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Made from Domestic Korean Wheat Flour Containing Cactus Chounnyuncho (Opuntia humifusa) Powder

천년초 선인장 분말을 첨가한 우리밀 식빵의 품질특성

  • 김경태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 최아름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 이경석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 정용면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 이기영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made from domestic Korean wheat flour that contained different amounts of cactus Chounnyuncho (Opuntia humifusa) powder were investigated. The water absorption and peak time, as determined by a farinograph,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cactus powder, while stability, elasticity, and weakness decreased (p<0.05). RVA(Rapid Visco Analyzer) analysis showed that wheat flour retrogradation was retarded by increasing cactus powder content (p<0.05). The fermentation time of the bread increased with increasing cactus powder content, while the fermented volume and baking loss decreased (p<0.05). According to the sensory test, the most preferred bread contained 3% cactus powder (p0.05).

우리밀에 천년초 선인장 분말을 첨가한 천년초 식빵의 품질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예비실험을 통해 0%, 1%, 3%, 5% 천년초 분말 첨가 함량을 설정하였고, 첨가량에 따른 수분흡수율, 물성변화 및 호화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반죽의 발효시간, 완제품의 부피측정, 굽기 손실률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기능성 천년초 식빵의 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Farinograph 상에서는 천년초 분말 첨가량에 따라 다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흡수율 증가는 가스 보유력 및 완제품의 부피가 증가함으로서 동시에 안정도, 탄력도는 높아지고, 약화도는 떨어져야하지만 천년초 분말 첨가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냈다. RVA로 측정한 반죽의 호화 개시온도는 대조구가 $52.63{\pm}2.0^{\circ}C$이었고 천년초 분말 첨가 비율의 변화에 따라 각 첨가군은 유의적인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최고점도와 최고점도에 도달하는 시간은 대조구가 $2673{\pm}14.8$ RVA, $6.53{\pm}0.0$분이었다. 천년초 분말 첨가한 경우 호화 개시온도와는 달리 첨가 비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최저 점도의 유지 강도는 대조구가 $2012{\pm}16.3$ RVA이었고 천년초 분말 첨가구에 따라서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최종 점도, breakdown, setback 값에서 대조구는 각각 $3180{\pm}9.9RVA$, $661{\pm}31.1RVA$, $1169{\pm}6.4\;RVA$이었다. 천년초 분말 첨가한 경우 최종점도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천년초 첨가량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breakdown, setback 값은 대조구보다 증가하였고, 천년초 분말 첨가 비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노화를 예측할 수 있는 setback 값은 천년초 첨가에 따라 노화억제를 효과가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반죽의 발효 시간은 천년초 분말 증가에 따라 발효시간이 길어짐을 볼 수 있었다. 식빵 부피 변화는 대조구가 $1371.4{\pm}35.6$ mL로 가장 켰고, 천년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해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 굽기 손실률은 천년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 수 록 손실률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일반성분 검사 수분함량은 천년초를 첨가한 시료보다는 무첨가 시료가 높았지만 천년초 분말첨가량의 증가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수화물 함량은 무첨가 시료가 비교적 낮았는데 천년초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지방과 회분함량은 천년초 함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는 색과 전체적인 품질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향, 맛, 질감 등에서는 0%, 1%, 3%, 5% 천년초 첨가에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전체적인 품질 평가에서는 천년초 분말 3%첨가가 $3.9{\pm}0.994$로 평가를 받았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우리밀에 천년초 분말을 첨가해 제조한 식빵은 기능성 식품으로의 이용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태, 김철진, 박동준, 황재관, 구경형, 이수정, 조성자, 남수진. 1996. 우리밀의 종합적 활용을 위한 가공공정 기술의 개발. 한국식품개발연구원 보고서, pp 1-236
  2. A.A.C.C. 1983.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8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3. Amin ES, Olfat M, Awad, El-Sayed MM. 1970. The mucilage of opuntia ficus-indica mill. Carbohydrate Research 15(1): 159-161 https://doi.org/10.1016/S0008-6215(00)80304-3
