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Deodeok Contents on the Quality of Deodeok Wine

더덕 함량이 더덕 침출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 권동진 (강릉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과학과) ;
  • 최신양 (한국식품연구원)
  • Published : 2007.08.28

Abstract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of Deodeok wine, formed by leaching of Deodeok at room temperature for 180 days, were investigated over the following range of Deodeok levels: 10, 15 and 20% (all w/v). The higher the level of Deodeok, the greater were the final values of total sugars, reducing sugars, total polyphenols, and crude saponins. The Hunter's b-value (yellowness) of Deodeok wine varied markedly with Deodeok levels, and yellowness was highest in Deodeok wine containing 20% (w/v) Deodeok. Non-volatile compounds, that form the basis of the liquor tax law, were 0.64, 1.38 and 2.11% (all w/v), respectively, at day 160. Of these values, that of 2.11% (w/v), the level of non-volatile compounds in Deodeok wine containing 20% (w/v) Deodeok, was in accord with the liquor tax law (that requires this figure to be 2.0%).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Deodeok wine containing 20% (w/v) Deodeok was superior to the other wines tested.

더덕 함량을 10, 15 및 20% (w/v)로 달리하여 50% (v/v) 주정에 담아 밀봉한 후 상온에서 180일간 침출시킨 다음 더덕 침출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더덕 함량을 달리하여 상온에서 180일간 침출시킨 결과 총당은 더덕 함량이 많을수록 많은 양의 총당이 용출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며 맛을 결정하는 환원당도 총당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한편 더덕의 유효성분인 total polyphenol의 경우 더덕 함량이 많을수록 차이는 뚜렷하였으나 원료 더덕 중에 함유된 total polyphenol에 비해 적은 양이 용출되고 있었다. 관능적인 기호도의 측도인 노란색의 경우 더덕 함량이 20% (w/v)인 침출주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이고 있었고 crude saponin은 비교적 완만히 용출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나 침출 100일경이 지나면서 급격히 용출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더덕 침출주의 주세법 기준 항목인 불휘발성분의 경우 더덕 20% (w/v) 함유 침출주만이 침출 160일이 지나야 법적 기준치인 2.0% (w/v) 이상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더덕 침출주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더덕 2.0% (w/v) 이상 필요하고 침출시간도 상온에서 160일 이상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인 기호도에서는 더덕 20% (w/v)이상 함유된 침출주에서 맛, 향, 색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더덕 침출주를 제조하기 위해 더덕 함량을 20% (w/v) 이상 함유하여야 불휘발성분의 법적 기준인 2.0% (w/v)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품질이 우수한 더덕 침출주를 제조하기 위해 더덕 함량, 침출시간 및 온도 등의 침출방법을 결정하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a}$,24S)-stigmast-5-en-3-ol (${\gamma}-sitosterol$)은 감귤이나 버섯 균사체에서 보고되지 않은 성분들이 검출되었다.M 영상 역시 oxide island 들이 형성에 기인된 어떤 "Strawberry" 구조를 보여주었으나 정확하게 $Al_2O_3$ overlayer가 형성되었는지는 규명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800 K와 1000 K에서 $Ni_3Al(111)$ 합금표면위의 산소 상호작용결과 어떤 aluminum oxide overlayer의 island들이 성장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q/g$이 검출되었다. 고방사능 폐수지의 평균 $^{14}C/^3H$비는 28로 저방사능 폐수지의 0.70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14}C$$^3H$의 농도는 서로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보완대책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이 성적을 통하여 비로소 확인할 수 있었다.가정교과교육학 문항내용의 포괄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정과교육과정 문항내용은 제7차 교육과정 문서상에 표면적으로 제시된 내용에 한정되어 있어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교육과정의 철학적 이론적 배경, 다양한 교육과정 원리를 활용하는 문항내용 등과 같이 좀 더 이론적이고 원론적인 내용으로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가정과교수학습법 문항내용은 특정 교수학습모형에 관련된 지식을 묻는 내용으로 주로 출제되었다. 이에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특정 교수학습모형의 이론적 토대가 되고 전체적인 교수설계를 하기 위한 기본 바탕이 될 수 있는 교수학습이론에 관한 내용, 또한 현재가정과교육에 있어서 유용한 교수학습법이라고 입증되고 있는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에 관한

Keywords

References

  1. Song, H.I. and Shin, J.H. (1998) Fermentation Engineering. Jigu Publishing Co., Seoul, Korea, p.135-140
  2. Kim, H.J. (1985) Proximate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wild and cultivated Codonopsis lanceolata.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22-25
  3. Lee, J.H. (2002) Immunostimulative effect of hot-water extract from Codonopsis lanceolata on lymphocyte and clonal macroph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32-736
  4. Kim, J.H., Kim, K.R., Kim, J.J. and Oh, C.H. (1992) comparative sampling procedures for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odonopsis lanceolata.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171-176
  5. Maeng, Y.S. and Park, H.K. (1991)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Dodok (Codonopsis lanceolata).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311-316
  6. So, M.S., Lee, J.S., and Yi, S.Y. (2004) Induction of nitric oxide and cytokines in macrophages by Codonopsis lanceolata.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986-990
  7. A.O.A.C. (1984)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A, p.152-162
  8. Somogyi, M. (1927) Notes on sugar determination. J. Biol. Chem., 195, 19-23
  9. Korea Ginseng and Tobacco Research Institute. (1991) Analytical methods of ginseng compounds. Jeilmunhwa-sa, Taejeon, Korea, p.57-61
  10. Kim, I.H., Park, W.S. and Koo, Y.J. (1996) Comparison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with different input step and treatment of rice and Nuruk. Korean J. Dietary Cult., 11, 339-348
  11. Jin, T.Y., Chung, H.J. and Eun, J.B. (2004) The effec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Jinyangju,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414-418
  12. Chai, S.K., Kang, K.S., Ma, S.J., Bang, K.W. and Oh, M.H. (2000) Food Analysis. Gigu Publishing Co., Seoul, Korea, p.567-568
  13. Lee, S.O., Lee, H.J., Yu, M.H., Im, H.G. and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14. Lee, J.W., Do, J.H., Lee, S.K. and Yang, J.W. (2000)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 compounds from Korean Red Ginseng and their extraction conditions. J. Gingseng Res., 24, 64-67
  15. Kwon, D.J. (2004) Quality Improvement of Kochujang using Cordyceps sp.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81-85
  16. Kim, U.J. and Ku, K.H. (2003) Sensory Evaluation Techniques of Food. Hyoil Moonhwasa Co., Seoul, Korea, p.62-72
  17. SAS (1998) SAS user's Guidestatistic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Institute, Cary, NC, U.S.A
  18. National Tax Service. (2005) The Liquor Tax Law. National Tax Service. Seoul, Korea, p.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