J. Mater. Sci., 37, 1121 https://doi.org/10.1023/A:1014303119055
  15. Milton, R.M. (1959) USA Patent 2,882,243
  16. Milton, R.M. (1968) Commercial development of molecular sieve technology, Molecular Sieves, Soc. Chem. Indus. London
  17. Rees, L.V.C. and Chandrasekhar, S. (1993) Formation of zeolite from the system $Na_2O-Al_2O_3-SiO_2-H_2O$ in alkaline medium (pH > 10), Zeolites, 13, 524-533 https://doi.org/10.1016/0144-2449(93)90229-V
  18. Schmitz, W., Siegel, H. and Schollner, R. (1988) Crystallogr. Res. Technol., 16, 540-543
  19. Tominaga, H. (1987) Sciences and applications of zeolite, Kodansha, 128 (in Japanese)
  20. Zarubin, D.P. (2001) The two-component bands at 4500 and $800cm^{-1}$ in infrared spectra of hydroxyl-containing silicas. Interpretation in terms of Fermi resonance, J. Non-Crystal. Solids, 286, 80-88 https://doi.org/10.1016/S0022-3093(01)0048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