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atory Study on the Multi-cultural Background Adolescent's Growth Environment in Busan

다문화청소년 성장환경에 대한 탐색적 연구

  • Published : 2008.11.28

Abstract

The number of Multi-cultural Background Adolescent increases every year. It is necessary to show their growing environment in which they are brought up. So this study tries to have a questionnaire research with 588 adolescents and an focus group-interview with 8 service professional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developing supplemental programs, supporting systems such as the person participation in the step of the program planning, the community organization networking, professional placement, providing integration service and training program in a family unit.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성장과 적응을 위한 현재의 환경개선과 서비스 프로그램의 탐색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부산광역시 다문화청소년 5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 8명은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행하였다. 첫째, 설문지 분석결과로 초등학교 재학이 가장 많으며 출생별 서비스에 대한 욕구의 차이와 경제적수준에 따른 대인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둘째, 다문화청소년 전문가 그룹인터뷰결과, 다문화청소년 현재의 문제로는 학업수준과 대인관계로 지적되었다. 다문화청소년 당사자 욕구파악을 토대로 가족차원의 통합적인 서비스를 중심으로 그리고 동화주의의 차원이 아니라 그들의 문화를 인정하고 그들이 직접 참여하는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논의되었다. 이에 대한 제언으로. 당사자참여의 서비스 기획과 전문성을 위한 인력배치와 인센티브제도 정착, 지역 조직간의 네트워크 구성을 통한 가족단위의 통합지원서비스와 마지막으로 지역사회가 참여하는 분위기 조성이 제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홍식, 이혜경, 임경택,정기선, 주영수, 한건수,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보건복지부, 2005.
  2. 통계청, 사회통계조사, 2005.
  3. 설동훈, 외국의 이민자 정책 비교 및 국내적용가능성 탐색농촌국제결혼 정착방안 세미나자료집. 농촌진흥청․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6.
  4. 한국염, 이주의 여성화와 국제결혼 이주여성인권센터 창립3주년 심포지엄: 이주의 여성화와 국제결혼 자료집. 2004.
  5. 오성배, "코시안(Kosian)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 제32권, 제3호, pp.61-83, 2005.
  6. 부산광역시교육청, 내부자료, 2006.
  7. D. R. Atkinson, G. Morten, and S. W. Sue, Couseling American minorities: Across-cultural perspective (3rd ed.). Dubuque, IA: William C. Brown, 1989.
  8. 오성배, "한국 사회의 소수민족 '코시안' 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방향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제16권, 제4호, pp.137-157, 2006.
  9. J. S. Coleman, Rawls, and Nozick, "Educational Equality," The Public Interest, Vol.43, No1, pp.121-128, 1976.
  10. 서 혁, 다문화 가정에 대한 한국어교육 지원 방안, 인간학연구소 제10회 심포지엄, 서울: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06.
  11. E. K. Thorp, "Increasing opportunities for partnership with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families," Intervention in School & Clinic, Vol.32, No.5, pp.261-269, 1997. https://doi.org/10.1177/105345129703200502
  12. 김이선, 김민정, 한건수,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 경험과 소통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2006.
  13. D. M. Gollnick and P. C. Chinn,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pluralistic society (4th ed.). NY: Macmillan College Publishing Company, 1994.
  14. 청소년개발원, 한국의 청소년 인권정책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2004.
  15. 김성식, 교육기회 획득에 대한 가정배경과 학교경험의 영향 제2회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발표논문집, 서울: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2006.

Cited by

  1. Effects of Stress-coping Styles on Depression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vol.12, pp.1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