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Intention to live in Cohousing According to Housing Value

주거가치에 따른 코하우징 거주의사에 관한 연구

  • 조정현 (가톨릭대학교 생활문화학과 주거학) ;
  • 홍서정 (가톨릭대학교 생활문화학과 주거학) ;
  • 곽유미 (가톨릭대학교 생활문화학과 주거학) ;
  • 곽인숙 (우석대학교 실버복지학과 노인주택) ;
  • 최정신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소비자주거학)
  • Published : 2007.10.25

Abstract

This is a basic study to investigate possibility to application of cohousing model into Kore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respondents' housing value, and its influence on intention to live in cohousing. Research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a social survey. Respondents were 214 married people residing in Seoul and its outskirts by accidential sampl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program using frequency, mean, average,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multiple regression and legit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Housing valu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named as individualism oriented housing value, tradition oriented housing value, and economy oriented housing value. Housing values were different by respondents groups. For example, individualism oriented housing value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age and housing area. Tradition oriented housing value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sex, occupation, and period of residence, while economy oriented housing value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housing type, and home ownership. In detail, men than women, single-income family than double-income family, and detached house resident than flat resident had higher tradition oriented housing value. The younger than the elder, and Seoul resident than outskirts resident had higher economy oriented housing value. Also home owner than tenant, and the higher tradition oriented group had stronger intention to live in cohousing than others.

Keywords

References

  1. 강순주(2004), 주거가치관에 따른 인텔리전트 주택 선호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2. 고경필, 윤재웅(1994), 주거가치와 주생활양식에 따른 주택 구매행동 분석, 한국주거학회지, 5(2)
  3. 김미희, 정미영(2003), 도시청소년의 주거가치와 주거만족도,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4(3)
  4. 서종녀(1999), 울산시 거주자의 임대주택에 대한 주거가치 유형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신화경(1998), 신문광고를 통해 본 시대별 주거가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9(1)
  6. 양세화, 오찬옥(1996), 주거만족도 모텔에서의 주거가치의 역할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7(2)
  7. 양세화, 오찬옥(2003), 초등교육기 이하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과주거가치 및 규범과행동,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4(2)
  8. 이종혜(1984), 주거가치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전주우석대논문집, 6
  9. 조성명, 강순주(1997), 서울근교 신도시, 분당지역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가치와 주거만족, 한국주거학회지, 8(1)
  10. 조은정(1994), 신세대 소비자의 주거가치-신혼주거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1)
  11. 주거학연구회(2000), 더불어사는 이웃세계의 코하우징, 교문사
  12. 주거학연구회(2005), 넓게 보는 주거학, 교문사
  13. 주영애, 이길표(1987), 주거에 관한 가치관 연구, 한국가정 관리 학회지, 5(1)
  14. 최목화(1987), 주거가치의 체계정립을 위한 연구, 대한 가정학회지, 25(4)
  15. 최정신(2004), 한부모가족의 생활지원주거대안-코하우징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2(1)
  16. 하정순(2004), 주거가치유형에 따른 아파트 구매의사결정 과정 및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한주희(2005), 맞벌이 가족을 위한 한국형 코하우정 계획안,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홍성희(1983), 주거가치관에 띠른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Macanant & durret (1994), Cohousing, Ten Spee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