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and Application Quantitative Indices for Analyzing Total Green Space in an Urban Area - Guro-gu in Seoul -

도시 공원녹지의 총량 산정을 위한 지표 비교 및 적용 - 서울시 구로구를 사례로 -

  • Lee, Kyong-Ja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 Choi, Jin-W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
  • Han, Bong-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최진우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pply quantitative indices for analyzing the total green space in an urban area, targeting Guro-Gu, Seoul. The indices were classified in terms of plane, solid and urban planning. The park area per person as an index of the park green's total volume was $2.34m^2$. This clearly shows the deficiency of park area. However, it did not reflect actual green space, since undesignated forests, rivers and green spaces in the city were excluded. Green coverage area per person in terms of plane was $18.85m^2$ and was useful as an index of actual urban planting, focusing on expansion of the green space. However, the conception of total volume of park green had limitation to be recognized as a unit of area. The number of trees and green area volume per person in terms of solid was 4.1 trees and $35.8m^2$, respectively. This enabled reflection on qualitative improvement plans such as increasing the volume of trees for the high density of developed areas.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구로구를 대상으로 공원녹지 총량 산정을 위한 지표를 비교하였다. 지표는 도시계획상, 평면적, 입체적 공원녹지 총량으로 구분하였다. 도시계획상 공원녹지 총량의 지표로써 구로구의 1인당 공원면적은 $2.34m^2$로 공원녹지의 부족을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그러나 1인당 공원면적 지표는 도시관리계획에 의해 지정된 공원면적만을 대상으로 하여 실제 녹지인 미지정된 산림, 하천 등과 시가화지역 내 녹지가 포함되지 못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평면적 공원녹지 총량의 지표로써 구로구의 1인당 녹피면적은 $18.85m^2$로 실제 녹지를 최대한 반영하였다. 1인당 녹피면적은 시가화지역 내 녹지면적 확대에 초점을 맞추는 지표로써 실질적인 도시녹화의 지표로써 활용이 용이하였다. 그러나 공원녹지 총량개념이 아직까지 면적단위로만 파악되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입체적 공원녹지 총량의 지표로써 구로구의 1인당 생육수목주수는 4.1주이었고, 1인당 녹지용적은 $35.8m^2$었다. 이 지표는 고밀도로 개발된 도시환경 개선을 위해 수목량 증진 등의 질적인 향상계획에 반영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구(2006) 생태도시-강동구 기본계획. 강동구 보고서
  2. 건설교통부(2006) 공원녹지기본계획수립지침. 건설교통부 보고서
  3. 노태욱, 김제국, 박문호, 박미호(2003) 개발제한구역 조정에 따른 녹지관리체계의 개선.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도시정보 254: 3-14
  4. 박문호(2006)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개정의 효과. 도시문제 제41권 제449호 22-31
  5. 서울특별시(2000) 서울특별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지침 수립(1차년도). 서울특별시 보고서
  6. 서울특별시(2005) 도시생태현황도 정비. 서울특별시 보고서
  7. 서울특별시(2006) 공원현황. 서울특별시 보고서
  8. 인천광역시 부평구(2005) 생태조시 구현을 위한 부평구 공원녹지 기본계획. 인천광역시 부평구 보고서
  9. 長谷川和男(2007) 동경도 에도가와구의 아름다운 도시를 위한 녹지 공간 정책 -물과 녹지가 조화를 이룬 마을가꾸기 시책-. Seoul Metropolitan Fora 2007 자료집
  10. Pohl W., H. D. Schulze and M. Grobmann(1984) Gutachten: Werte fur die Landschaftplanung - Grunvolumenzahl und Bodenfunktionzahl. Schriftenreihe der Umweltbehorde Hambu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