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Plowing Frequency and Sowing Dates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Feed Value, Weed Yield and Palatability of Silage Corn

경운횟수와 파종기 이동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사료가치, 잡초발생 및 가축의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 of plowing frequency and sowing dates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feed value, weed yield and palatability of silage corn. Treatments were a basal treatment(C: May 5 seeding, plowing once, weeding control once), T1(May 12 seeding, plowing twice, weeding control 0 time), T2(May 19 seeding, plowing three times, weeding control 0 time, T3(May 26 seeding, plowing four times, weeding control 0 time) and T4(June 2 seeding, plowing five times, weeding control 0 time).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at the College of Life and Natural Sciences of Sangju University in Sangju in 2006. The plant height and ear height showed highly in order to C > T1 > T2 > T3 > T4 treatment, leaf length was the highest at T2 (96.0cm). Leaf width and number of dead leaf were the highest at C and T3 (11.2cm), C, C and T1 (4.6), respectively. Stem diameter was the highest at T3 as 31mm, while T2 was the lowest as 25mm (p<0.05). Ear circle showed highly in order of C > T1 > T4 > T3 > T4 (p<0.05), and tip filling degree was the highest at C treatment as 8.8, while T4 treatment was the lowest as 6.0 (p<0.05). The stem hardness and grain hardness were C < T1 < T2 < T3 < T4 (p<0.05). Stem saccharinity was T1(6.1%) was the highest, while T2(3.0%) was the lowest(P<0.05). Fresh yield of weed was the lowest at C treatment as 500 kg/ha, but T1 treatment was the highest as 44,100 kg/ha (p<0.05). Weed coverage rate showed highly in order of T1 > T2 > T3 > T4 > C treatment (p<0.05). Fresh yield of corn was the highest at C treatment as T3,550 kg/ha, but T4 treatment was the lowest as 65,500 kg/ha (p<0.05). Dry matter yield of corn showed highly in order of C(26,978 kg/ha) > T1(26,130 kg/ha) > T2(20,255 kg/ha) > T3(20,255 kg/ha) > T4(17,508 kg/ha) treatment (p<0.05). Crude protein content was T1(7.69%) > T4(7.42%) > T2(6.34%) > T3(5.99%) > C(5.91%) treatment (p<0.05), and Crude fat content showed highly in order of C (2.13%) > T1(2.04%) > T2(1.96%) > T3(1.95%) > T4(1.84%) treatment. Relative palatability of Holstein, Korean native goat and spotted deer was the highest at C treatment, but Korean native cattle was the highest at T1 treatment.

