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umerical Study on the Ventilation of Non-isothermal Concentrated Fume

수치해석적 방법을 이용한 비등온 고농도 연무의 배기량 산정에 관한 연구

  • Lim, Seok-Chai (Schoo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Yeungnam University) ;
  • Chang, Hyuk-Sang (Schoo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Yeungnam University) ;
  • Ha, Ji-Soo (Department of Energy and Environmental Science, Keimyung University)
  • 임석채 (영남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장혁상 (영남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하지수 (계명대학교 에너지환경과학과)
  • Published : 2008.05.31

Abstract

The experimental study with the prototype provides more acceptable data than the others. But there are so many limited conditions to perform the experimental study with the prototype. So the theoretical similitude with the scaled model and the numerical study with the CFD method have been chosen alternatively to analysis the fume movement. In this study, the ventilation was estimated from the results of the numerical study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as the boundary conditions. The grid A and B were same size and shape with the models which was used in the experimental study and consisted with 163,839, 122,965 cells respectively. The height of the fume layer was estimated form the mole fraction of fume components and the ventilation was determined by the velocity and temperature of the fum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ume movements estimated from the numerical study are enough to apply to the prototype if there are proper heat loss correction factors. The numerical study is easier to change study conditions and faster to get results from the study than the experimental study. So if we find some proper heat loss correction factors, it's possible to execute the various and advanced study with the numerical study.

연무거동을 해석하는 방법 중에서 실물을 이용한 실험방법이 가장 믿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지만 여러 가지 제한사항들로 인해 축소모델실험을 이용한 상사방법이나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를 이용한 수치해석적 방법이 대안으로 채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연무거동을 수치해석적 방법으로 예측하여 연층의 높이에 따른 배기량을 산정하고자 했다. 수치해석에 사용된 격자는 축소실험에서 사용된 모델 A, B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진다. 배기량은 수치해석으로 예측된 연소생성물들의 몰비를 이용하여 연층의 높이를 예측하고 그때의 배기가스 온도 및 유속으로 산정되었다. 수치해석 결과, 벽면 열손실 및 복사효과를 고려하여 예측된 배기량이 축소모델 실험결과의 표준편차 범위 내에 존재하였지만 에너지 방출량이 증가할수록 예측된 연무의 온도가 실험과 많은 차이를 보였고 비교적 열손실에 의한 영향이 적은 모델 B를 이용한 계산결과에서는 연무의 거동이 실험결과와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열손실을 보정할 적절한 보정계수를 구할 수 있다면 배기량 산정에 관한 다양한 후속연구를 수치해석적 방법을 이용해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Karlsson, B. and Quintiere, J. G., "Enclosure Fire Dynamics," CRC Press(2000)
  2. Merriam-Webster, Inc.,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Merriam-Webster, Inc(2003)
  3. Patankar, S. V., "Numerical Heat Transfer and Fluid Flow," John Benjamins Publishing Co(1980)
  4. SFPE, "The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3rd ed.,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Inc (2002)
  5. 장혁상, 최병일, 박재철, 김명배, "반밀폐형 공간에서 비등온 고농도 연무의 배연산출량 산정을 위한 Froude 상사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7(8), 887-885(2005)
  6. 환경부,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제5조 1항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