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Pine Mushroom Emergence and Meteorological Elements in Yangyang County, Korea

양양지역 송이 발생과 기상요소의 상관관계

  • Shim, Kyo-Mo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
  • Ko, Cheol-Soon (Yangyang-Gun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
  • Lee, Yang-Soo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
  • Kim, Gun-Yeob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
  • Lee, Jeong-Taek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
  • Kim, Soon-Jung (Yangyang-Gun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e relationships between pine mushroom emergence and meteorological factors were analyzed with three years (from 2003 to 2005) of measurement data at Yangyang site,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micrometeorological environment on pine mushroom production. fine mushroom was daily monitored and collected in the survey area during the its producing period (approximately one month). Pine mushroom production was highest in 2005 with the meteorological conditions of high temperature and frequent rainfalls in October. The production was lowest in 2004 due to dry conditions from mid September to late October, The meterological factors related to humidity (i.e., relative humidity, soil water content, and precipitation) were better correlated than those related to temperature (i.e., air and soil temperature, soil heat flux and solar radiation) with pine mushroom production. However, all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with values ranging from 0.15 to 0.46. Such poor correlations may be attributed to various other environmental conditions (e.g., topography, soil, vegetation, other fungi, the relationship between pine mushroom and pine forest) affecting pine mushroom production. We found that a mycelium requires a stimulation of low temperature (of three-day moving average) below $19.5^{\circ}C$, in order to farm a mushroom primordium which grows to pine mushroom after 16 days from the stimulation. We also found that the pine mushroom production ended when the soil temperature (of three-day moving average) fell below $14.0^{\circ}C$.

지금까지 자생지의 기상환경평가는 주로 월별 기상 자료와 연간 발생량을 토대로 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기상자료도 발생 인근지역의 종관기상자료(기상청)를 주로 활용하였으므로, 기상요소와 버섯 발생량의 상관성을 명확히 구명하는 데 효과적이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양양의 자생지에 기상측기를 설치하고, 3년간($2003{\sim}2005$)년 자생지 주변의 기상환경과 버섯발생량을 측정 및 조사하여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송이의 출현 개체수는 발생초일(9월상/중순)부터 발생종일(10월상/중순)까지 거의 매일 조사하여 기록하였다. 10월의 고온과 잦은 강우현상에 의해 발생종일이 늦추어진 2005년에 가장 많은 송이가 발생하였고, 9월의 적은 강우와 10월의 무 강우현상에 의해 발생종일이 앞당겨진 2004년에 송이가 가장 적게 발생하였다. 수분관련 기상요소(상대습도, 토양수분, 강우량)가 온도관련 기상요소(기온, 지온, 지중열류량, 일사량)보다 발생량과 상관성이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이들의 상관관계는 매우 낮았고($r=0.15{\sim}0.46$),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지 않았다. 상관관계가 낮은 이유로는 발생량에 관여하는 인자가 기상요소뿐만 아니라 송이의 생물적 특징, 소나무와의 공생관계, 토양, 주변식생 등 다양한 인자가 존재하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연중 균사생장을 하는 이 버섯원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저온자극이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지하 0.05m 깊이의 3일 이동평균된 지온이 $19.5^{\circ}C$ 이하로 떨어지는 일시적인 저온충격이 필요하며 이로부터 16일 후에 버섯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송이의 발생종일은 3일 이동평균된 지온이 $14^{\circ}C$ 이하로 떨어졌을 때 나타났다. 받아 흡수기능이 다소 억제되나 그 정도가 매우 경미하였으므로 BCG는 막창자꼬리점막 흡수세포의 기능에 큰 손상을 주지 않는다고 생각된다.PRAM 기록기를 사용할 때에는 in-situ 타원계를 사용할 때보다 1/10 정도의 크기를 보여주어 PRAM 기록기와 분광타원계를 사용하여 결정한 GST의 고온광학물성의 신뢰성을 확인하여 주었다.>, 여자 $179.1{\pm}37.2%$이었다. 평균필요량에 비해 가장 낮은 양을 섭취한 영양소는 엽산으로서 남자 $60.1{\pm}10.8%$, 여자 $54.6{\pm}9.9%$로 조사되었다. 칼슘의 섭취량은 평균필요량에 비해 전체 $74.9{\pm}31.9%$로 나타났다. 에너지 섭취량에 있어서 남자 노인들은 모두가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을 섭취하고 있었고 여자 노인의 경우에도 97%가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을 섭취하여 에너지 섭취량이 매우 낮았다 반면에 단백질 섭취량에 있어서는 남자 노인의 경우 100%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였고, 여자 노인의 경우에는 91%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여 대조적이었다. 비타민 A와 E는 각각 평균필요량과 충분섭취량의 125%를 초과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에 비타민 $B_2$는 특히 남자 노인에서 평균필요량의 75%미만을 섭취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엽산 섭취량에 있어서는 평균필요량의 75% 미만을 섭취한 비율이 전체 96%로 나타나 심각한 부족상태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철의 섭취량은 남녀 모두 100%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여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연의 섭취량은 남자 17%,여자 15%가 평균필요량의 75% 미만을 섭취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에너지와 엽산은 모든 노인들에서 평균필요량에 미달되게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Cho, D. H., and K. J. Lee, 1995: A relationship between climatic factors and matsutake productions in 29 sites during a 10-year period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4(3), 277-2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Kang, A. S., D. Y. Cha, Y. S. Kim, Y. H. Park, and C. H. You, 1989: Studies on analyzing meteorological elements related with yield of Tricholoma matsutake (S. Ito et Imai) Singer. Korean Journal of Mycology 17(2), 51-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Koo, C. D., 2000: Correlation between production of Tricholoma matsutake and annual ring growth of Pinus densiflor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9(2), 232-2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Na, J. S., and J. Ryu, 1992: Survey on the flora and main wild mushroom in Tricholoma matsutake producing sites. Korean Journal of Mycology 20(2), 144-1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Park, H., K. S. Kim, and C. D. Koo, 1995: Effects of climatic condition in september on pine-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yield and a method for overcoming the limiting facto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4(4), 479-4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조덕현, 1994: 송이 발생림의 기상조건과 송이 발생량과의 상관관계 및 입지환경 조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富永保人, 1967: 氣象と マツタケ發生量との 關係について. 廣島農短大硏究報告, 1-11
  8. 小川眞, 1991: マツタケの生物學. 東京, 築地書館, 333pp

Cited by

  1.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Host Plants for Phellinus linteus at Habitats in Gangwon-Do Province, Korea vol.21, pp.9, 2012, https://doi.org/10.5322/JES.2012.21.9.1087
  2.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the Rootlet of Pinus densiflora Colonized by Tricholoma matsutake vol.39, pp.3, 2011, https://doi.org/10.4489/KJM.2010.39.3.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