본 실험은 파종시기 및 경운횟수가 옥수수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영양수량 및 사일리지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파종시기 및 경운횟수를 통한 5처리(C : 파종 5월 5일, 경운회수 1회, 인력제초 1회, T1 ; 파종 5월 12일, 경운회수 2회, T2 : 파종 5월 19일, 경운회수 3회, T3 : 파종 5월 21일, 경운회수 4회, T4 : 파종 6월 2일 경운회수 5회) 3반복으로 2006년 5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상주대학교 부속 실습농장내 사료포장에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과 착수고는 C > T1 > T2 > T3 > T4구순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초장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착수고에서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엽장은 T2가 96.0cm로 가장 길게 나타났지만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엽폭은 C와 T3구가 (11.2cm), 고사엽은 C 및 T1구가 각각 4.6엽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의 굵기에 있어서는 T3구가 31mm로 가장 높았던 반면 T2구가 25mm로 가장 가늘게 나타났다(p<0.05). 암이삭 둘레는 C(17.1 cm) > T1(15.6 cm) > T4(15.4 cm) > T3(15.3 cm) > T2(15.2cm)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암이삭 충실도는 C구가 8.8로서 가장 높았던 반면 T4구가 6.0으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P<0.05). 경의 경도와 알곡 경도는 파종시기가 빠른 순 인 C > T1 > T2 > T3 > T4순으로 나타났다(p<0.05). 그리고 경의 당도는 T1구가 6.1%로 가장 높고, T2구가 3.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p< 0.05). 잡초 발생량은 C구가 500 kg/ha으로 가장 적게 T1구가 44,100 kg/ha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0.05), 잡초의 피복도는 T1 > T2 > T3 > T4 > C구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생초수량은 C구가 73,550 kg/ha로서 가장 높았던 반면 T4구가 65,500 kg/ha로서 가장 낮은 수확량을 보였다(p<0.05). 건물수량에 있어서는 C(26,978 kg/ha) > T1(26,130 kg/ha) > T2(20,255 kg/ha) > T3(20,255 kg/ha) > T4(17,508 kg/ha)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조단백질 함량은 T1 > T4 > T2 > T3 > C구순으로 높았으며(p<0.05), 조지방은 C > T1 > T2 > T3 > T4구순으로 높았다. 상대기호성은 Holstein, 염소 및 꽃사슴에서는 C구가 가장 높은 기호성을 보였으나 한우에서는 T1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재윤. 재식밀도가 LG2276 사일리지 옥수수의 생장,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상주산업대학교논문집. 제6집. pp. 31-38
  2. 김동암, 이광녕, 신동은, 김종덕, 한건준. 1996. 숙기가 다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파종기가 사초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 16(4):327-337
  3. 김종덕, 김동암, 박형수, 김수곤. 1999. 파종시기 및 품종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19(3):211-220
  4. 김원호, 김원영, 김영진, 한학석, 김준식, 김맹중. 1998. 중부 평야지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 선발에 관한 연구. I. 파종시기가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 40(1):97-102
  5. 김창섭, 박상철, 이효원, 강희경. 1998.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수량 및 생장해석의 품종간 비교. 한국초지학회지 16(1):75-80
  6. 박남배, 곽종영, 고영두. 1984. Formic acid 첨가가 보리의 생육 단계별 Silage 품종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4(3):214-219
  7. 양종성, 강정훈, 이종열, 차영호. 1980. 다수성 청예 옥수수 품종 선발시험. 농진청. 축산시험장. 시험보고서. pp. 606-609
  8. 이상무, 전병태. 2004. 화학비료와 액상분뇨 시용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사료가치 및 토양의 $NO_3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24(3):237-244
  9. 이상무, 문상호, 전병태. 1996. 혼파재배 토양이 옥수수 생육특성 및 영양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16(4):283-290
  10. 임상훈, 김동암. 1996. 옥수수의 수확시기가 사초의 생산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16(1):75-80
  11. 서종호, 이호진. 1998. 헤어리베치 피복을 이용한 옥수수 무경운 재배에 관한 연구. I. 헤어리베치의 피복량별 토양 무기태 질소함량, 옥수수의 수량 및 질소 흡수량의 변화. 한국초지학회지 18(1):43-48
  1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gricultural chemists, Washington, DC
  13. Edwards, R.A., B. Donaldson and A.W. Macgregor. 1967. Ensilage of whole crop darley. J. Sci. Food Agri. 19:656 https://doi.org/10.1002/jsfa.2740191110
  14. Gangstad, E.O. 1964. Physical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orghum as related to palatability. Crop. Sci. 4:269-273 https://doi.org/10.2135/cropsci1964.0011183X000400030009x
  15. George, J.R. 1981. Grain crop production in the North Central University States. 3rd print
  16. Jorgensen, N.A. and J.W. Crowley. 1972. Corn silage for Wisconsin cattle. Coop. Ext. programs, Univ. of Wis. a1178
  17. Rabas, D.L., A.R. Schmid and G.C. Marten. 1970. Influence of temperature on the feeding growth cabohydrate composition of three alfalfa cultivars. Agron. J. 62:762 https://doi.org/10.2134/agronj1970.00021962006200060023x
  18. Stoneberg, E.G., F.W. Schaller, D.O. Hull, V.M. Meyer, T. Wickersham, M.R. Geasler and D.K. Nelson. 1974. Silage production and use. Iowa State Univ. Ext. p. 417
  19. Takano, N. and Y. Yamashita. 1970. Studies on the various affecting the,qualities of grass silage. II. Effects of growth stage on the silage quality, digestibility and nutrients intake. J. Japan Grassland. Sci. 16:22-28

Cited by

  1. A Comparative Stud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Nutritional Components of Corn Hybrids for Silage at Paddy Field Cultivation vol.32, pp.1, 2012, https://doi.org/10.5333/KGFS.2012.32.1.15
  2. Effects of Harvest Stage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Yield and Feed Value of Silage Corn in the Newly Reclaimed Hilly Land vol.32, pp.3, 2012, https://doi.org/10.5333/KGFS.2012.32.3.253
  3.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Nutritive Values of New Teosinte, ‘Geukdong 6’ vol.36, pp.2, 2016, https://doi.org/10.5333/KGFS.2016.36.2.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