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trum Co-existence Method using Orthogonal Beamforming in Cognitive Radio Systems

코그니티브 라디오 시스템에서의 직교 빔을 이용한 주파수 공유 방법

  • 권양수 (인하대학교 전자공학과 무선이동통신 연구실) ;
  • 유재호 (인하대학교 전자공학과 무선이동통신 연구실) ;
  • 이일신 (인하대학교 전자공학과 무선이동통신 연구실) ;
  • 정재학 (인하대학교 전자공학과 무선이동통신 연구실)
  • Published : 2008.11.30

Abstract

Cognitive radio(CR) techniques have been considered as a strong solution of frequency scarcity due to the limitation of frequency resource, In this paper, an orthogonal beamforming method is proposed that enables cognitive radio systems to coexist with a primary users' system in the same spectrum and region without causing interference to primary systems. The orthogonal multiple beams for multi-users of CR systems are obtained through the generation of orthogonal subspaces from primary users' channel state information. To increase the sum-rate of the CR systems, the proposed scheme adopts opportunistic radio resource allocation techniques. Simulation results provides that the proposed scheme achieves 2.72bps/Hz, the sum-rate capacity at 20 cognitive users in an area with two antennas at the cognitive radio basestation.

코그니티브 라디오(cognitive radio) 기술 중 같은 지역에서 코그니티브 사용자와 우선사용자가 주파수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단위 지역 당 주파수 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코그니티브 라디오 시스템이 우선사용자에게 간섭을 미치지 않으며 동일 지역에서 우선사용자와 주파수를 공유할 수 있는 직교 빔 형성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우선사용자의 채널상태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로부터 얻어진 부공간에 직교하는 코그니티브 라디오 사용자를 위한 부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우선사용자에게 간섭을 주지 않으며 주파수를 공유할 수 있는 코그니티브 라디오 사용자를 위한 다중 빔을 생성한다. 그러고, 코그니티브 라디오 시스템의 합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회적 무선자원할당 기법을 적용하였다. 전산모의 실험을 통해 제안된 주파수 공유 방법이 우선사용자에게 간섭을 주지 않음을 보였고 코그니티브 라디오 기지국이 2개의 안테나를 사용할 경우 시스템 합용량이 일반 셀룰라 시스템의 빔 포밍을 적용한 결과와 유사하게 사용자 20명에서 최대 2.72bps/Hz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J. Mitola, "Cognitive radio for flexible mobile multimedia communications," in Proc. of IEEE workshop on Mobile Multimedia Comm., Nov. 1999
  2. FCC, Spectrum policy task force report, ET Docket No.02-155, Nov. 2002
  3. FCC. ET. Docket No, 03-322, "Notice of Rule Making and Order," Dec. 2003
  4. IEEE 802.22-06/0004r0, A PHY/MAC Proposal for IEEE 802.22 WRAN systems, Part 1:The PHY, Jan. 2006
  5. S. Haykin, "Cognitive radio: Brain-empowered wireless communications," 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 Vol.23, No.2, pp.201-220, Feb. 2005 https://doi.org/10.1109/JSAC.2004.839380
  6. D. Cabric and R. Brodersen, "Physical layer design issues unique to cognitive radio systems," in Proc. IEEE PIMRC, Berlin, Germany, pp.759-763, Sep. 2005
  7. R. Tandra and A. Sahai, "SNR walls for signal detection," 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Signal Proc., Vol.2, No.1, pp.4-17, Feb. 2008 https://doi.org/10.1109/JSTSP.2007.914879
  8. R. Etkin, A. Parekh and D. Tse, "Spectrum sharing in unlicensed bands," 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 Vol.25, No.3, pp.517-528, April 2007 https://doi.org/10.1109/JSAC.2007.070402
  9. S. Srinivasa, S. Jafar, "Cognitive Radio Networks: How Much Spectrum Sharing is Optimal?," in Proc. IEEE GLOBECOM, Washington. D.C, USA, pp.3149-3153, Nov. 2007
  10. 권양수, 지영근, 정재학, "코그니티브 라디오 시스템에서의 전력 제어를 이용한 무선 자원 공유,"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32권 제10호, pp.1057-1064, 2007
  11. M. H. Islam, Y. C. Liang, and A. T. Hoang, "Joint beamforming and power control in the downlink of cognitive radio networks," in Proc. IEEE WCNC, Hong Kong, pp.21-26, Mar. 2007
  12. L. Zhang, Y. Liang, and Y. Xin, "Joint beamforming and power allocation for multiple access channels in cognitive radio networks," 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 Vol.26, No.1, pp.38-51, Jan. 2008 https://doi.org/10.1109/JSAC.2008.080105
  13. K. Hamdi, W. Zhang, and K. B. Letaief, "Joint beamforming and scheduling in cognitive radio networks," in Proc. IEEE GLOBECOM, Washington, D.C, USA, pp.2977-2981, Nov. 2007
  14. L. Godera, Smart Antennas. LLC, New York: CRC-Press, 2004
  15. A. E. Zooghby, Smart Antenna Engineering, Norwood, MA: Artech House, 2005
  16. 정진곤, 이용훈, "다중 사용자 MIMO 시스템을 위한 순차적 영공간 계산," 한국통신학회논문 지, 제32권 제12호, pp.1238-1243, 2007
  17. 오동찬, 이용환, "패킷 기반 무선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이득과 다중화 이득 획득을 위한 다중 직교빔 전송 기법,"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33권 제3호, pp.286-295, 2008
  18. P. Viswanath, D. Tse, and R. Larioa, "Opportunistic beamforming using dumb antennas," IEEE Trans. on Inf. Theory, Vol.48, No.6, pp.1277-1294, Jun. 2002 https://doi.org/10.1109/TIT.2002.1003822
  19. J. Chung, C. Hwang, K. Kim, and Y. Kim, "A random beamforming technique in MIMO systems exploiting multiuser diversity," 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 Vol.21, No.5, pp.848-855, Jun. 2003 https://doi.org/10.1109/JSAC.2003.810355
  20. S. number IS-856 "CDMA 2000 standard: High rate packet data air interface specification," 2000
  21. M. Kountouris and D. Gesbert, "Robust multi-user opportunistic beamforming for sparse networks," IEEE SPAWC workshop, pp.975-979, June 2005
  22. N. Jindal, W. Rhee, S. Vishwanath, S. Jafar, and A. Goldsmith, "Sum power iterative water-filling for multi-antenna gaussian broadcast channels," IEEE Trans. on Inf. Theory, Vol.51, No.4, pp.1570-1580, April 2005 https://doi.org/10.1109/TIT.2005.844082