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traction of Primary Factors Influencing Dam Operation Using Factor Analysis

요인분석 통계기법을 이용한 댐 운영에 대한 영향 요인 추출

  • Kang, Min-Goo (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ung, Chan-Yong (Hydrological Survey Center,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Lee, Gwang-Man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K-WATER))
  • 강민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정찬용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량조사사업단) ;
  • 이광만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Factor analysis has been usually employed in reducing quantity of data and summarizing information on a system or phenomenon. In this analysis methodology, variables are grouped into several factors by consideration of statistic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s are used for dropping variables which have lower weight than others. In this study, factor analysis was applied for extracting primary factors influencing multi-dam system operation in the Han River basin, where there are two multi-purpose dams such as Soyanggang Dam and Chungju Dam, and water has been supplied by integrating two dams in water use season. In order to fulfill factor analysis, first the variables related to two dams operation were gathered and divided into five groups (Soyanggang Dam: inflow, hydropower product, storage management, storage, and operation results of the past; Chungju Dam: inflow, hydropower product, water demand, storage, and operation results of the past). And then, considering statistic properties, in the gathered variables, some variables were chosen and grouped into five factors; hydrological condition, dam operation of the past, dam operation at normal season, water demand, and downstream dam operation. In order to check the appropriateness and applicability of factors, a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was newly constructed using factors as description variables, and those factors were compared with terms of objective function used in operation water resources optimally in a river basin. Reviewing the results through two check processes, it was revealed that the suggested approach provided satisfactory results. And, it was expected for extracted primary factors to be useful for making dam operation schedule considering the future situation and previous results.

요인분석은 시스템이나 현상에 대한 정보를 하고 관련 자료를 축약하는데 사용되는 다변량 분석기법의 하나이다. 이 기법은 변수들을 통계적 특성을 고려하여 몇 개의 요인들로 그룹화하고 분석결과는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변수를 제거하는데 이용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요인분석을 한강수계의 댐 군 연계운영에 대한 영향요인 추출에 적용하였다. 한강 수계에는 소양강댐, 충주댐과 같은 2개의 다목적 댐이 있으며, 이들은 이수기에 연계 운영되어 하류로 용수를 공급하고 발전을 실시하고 있다. 요인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먼저 댐 운영에 관련된 자료(변수)들을 5개의 대분류(유입량, 용수수요량, 발전량, 저류량, 과거 운영 실적)로 나누어 수집하였다. 통계적 특성을 고려하여 수집된 변수 중에서 13개와 15개의 변수가 각각 선정되어 5개의 요인(소양강댐: 수문조건, 과거 댐 운영, 평수기 댐운영, 저류량 관리, 하류 댐 운영; 충주댐: 수문조건, 과거 댐 운영, 평수기 댐 운영, 용수수요, 하류 댐 운영)으로 분류되었다. 요인분석 결과의 적절성과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선정된 요인들을 설명변수로 이용하여 소양강댐과 충주댐의 연간 발전량을 예측하는 다중회귀모형을 개발하여 결과의 적용성을 평가하였으며, 댐군 운영에 사용된 목적함수들의 구성항목들과 비교하여 요인선정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두 가지 고찰 과정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적용된 요인 추출방법이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추출된 요인들은 미래 상황과 과거 결과를 고려한 댐 운영 계획 수립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분뇨내 악취물질 발생량을 감소 시켰다. 운전 중 전체 공정은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단계 막분리 공정을 통한 배가스에서 $CO_2$를 성공적으로 분리할 수 있었다.(AFM)과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을 통해 관찰한 GST 다층박막시료의 고온 열처리 전후 표면미시거칠기 변화도 PRAM 기록기를 사용할 때에는 in-situ 타원계를 사용할 때보다 1/10 정도의 크기를 보여주어 PRAM 기록기와 분광타원계를 사용하여 결정한 GST의 고온광학물성의 신뢰성을 확인하여 주었다.>, 여자 $179.1{\pm}37.2%$이었다. 평균필요량에 비해 가장 낮은 양을 섭취한 영양소는 엽산으로서 남자 $60.1{\pm}10.8%$, 여자 $54.6{\pm}9.9%$로 조사되었다. 칼슘의 섭취량은 평균필요량에 비해 전체 $74.9{\pm}31.9%$로 나타났다. 에너지 섭취량에 있어서 남자 노인들은 모두가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을 섭취하고 있었고 여자 노인의 경우에도 97%가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을 섭취하여 에너지 섭취량이 매우 낮았다 반면에 단백질 섭취량에 있어서는 남자 노인의 경우 100%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였고, 여자 노인의 경우에는 91%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여 대조적이었다. 비타민 A와 E는 각각 평균필요량과 충분섭취량의 125%를 초과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에 비타민 $B_2$

Keywords

References

  1. 강민구, 이광만, 차형선 (2007). '다목적댐군의 실제 연계운영 효과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2호, pp. 101-112 https://doi.org/10.3741/JKWRA.2007.40.2.101
  2. 고석구, 이광만, 이한구 (1997). '양해 추계학적 동적계획기법에 의한 저수지 운영률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3호, pp. 269-278
  3. 김태순, 허준행 (2001). '유입량 예측을 이용한 한강수계 댐군 최적 연계운영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1권, 제5-B호, pp. 511-520
  4. 오주삼, 임성한, 김현석 (2003). '교통특성에 따른 도로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6-D 호, pp. 835-844
  5. 이영일 (2002). 요인분석의 이해, 석정
  6. 이재응 (2004). '다목적댐의 연계운영을 위한 최적 운영률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6호, pp. 487-497
  7. 임창수 (2000). '금강 수질자료를 이용한 군집분석 및 요인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720-725
  8. 임창수, 신재기 (2002). '삽교호유역의 수질자료를 이용 한 군집분석 및 요인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2호, pp. 140-159
  9. 음형일, 김영오, 윤지현, 고익환 (2005). '국내 다목적댐 운영계획에 적합한 목적함수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9호, pp. 737-746 https://doi.org/10.3741/JKWRA.2005.38.9.737
  10. 정창삼, 허준행, 이재응 (2004). '팔당댐 저수위 변경에 따른 한강 수계 저수지군의 최적연계운영'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1권, 제2-B 호, pp. 101-109
  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4) 건강한 물순환 구축을 위한 유역진단기법 개발 연구
  12. 한승헌, 선승민, 류호동 (2003) '해외건설사업의 수익성 영향인자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2D호, pp. 235-247
  13. Iyer K, C. and K. N. Jha (2006). 'Critical factors affecting schedule performance: Evidence from Indian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32, No.8, pp. 871-88l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6)132:8(871)
  14. Nandagiri L. and G. Kovoor (2006). 'Performance evaluation of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equation across a range Indian climate.'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Vol. 132, No.3, pp. 238-249 https://doi.org/10.1061/(ASCE)0733-9437(2006)132:3(238)
  15. Westphal K. S., Vogel R. M. Kirshen P, and Chapra S. C. (2003). 'Decision support system for adaptive supply management.'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29, No.3, pp. 165-177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2003)129:3(165)

Cited by

  1. Development of the Damage Investigation Item to Debris Flow using the Delphi Method vol.31, pp.2, 2016, https://doi.org/10.14346/JKOSOS.2016.31.2.41
  2.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otential Flood Damage Index for Public Facilities vol.58, pp.4, 2016, https://doi.org/10.5389/KSAE.2016.58.4.097
  3. Evaluating Watershed Management within a River Basin Context Using an Integrated Indicator System vol.136, pp.2, 2010,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2010)136:2(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