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mpirical Formula for Propagation Distance of Flood Wave-front in Flat Inundation Area without Obstacle due to Levee Breach

장애물이 없는 평탄지형 제내지에서의 범람홍수파 선단 전파거리 실험식 산정

  • 윤광석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
  • 이정규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The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ropagation distance of flood wave due to levee breach in a flat inundation area without obstacle. Hitter solution was considered to formulate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a representative form was written referring to existing researches. As a result of experiments, it was found that the propagation velocity of the wave front in inundation area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initial water level in a channel, which was similar to flow in a channel due to dam break. An empirical formula was also suggested using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dimensionless propagation distance L can be written as the power function of dimensionless time T Coefficients k and m were varied with the dimensionless time T whereas k and m in Ritter solution were 2 and 0, respectively. The variation of coeffici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 and T was influenced by the water depth in the inundation area and the fact proved that the changing points of L in the slope of relationship between L and T are the same to those of relationship between the dimensionless maximum water depth in the inundation area, $h_{max}$ and L.

본 연구에서는 장애물이 없는 평탄지형의 제내지에서 제방붕괴에 의한 범람홍수파 선단의 전파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제내지와 하도로 이루어진 실험수조에서 실험을 수행하여 전파 거리를 산정하였다. 실험에 의해 측정된 전파 거리를 시간에 대한 상관식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댐붕괴에 의한 수로에서의 홍수파의 1차원 흐름 해석해인 Hitler의 해를 검토하고, 제내지 범람홍수파의 특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확장하여 실험식의 일반형을 제시하였다. 범람홍수파의 전파속도는 댐붕괴에 의한 흐름과 마찬가지로 초기수위가 지배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실험을 통해 밝혔으며, 실험결과를 무차원 시간 T와 무차원 전파거리 L로 나타내어 실험식을 도출하였다. 무차원 전파거리 L을 산정하기 위한 상수로서 k와 m이 도입되었는데, Hitter의 해에서는 k가 2이고, m이 0인 반면에 본 실험에서는 k와 m이 무차원 시간 T의 구간에 따라 달라지는 상수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전파속도가 제내지에서의 범람홍수심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며, 전파거리와 최대수심의 포락선의 기울기가 변하는 L값이 일치한다는 사실로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종태, 한건연, 윤세의, 박재홍 (1995). '제내지에서의 범람홍수파 해석을 위한 수치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28권, 제5호, pp. 163-174
  2. 전민우, 한건연, 최규현 (2005). '낙동강 제방 붕괴에 따른 범람홍수 해석.'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4호, pp. 259-269 https://doi.org/10.3741/JKWRA.2005.38.4.259
  3. 한건연, 박재홍 (1995). '도시하천에서의 홍수범람도 작 성을 위한 2차원 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28권, 제6호, pp. 119-131
  4. 有賀世治 (1977). '有堤河川の破堤による氾濫區域の推定に關する実証的硏究(第1報:氾濫モデル提案).' 東海大字 紀要, pp. 133-178
  5. Fukuoka, S. and Kawashima. M. (1999). 'Prediction of flood-induced flows in urban residential areas and damage reduction.' Floodplain risk management, Edited by Fukuoka, S., The Committee of International Workshop on Floodplain Risk Management, A.A.Balkerna, Roterdam, the Netherlands, pp. 200-227
  6. Saint-Venant, B. (1871). Theorie du mouvement non perrmnent des eaux, avec application aux crues de rivieres et a l'introduction des marees dans leur lits(Theory of unsteady water flow, with application on floods in rivers and introduction of tides in their beds). Comptes Rendues de l'Academie des Sciences, Paris, France, Vol. 173, pp. 147-154, pp. 237-240 (in French)
  7. Shige-eda, M. and Akyama. J. (2003). 'Numerical and Experimental Study on Two-Dimensional Flood Flows with and without Structure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29, No. 10, pp. 817-821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2003)129:10(817)
  8. Su, S.-T. and Bames, AH (1970). 'Geometric and frictional effects on sudden releases.' Journal of Hydraulic Division, ASCE, Vol. 96, No. 11, pp. 2185-2200
  9. Vischer, D. L. and Hager, W. H. (1998). Dam Hydraulics, John Wiley & Sons Ltd, Baffins Lane, Chichester, West Sussex, England, p.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