  4. A.O.A.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5. Cho MK, Lee WJ. 1996. Preparation of high-fiber bread with barley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28(4):702-706
  6. Forni E, Penci M, Polesello A. 1994. A preliminary characterization of some pectins from quince fruit (Cydonia oblonga Mill.) and prickly pear (Opuntia ficus indica) peel. Carbohydrate Polymers, 23(4):231- 234 https://doi.org/10.1016/0144-8617(94)90183-X
  7. Habibi Y, Heyraud, a A, Mahrouzb M, Vignon MR. 2004. Structural features of pectic polysaccharides from the skin of Opuntia ficus-indica prickly pear fruits, Carbohydrate Research 339(6):1119-1127 https://doi.org/10.1016/j.carres.2004.02.005
  8. Ham SS, Lee SY, Choe M, Hwang Bo HJ. 1998. Antimutagenicity and cytotoxicity effects of woori-mill wheat flour extracts added with wild herb and seaweed powder. Korean J Soc Food Sci Nutr 27(6):1177-1182
  9. He H, Hoseney RC. 1991. Gas retention of different cereal flours. Cereal Chem 68(4): 334
  10. Hwang YK, Hyun YH, Lee YS. 2001.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green tea powder. Korean J Food Nutr 14(4): 311-316
  11. Kang SW, Lee BG. 2004.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Qualities of Functional Bread Flour Added with Chungpesagan-tang Extracts & Re-Procurement Attitud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0(4): 165-177
  12. Kim EJ, Kim SM. 1998. Bread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Pine Needle according to Preparation Method, Faculty of Life Resourses science. 30(3): 542-547
  13. Kim TJ. 1996. Coloured resources plants of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publishing department, Seoul. pp 140-141
  14. Lee HS, Park JR, Chun SS. 2001. Effects of Pine Pollen Powder on the Quality of White Bread Prepared with Korean Domestic Wheat Flour. Korean J Food Sci Nutr 14(4): 339-345
  15. Lee KS, Kim MG, Lee KY. 2004. Antimicrobial Effect of the Extracts of cactus Chounnyouncho (Opuntia humifusa) against Food borne Pathogens. Korean J Soc Food Sci Nutr 33(8): 1268-1272 https://doi.org/10.3746/jkfn.2004.33.8.1268
  16. Lee SY, Hur HS, Song JC, Park NK. 1997. Comparison of Noodle-Related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Imported Wheat. Korea J Food Sci Technol 29(1):44- 50
  17. McGarvie D, Parolis H. 1979. The mucilage of Opuntia ficus-indica Carbohydrate Research 69(1): 171-179 https://doi.org/10.1016/S0008-6215(00)85762-6
  18. Meyer BN, Mohamed YA, McLaughlin JL. 1980. ${\beta}$-phenyltyramine from the Cactus genus Opuntia. Phytochemistry 19(4): 719-720 https://doi.org/10.1016/0031-9422(80)87057-9
  19. Nadra K Ouelhazi, Rachid Ghrir, K H Di ep Le, Florence Leder. 1992. Invertase from Opuntia ficus-indica fruits Phytochemistry 31(1):59-61 https://doi.org/10.1016/0031-9422(91)83005-6
  20. Operation manual for the series 3 RVA 1995: Issued July. Newport scientific Pty. Ltd., Warriewood NSW Australia, 10-18
  21. Stintzing FC, Schieber A, Carle R. 1999. Amino acid composition and betaxanthin formation in fruits from Opuntia ficus-indica. Planta Med 65: 632-635 https://doi.org/10.1055/s-1999-14037
  22. Trachtenberg S, Alfred M Mayer. 1981. Composition and properties of Opuntia ficus-indica mucilage. Phytochemistry 20(12): 2665-2668 https://doi.org/10.1016/0031-9422(81)85263-6
  23. Vignon MR, Heux L, Malaininea ME, Mahrouz M. 2004. Arabinan. cellulose composite in Opuntia ficus-indica prickly pear spines. Carbohydrate Research 339(1): 123-131 https://doi.org/10.1016/j.carres.2003.09.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